$\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심방세동 환자와 정상 심전도 환자의 관상동맥 직경 정량적 평가
Quantitative Assessment of Coronary Artery Diameter in Patients with Atrial Fibrillation and Normal Sinus Rhythm 원문보기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v.16 no.5, 2022년, pp.567 - 574  

서영현 (동신대학교 보건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관상동맥 질환심방세동은 많은 위험인자들을 공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의 경우 혈관 완전 폐색과 혈전 등으로 인해 혈관 직경을 명확히 파악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따라서 심방세동 동반 환자의 관상동맥 치료 및 약물 선택 전 참고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하고자 관상동맥의 직경 관계를 평가하였다. 2020년 01월부터 2022년 08월까지 심방세동을 동반해 관상동맥 조영술을 시행한 영상과 정상 리듬의 심전도 소견을 보이는 상태의 영상을 대상으로 하였다. 두 대상 모두 관상동맥 조영술 결과 병변을 동반하지 않은 정상인 상태의 혈관 영상을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혈관에 대해 근위 부, 중부, 말단 부로 삼등분하여 혈관의 직경을 측정하였고, 측정된 직경을 평균으로 나누어 평가하였다. 좌전하행동맥 직경을 분석한 결과 심방세동 환자의 혈관 직경이 2.24±0.26 mm로 정상 심전도 환자의 혈관 직경 2.86±0.38 mm보다 작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p<0.001) 좌회선동맥 직경을 분석한 결과 심방세동 환자의 혈관 직경이 2.34±0.28 mm로 정상 심전도 환자의 혈관 직경 2.87±0.29 mm보다 작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p<0.001) 우 관상동맥의 직경을 분석한 결과 심방세동 환자의 혈관 직경이 2.68±0.5 mm로 정상 심전도 환자의 혈관 직경 3.35±0.4 mm보다 작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p<0.001) 정상 심전도를 보이는 환자의 혈관 크기보다 심방세동을 동반한 환자의 혈관 크기가 유의할 만큼 작은 것을 보아, 발생된 부정맥 상태가 심방세동인 경우 관상동맥 직경 평가 시 참고 될 유용한 연구로 생각된다. 특히 병변 진단 및 시술 전 후 약물 사용, 혈관 내 초음파와 같은 보조 기구 사용 선택 시 판단에 도움이 될 수 있을 연구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ronary artery disease (CAD) and atrial fibrillation (AF) are known to share many risk factors.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cute coronary syndrome, it may be difficult to clearly determine the diameter of the vessel due to complete occlusion of the vessel and thrombus. Thus, the relationship bet...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심방세동이 지속되고 있는 환자의 관상동맥 직경과 정상 심장박동 환자의 관상동맥 직경을 평가하여 심방세동을 동반한 환자의 경피적 관상동맥 성형술(PTCA; percutaneous transluminal coronary angioplasty) 또는 완전 폐색과 같은 응급 시술 시 기구 사용을 위한 직경 평가전 참고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하고자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K. Dipak, J. Holmes, H. Krum, D. G. Altman, L. Manzano, J. G. F. Cleland, G. Y. H. Lip, A. J. S. Coats, B. Andersson, P. Kirchhof, T. G. Lueder, H. Wedel, G. Rosano, M. C. Shibata, A. Rigby, M. D. Flather, Beta-Blockers in Heart Failure Collaborative Group Affiliations Expand, "Efficacy of β blockers in patients with heart failure plus atrial fibrillation: an individual-patient data meta-analysis", Lancet, Vol. 384, No. 9961, pp. 2235-2243, 2014. https://doi.org/10.1016/s0140-6736(14)61373-8 

  2. C. E. Chiang, L. N. Brule, J. Murin, M. Goethals, H. Inoue, J. O'neill, J. S. Cardoso, O. Zharinov, H. Gamra, S. Alam, P. Ponikowski, T. Lewalter, M. Rosenqvist, P. G. Steg, "Distribution and risk profile of paroxysmal, persistent, and permanent atrial fibrillation in routine clinical practice: insight from the real-life global survey evaluating patients with atrial fibrillation international registry", Circ Arrhythm Electrophysiol, Vol. 5, No. 4, pp. 632-639, 2012. https://doi.org/10.1161/circep.112.970749 

  3. Korean Heart Rhythm Society, "Atrial fibrillation Treatment Guidelines", Korean Heart Rhythm Society, No. 53, pp. 1-238, 2021. 

  4. O. Bayturan, R. Puri, E. M. Tuzcu, M. Shao, K. Wolski, P. Schoenhagen, S. Kapadia, S. E. Nissen, P. Sanders, S. J. Nicholls, S. J. Nicholls, "Atrial fibrillation, progression of coronary atherosclerosis and myocardial infarction", European Journal of Preventive Cardiology, Vol. 24, No. 4, pp. 373-381, 2017. http://dx.doi.org/10.1177/2047487316679265 

  5. V. Ruddox, I. Sandven, J. Munkhaugen, J. Skattebu, T. Edvardsen, J. E. Otterstad, "Atrial fibrillation and the risk for myocardial infarction, all-cause mortality and heart failur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European Journal of Preventive Cardiology, Vol. 24, No. 14, pp. 1555-1566, 2017. http://dx.doi.org/10.1177/2047487317715769 

  6. H. G. Pacheco, M. F. Marquez, A. A. Mendoza, A. A. Sangabiel, G. E. Lidt, A. G. Hermosillo, F. A. Manzur, A. A. Castillo, J. L. B. Cruz, A. G. Martinez, S. M. Garcia, C. M. Sanchez, "Clinical features and in-hospital mortality associated with different types of atrial fibrillation in patients with acute coronary syndrome with and without ST elevation", Journal of Cardiology, Vol. 66, No. 2, pp. 148-154, 2014. http://dx.doi.org/10.1016/j.jjcc.2014.11.001 

  7. B. P. Krijthe, M. J. G. Leening, J. Heeringa, J. A. Kors, A. Hofman, O. H. Franco, J. C. M Witteman, B. H. stricker, "Unrecognized myocardial infarction and risk of atrial fibrillation: the Rotterdam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Cardiology, Vol. 168, No. 2, pp. 1453-1457, 2013. http://dx.doi.org/10.1016/j.ijcard.2012.12.057 

  8. S. Kralev, K. Schneider, S. Lang, T. Suselbeck, M. Borggrefe, "Incidence and severity of coronary artery disease in patients with atrial fibrillation undergoing first-time coronary angiography", PLoS One, Vol. 6, No. 9, pp. 24964, 2011. http://dx.doi.org/10.1371/journal.pone.0024964 

  9. T. Kawakami, H. Ohno, N. Tanaka, H. Ishihara, H. Kobayakawa, T. Sakurai, "The Relationship between Paroxysmal Atrial Fibrillation and Coronary Artery Spasm", Pacing and Clinical Electrophysiology, Vol. 37, No. 5, pp. 591-596, 2014. http://dx.doi.org/10.1111/pace.12299 

  10. Y. H. Kim, M. K. Hong, J. W. Kim, S. K. Lee, C. W. Lee, S. S. Cheong, K. H. Choi, D. H. Kang, J. K. Song, J. J. Kim, S. W. Park, S. J. Park, "Comparison between Intravascular Ultrasound and Quantitative Coronary Angiographic Measurements in Coronary Artery Stenting", Korea Circulation Journal, Vol. 27, No. 12, pp. 1265-1271, 1997. http://dx.doi.org/10.4070/KCJ.1997.27.12.1265 

  11. E. J. Kim, J. Y. Yoo, W. S. Cheon, S. W. Han, Y. J. Choi, K. H. Ryu, C. Y. Rhim, "Coronary Artery Size in Korean: Normal value and its Determinants", Korea Circulation Journal, Vol. 35, No. 2, pp. 115-122, 2005. http://dx.doi.org/10.4070/kcj.2005.35.2.115 

  12. J. S. Koh, G. K. Kim, "Anatomy of Vertebral and Posterior Inferior Cerebellar Artery", Korea Journal Cerebrovascular Disease, Vol. 2, No. 2, pp. 118-125, 2000. 

  13. J. Y. Kyung, J. S. Hur, S. H. Hwang, M. J. Kim, S. H. Lee, C. W. Nam, Y. S. Lee, D. W. Hyun, S. W. Han, K. S. Kim, Y. N. Kim, K. B. Kim, "A Comparison of the Intravascular Ultrasound Findings before and after Coronary Stent Implantation in Patients with Small Vessel Disease(2.5-2.75 mm) by Quantitative Coronary Angiography", Korea Circulation Journal, Vol. 35, No. 2, pp. 123-130, 2005. http://dx.doi.org/10.4070/kcj.2005.35.2.123 

  14. K. W. Choi, J. Y. Kwon, Y. J. Kim, T. I. Lee, D. K. Shin, Y. J. Kim, B. S. Shim, H. W. Lee, S. B. Lee, "Determinants of Successful Percutaneous Transluminal Coronary Angioplasty",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Vol. 11, No. 2, pp. 230-239, 1994. 

  15. D. K. Kim, K. J. Yoo, Y. N. Youn, G. J. Yi, S. Lee, B. C. Chang, M. S. Kang, "Clinical Outcome of Emergency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after Failed Percutaneous Transluminal Coronary Angioplasty", Journal of Chest Surgery, Vol. 40, No. 3, pp. 209-214, 200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