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S-BRT 주행로별 대중교통 우선신호 제어 전략
Control Strategy of Transit Signal Priority by S-BRT Driveway 원문보기

韓國ITS學會 論文誌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v.21 no.5, 2022년, pp.78 - 89  

김민지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  한여희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  김영찬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존 간선급행버스체계(BRT)의 신속성 및 정시성 저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시철도의 이점을 BRT에 적용한 고급 간선급행버스체계(S-BRT)가 등장하였다. 국내 지침에서는 S-BRT 주행로를 기존 BRT 주행로와 동일한 전용차로와 전용도로로 분류하였다. 그러나 S-BRT와 BRT는 상이한 운행 목표와 특성을 지님으로 서로 다른 체계적인 S-BRT 주행로 구분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여건을 바탕으로 S-BRT 주행로를 전용차로, 혼용차로, 일반차로로 분류하였다. 이후 목표 서비스 수준 달성을 위해 각 주행로별 특성을 바탕으로 대중교통 우선 신호 제어 전략을 제시하였다. 대부분의 분석 시나리오에서 S-BRT 목표 서비스 수준을 달성했으며 전용차로, 혼용차로, 일반차로 순으로 높은 운행 속도를 보였다. 본 결과는 S-BRT 운행시 각 주행로별 특성을 고려한 대중교통 우선신호 운영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각 지자체에서 S-BRT 도입 시 주행로 설계와 우선신호 운영을 위한 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uper - Bus Rapid Transit (S-BRT), adding the advantages of urban railroads to BRT, has emerged to solve the problem of low speed and reliability of the existing BRT. Notably, the S-BRT driveway is classified into exclusive lanes and roads, as BRT, in the domestic guidelines. However, S-BRT and BRT ...

주제어

참고문헌 (17)

  1. Altun, S. Z. and Furth, P. G.(2009), "Scheduling buses to take advantage of transit signal priority",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vol. 2111, no. 1, pp.50-59. 

  2. Anderson, P. and Daganzo, C. F.(2020), "Effect of transit signal priority on bus service reliability",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B: Methodological, vol. 132, pp.2-14. 

  3. Florek, K.(2020), "Arterial Traffic Signal Coordination for General and Public Transport Vehicles Using Dedicated Lanes", Journal of Transportation Engineering, Part A: Systems, vol. 146, no. 7, pp.04020051: 1-13. 

  4. Gang, J., Park, J., Lee, S. and Choe, Y.(2005), "Trends and Introduction of BRT in Korea and Abroad", Journal of the Korea Road & Transportation Association, no. 98, pp.8-25. 

  5. Han, Y., Kim, M. and Kim, Y.(2022), "Progression Control Model to Enhance Performance of Transit Signal Priority", IEEE Access, vol. 10, pp.14397-14408. 

  6. Kim, H., Cheng, Y. and Chang, G.(2019), "Variable Signal Progression Bands for Transit Vehicles Under Dwell Time Uncertainty and Traffic Queues", IEEE Transactions on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vol. 20, no. 1, pp.109-122. 

  7. Kim, M., Han, Y. and Kim, Y.(2021), "The Strategy of Public Transportation Schedule Control Considering the Variability of Dwell Time", The 2021 Korean Institute of ITS Fall Conference, pp.139-141. 

  8. Kim, T., Jeong, Y. and Kim, Y.(2010), "Effectiveness of Bus Signal Priority on Bus Rapid Transit",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Conference, pp.109-113. 

  9. Ko, J.(2020), "Introduction Issues and Progress Direction of BRT in the 3rd New Town", Monthly Public Policy, vol. 174, pp.51-53. 

  10. Ma, W., Zou, L., An, K., Gartner, N. H. and Wang, M.(2018), "A Partition-Enabled Multi-Mode Band Approach to Arterial Traffic Signal Optimization", IEEE Transactions on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vol. 20, no. 1, pp.313-322. 

  11. Ministry of Construction & Transportation(2005), Bus Rapid Transit Manual. 

  12. Ministry of Construction & Transportation(2006), Bus Rapid Transit(BRT) Design Guidelines. 

  13.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2017), Technical Standards for Bus Rapid Transit Facilities. 

  14.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2019), Guideline of Super Bus Rapid Transit. 

  15.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2010), Bus Rapid Transit(BRT) Design Guidelines. 

  16. Smith, H. R., Hemily, B., Ivanovic, M. and Fleming, G.(2005), Transit Signal Priority (TSP): A Planning and Implementation Handbook. 

  17. Truong, L. T., Currie, G., Wallace, M., De Gruyter, C. and An, K.(2018), "Coordinated Transit Signal Priority Model Considering Stochastic Bus Arrival Time", IEEE Transactions on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vol. 20, no. 4, pp.1269-127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