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원 및 공원시설 BF인증 평가지표 분석을 통한 개선방향 도출 연구
Study on Deriving Improvements through Analysis of BF Certification Evaluation Indicators for Parks and Park Facilities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50 no.5, 2022년, pp.13 - 29  

김미혜 (상명대학교 대학원 환경자원학과) ,  구본학 (상명대학교 그린스마트시티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장애인등편의법 개정에 따라 2021년 12월 4일 이후 최초 공원조성계획이 수립되는 공원 및 공원시설은 의무 대상이며, 공원은 장애인 등을 위한 편의시설을 의무적으로 설치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공원 인증 평가지표와 공원시설의 건축물 인증 평가지표 및 인증 현황 사례의 평가서를 비교 분석하여 공원 인증 평가지표의 개선 방향을 도출하는 데 있다. 연구 방법으로 첫째, 공원과 공원시설의 인증 대상에 대해 공원녹지법과 비교 고찰하였으며, 인증 과정상 차이점, 인증 실적 등을 비교 분석하였다. 둘째, 공원과 건축물 BF인증 평가지표를 분석하여 차이점 및 공통항목을 도출하였다. 셋째, BF인증 공원 4개소와 인증 공원 내 공원시설의 건축물 인증 사례 4개소를 대상으로 자체평가서, 심사 결과를 중심으로 차이점, 문제점 등을 분석한 후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공원과 건축물 평가지표를 분석한 결과 평가목적, 평가 방법, 평가항목이 공통으로 적용되는 항목은 매개시설의 접근로 7개, 장애인 전용 주차구역 5개, 안내시설의 안내설비 2개, 위생시설의 5개 범주의 14개, 기타 설비 1개로 분석되었다. 위생시설 항목은 공원으로 평가된 사례가 없고 부설 화장실이 아닌 경우 건축물로 인증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공원과 공원시설의 건축물 배점 점수가 자체평가보다 심사 결과 시 하락하였으며, 건축물은 3개소에서 인증 등급이 하락하였다. 표준편차가 가장 큰 항목은 공원은 BF보행 연속성, 건축물은 접근로 중 주 출입구까지의 경로 항목이었다. 위생시설을 제외하고 공통적인 평가항목 19개를 공원과 건축물의 심사 결과를 분석한 결과 1개의 항목을 제외하고는 사례 대상지별 평가항목의 배점 등급 차이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공원과 건축물 공통으로 평가되는 항목에 대한 동일한 세부 산출기준을 적용이 필요하며, 위생시설은 공원 인증된 사례가 없고 건축물로 인증되고 있으므로 부속 화장실에 대한 개념 정립과 공원 위생시설 평가지표 적용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공원 내 평가되지 않는 항목에 대한 조정과 공원 특성을 고려한 평가지표를 신설하는 등 공원 특성에 적합한 평가지표가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가 공원 인증지표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해 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ccording to the revision of the Convenience Act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parks and park facilities where the first park development plan is established after December 4, 2021 are mandatory, and parks must be equipped with convenience facilities for the disabled. Hence, this study aims to deri...

주제어

참고문헌 (29)

  1. Chung, S. W. and J. H. Rho(2017) Case study of barrier free design for transportation vulnerable: Focusing on transfer station complex in Seoul station.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8(3): 333-344. 

  2. Enforcement Decree of the Act on the Promotion of Convenience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the Elderly, Pregnant Women, etc(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 보장에 관한 법률 시행령, 대통령령 제32824호). Korea. 

  3. Kang, B. K., K. J. Park, H. J. Chung, J. H. Kang and J. H. Lee(2007) A study on the planning of the urban park with analyse of barrier free urban parks in Japan.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23(12): 95-102. 

  4. Kang, B. K., T. S. Kang, S. W. Kim and J. H. Lee(2016) A study on barrier-free certification evaluation of the bus terminal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 22(2): 7-14. 

  5. Kang, H. K., S. J. Lee and S. J. Back(2016) Current status and user satisfaction analysis of neighborhood park for barrier free friendly park - A focus on Cheonho park, Gandaemae park and Hunlyunwon park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9(1): 135-153. 

  6. Kang, J. M. and G. R. Lee(2009) A barrier-free design assessment of sidewalks for improving pedestrian infrastructure.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29(1D): 101-110. 

  7. Kang, T. S. and S. W. Kim(2001) Barrier free design of Boramae park for the disabled.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Plants. People and Environment 4(2): 1-10. 

  8. KIHASA(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2018). A Study on the Activation of the BF Certification System. 

  9. Koddi A(2018) A Study on the Improvement Direction of Barrier-Free Certification (Roads). 

  10. Koddi B(2018) Barrier-Free Certification Guidelines (Building). 

  11. Koddi(2015) A Study on the Improvement Direction of Barrier-Free Certification (Park). 

  12. Koddi(2017) A Study on the Improvement Direction of Barrier-Free Certification (Passenger Facilities). 

  13. Koddi(2021) Barrier Free Certification Guidelines (Park). 

  14. Lee, J. S. and D. S. Eun(2019) An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barrier free certifications in elementary school.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7): 26-35. 

  15. Lee, K. I.(2012) A review on the level comparison of barrier-free certification criteria.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16(2): 159-187. 

  16. Meang, J. H., S. J. Kim and S. M. Lee(2016) "A study on improving direction of the barrier-free certification evaluation item of school facilities." The Journal of Sustainable Design and Educational Environment Research 15(2): 23-33. 

  17. Park, S. W. and Y. T. Cho(2016) "Study on status of barrier free certification & improvement strategies." LHI Journal of Land, Housing, and Urban Affairs 7(4): 225-237. 

  18. Run, P. S. and J. K. Lee(2019). "A study on the analysis of self-assessment form based on certification of barrier free in school facilities." The Journal of Sustainable Design and Educational Environment Research 18(3): 16-27. 

  19. Run, P. S. and J. K. Lee(2020) "A basic study on the application of text-maining method for qualitative evaluation through barrier free certification in school facilities." The Journal of Sustainable Design and Educational Environment Research 19(1): 25-35. 

  20. Ryu, S. O., I. S. Kim and S. J. An(2018) A study for problems and current status of standards about authentication of a barrier-free living environment (passenger facilities)-Through related laws comparison and investigation.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 24(4): 37-45. 

  21. Ryu, S. O., I. S. Kim, S. J. An and J. Y. Park(2019) "A study on problems of the barrier-free (BF) certification criteria found through assessment of passenger facilities using the certification criteria and methods to improve the certification criteria."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 25(4): 61-70. 

  22. Seo, E. S. and B. H. Koo(2015) A study of improvement plans for urban parks through the application of barrier-free living environment certification standards - A focus on Boramae park-.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3(5): 100-110. 

  23. Seo, E. S.(2016) A Study to Improve Indicators for Certifying Barrier-Free Environment in Urban Parks. PhD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of Sangmyung University. 

  24. Seoul(2015). Guidelines for barrier-free friendly parks, Seoul Blue City Bureau, p. 7. 

  25. Seoul(2022.7). 2022 Plans for the project to create barrier-free friendly parks. Seoul Blue City Bureau. 

  26. Song, W. J. and C. H. Kim(2020) Analyze the problems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barrier-free certification: Focusing on analysis of 45 cases and opinion survey of related experts. Journal of urban Policies, 11(2): 95-114. 

  27. Yim, O. Y., and J. S. Kim(2018)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analysis of barrier free certification-A focus on the elementary school in Daejeoun city-.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the Spatial Design 13(6): 371-380. 

  28. https://www.koddi.or.kr/bf/data/resultDataList.do (accessed in 2022.8.) 

  29. https://www.law.go.kr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