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PACS에서 의료영상정보의 익명처리와 관련된 법의 연구
A Study on Laws Related to Anonymization of Medical Image Information in PACS 원문보기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v.16 no.5, 2022년, pp.627 - 637  

권대철 (신한대학교 보건대학 방사선학과)

초록

연구의 목적은 PACS에서 의료영상정보를 운영과 관리를 준수하고 환자의 개인정보를 익명처리하기 위한 필요성과 관리와 관련된 「의료법」, 「개인정보 보호법」과 「생명윤리법」에서 의료영상정보의 개인정보 관련법의 쟁점에 대한 내용을 연구하여 법의 일원화와 정합성을 위한 필요성에 대해서 문제를 제기하고 논의하고 제안하고자 한다. 의료영상정보와 관련된 정보 활용하기 위해서는 법적으로 명확한 적용을 위해 「의료법」 혹은 「생명윤리법」으로 일원화하고 법체계를 법의 정합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개인정보 보호법」 및 「생명윤리법」에서 일치하지 않은 쟁점들로 인하여 충돌할 가능성이 있어 의료영상정보의 활용 및 이용을 위한 기본적인 공통분모를 찾아내어 법의 조화를 이루는 법의 체계적인 정합성이 요구된다. 추가적으로 의료영상정보 및 개인정보의 민감할 사항을 구체적이고 체계적으로 보호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임상에서 의료인 및 관리자들이 현실적으로 법을 적용하고 용이하게 실천이 가능한「의료정보보호법」을 제정할 필요성을 고려하여 추진하는 것도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ly with the operation and management of medical image information in PACS, the necessity of anonymizing the patient's personal information and the management status of the medical image information related to the persona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aise, di...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연구의 목적은 임상에서 의료영상의 정보제공자 및 정보관리자의 권리 및 의무를 명확하게 하여 의료영상의 빅데이터의 관리 및 활용과 함께 제 4차 산업혁명의 시대를 준비할 필요성이 있다. PACS에서 의료영상정보를 운영과 관리를 철저히 준수하기 위해 환자의 개인정보를 익명처리의 필요성과 관리 상황을 관련법으로 「의료법」, 「개인정보 보호법」과 「생명윤리 등에 관한 법률(생명윤리법)」의 의료영상정보의 개인정보 관련법의 쟁점에 대한 내용을 연구하여 법의 일원화와 정합성을 위한 필요성에 대해서 문제를 제기하고 논의하고 제안하고자 한다.
  • 연구를 위한 익명과 가명정보에서 가명정보는 정보주체 등의 동의가 없어도 자유롭게 처리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는 반면에 익명정보는 연구대상자가 “개인식별정보를 영구적으로 삭제하거나, 개인식별정보의 전부 또는 일부를 해당 기관의 고유식별기호로 대체하는 것”으로 연구를 위한 목적보다는 개인정보의 보호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법률의 정합성에 문제점을 도출하여 과학연구를 위한 목적은 개인정보와 의료정보가 결합되어야 연구의 목적과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 연구의 목적은 임상에서 의료영상의 정보제공자 및 정보관리자의 권리 및 의무를 명확하게 하여 의료영상의 빅데이터의 관리 및 활용과 함께 제 4차 산업혁명의 시대를 준비할 필요성이 있다. PACS에서 의료영상정보를 운영과 관리를 철저히 준수하기 위해 환자의 개인정보를 익명처리의 필요성과 관리 상황을 관련법으로 「의료법」, 「개인정보 보호법」과 「생명윤리 등에 관한 법률(생명윤리법)」의 의료영상정보의 개인정보 관련법의 쟁점에 대한 내용을 연구하여 법의 일원화와 정합성을 위한 필요성에 대해서 문제를 제기하고 논의하고 제안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S. Y. Sung, "A Study on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in the Medical Service Act", The Korean Society of Law and Medicine, Vol. 21, No. 2, pp. 75-103, 2020. https://doi.org/10.29291/kslm.2020.21.2.075 

  2. S. Y. Lee, "Healthcare Big Data and Personal Data Protection, Autonomy", Bio, Ethics and Policy, Vol. 3, No. 2, pp. 47-58, 2019. 

  3. K. W. Kim, "Medical Ethics in Radiolog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Vol. 62, No. 4, pp. 311-317, 2010. http://dx.doi.org/10.3348/jksr.2010.62.4.311 

  4. Y. J. Jeun, "The Medical Information Protection and Major Issues",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Vol. 17, No. 12, pp. 251-258, 2012. http://dx.doi.org/10.9708/jksci/2012.17.12.251 

  5. Y. J. Choi, H. K. Kang, "A Study on Dental Hygienist' Knowledge, Awareness and Performance of Patient's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7, No. 2, pp. 416-426, 2016. http://dx.doi.org/http://dx.doi.org/10.5762/KAIS.2016.17.2.416 

  6. B. Burbridge, "Dicom Image Anonymization and Transfer to Create a Diagnostic Radiology Teaching File", International Journal of Radiology and Imaging Technology, Vol. 6, No. pp. 1-7, 2020. http://doi.org/10.23937/2572-3235.1510065 

  7. S. H. Park, J. Choi, J. S. Byeon, "Key Principles of Clinical Validation, Device Approval, and Insurance Coverage Decisions of Artificial Intelligence", Korean Journal of Radiology, Vol. 22. No. 3, pp. 442-453, 2021. http://doi.org/10.3348/kjr.2021.0048 

  8. W. K. Jeong, B. I. Choi, "Burnout among Radiologists in Korea: Prevalence, Risk, Factors, and Remed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Vol. 83, No. 4, pp. 776-882, 2022. http://dx.doi.org/10.3348/jksr.2022.0087 

  9. S. H. Park, "Ethics for Artificial Intelligence: Focus on the Use of Radiology Imag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Vol. 83, No. 4, pp. 759-770, 2022. http://dx.doi.org/10.3348/jksr.2022.0036 

  10. C. G Schwarz, W. K Kremers, T. M Therneau, R. R Sharp, J. L Gunter, P. Vemuri, A. Arani, A. J Spychalla, K. Kantarci, D. S Knopman, R. C Petersen, C. R Jack, "Identification of Anonymous MRI Research Participants with Face-Recognition Software",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Vol. 381, No. 17, pp. 1684-1686, 2019. http://dx.doi.org/10.1056/NEJMc1908881 

  11. Y. Cho, K. Ahn,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utomated Detection System of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Surgical Video De-Identification", Convergence Security Journal, Vol. 19, No. 5, pp. 75-84, 2019. https://doi.org/10.33778/kcsa.2019.19.5.075 

  12. I. H. Park, "The Preview of Bioethics General Act", Asia Pacific Journal of Health Law & Ethics, Vol. 2, No. 2, pp. 21-44, 2008. http://doi.org/10.38046/apjhle.2008.2.1.002 

  13. Y. J. Jeun, "EMR System and Patient Medical Information Protection",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 7, No. 3, pp. 213-224, 2013. https://doi.org/10.12811/kshsm.2013.7.3.213 

  14. H. S. Kim, "A Comparative Study on Scientific Research in the Data Protection Laws between EU and Korea", Journal of Korea Information Law, Vol. 24, No. 1, pp. 115-144, 2020. https://doi.org/10.22846/kafil.24.1.202004.004 

  15. S. H. Lee, "Improvement of Anonymization in Bioethics Law", Journal of the Korea Bioethics Association, Vol. 20, No. 2, pp. 1-28. 2019. http://dx.doi.org/10.37305/JKBA.2019.12.20.2.1 

  16. Y. H. Bang, H. S. Rhee, I. H. Lee, "A Comparative Study of Regional Medic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and Privacy Act",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4, No. 11, pp. 164-174, 2014. http://dx.doi.org/10.5392/JKCA.2014.14.11.164 

  17. K. H. Kim, S. S. Choi, I. H. Kim, Y. T. Shin,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a Digital Healthcare Next-Generation Information Protection System",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Vol. 27, No. 7, pp. 57-64, 2022. http://doi.org/10.9708/jksci.2022.27.07.057 

  18. K. Y. E. Aryanto, A. Broekema, M. Oudkerk, P. M. A. van Ooijen, "Implementation of an Anonymisation Tool for Clinical Trials Using a Clinical Trial Processor Integrated with an Existing Trial Patient data Information System", European Radiology, Vol. 22, No. 1, pp. 144-151, 2012. https://doi.org/10.1007/s00330-011-2235-y 

  19. A. Jobin, M. Ienca, E. Vayena, "The Global Landscape of AI Ethics Guidelines", Nature Machine Intelligence, Vol. 1, No. 9, pp. 389-399, 2019. http://dx.doi.org/10.1038/s42256-019-0088-2 

  20. Y. B. Cho, S. H. Woo, S. H. Lee, J. B. Park, "On the HIDE based Group Signature for Secure Personal Healthcare Record Cervic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Vol. 19, No. 10, pp. 2481-2490, 2015. http://dx.doi.org/10.6109/jkiice.2015.19.10.2481 

  21. J. Yang, Y. S. Lee, Y. Hong, "Implementation of Secured Remote EMR Medical Information using Encryption Algorithm",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JIIBC), Vol. 14, No. 4, pp. 133-139, 2014. 

  22. H. Bauchner, R. M. Golub, P. B. Fontanarosa, "Data Sharing: An Ethical and Scientific Imperative", Th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Vol. 315, No. 12, pp. 1237-1239, 2016. http://dx.doi.org/10.1001/jama.2016.2420 

  23. L. A. Jorgenson, C. D. Wolinetz, F. S. Collins, "Incentivizing a New Culture of Data Stewardship: the NIH Policy for Data Management and Sharing", Th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Vol. 326, No. 22, pp. 2259-2260, 2021. http://dx.doi.org/10.1001/jama.2021.20489 

  24. S. M. Choi, K. J. Kim, "A Study on the Safe Use of Data in the Digital Healthcare Industry based on the Data 3 Act",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13, No. 4, pp. 25-37, 2022. http//doi.org/10.15207/JKCS.2022.13.04.025 

  25. K. H. Lee, K. H. Kim, "A Study on the Contents and Limitation of Guidelines for Utilization of Healthcare Data", Hannam Journal of Law & Technology, Vol. 26, No. 4, pp. 89-118, 2020. http://doi.org/10.32430/ilst.2020.26.4.89 

  26. H. J. Lee, "Consideration of Legal Issues Related to the Applic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Health Care", Korean Journal of Medicine and Law, Vol. 28, No. 1, pp. 92-127, 2020. http://dx.doi.org/10.17215/kaml.2020.06.28.1.97 

  27. T. S. Shin, "The Meaning and Tasks of Guidelines for Utilization of Healthcare Data", The Korean Society of Law and Medicine, Vol. 22, No, 3, pp. 31-55, 2021. https://doi.org/10.29291/kslm.2021.22.3.03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