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 분석을 이용한 균열 콘크리트 내 염화물 침투 정량화 평가
Quantifying Chloride Ingress in Cracked Concrete Using Image Processing 원문보기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v.26 no.4, 2022년, pp.57 - 64  

김건수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구조연구본부) ,  박기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구조연구본부) ,  김재환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구조연구본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염화물은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주요 열화 요인 중 하나로 철근 부식을 발생시켜 구조물의 성능을 저하시킨다. 염해에 의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열화정도 또는 철근 부식 개시 시기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철근 깊이에서의 염화물 농도 또는 콘크리트 내에서 염화물 침투 속도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인 콘크리트내 염화물 침투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으로는 염화물 침투 깊이별로 전위차 적정법과 같은 방법으로 염화물 농도를 측정하는 염화물 프로파일링 방법이나 질산은 용액을 이용하여 콘크리트의 변색된 범위를 다지점 측정하여 침투 깊이를 측정하는 방법이 대표적이다. 전자의 경우에는 정확하게 염화물 농도를 직접 측정하기 때문에 염화물 침투 속도 (일반적으로 확산계수)를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작업이 번거롭다는 단점이 있다. 후자는 질산은 용액과의 반응에 따른 변색 범위를 측정하여 염화물 침투 깊이를 산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간편하고 결과의 신뢰성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침투 깊이를 산정하는데 있어서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오류가 발생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변색법에 의해 얻어진 결과를 이미지 분석을 통해 콘크리트 내의 염화물 침투 깊이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작업자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콘크리트의 미세 균열이 염화물 침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확인하였다. 이미지 분석을 통해 염화물 침투 깊이를 정량화한 결과 염화물은 미세균열부를 통해 빠른 속도로 염화물 침투가 발생한다는 것을 확인 하였기 때문에, 콘크리트 구조물에서는 특히 균열 발생에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hloride, which is one of the main deterioration factors in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can degrade the performance of the structure due to chloride-induced corrosion of steel. Chloride content at steel depth or the rate of chloride penetration is necessary to determine deterioration of reinforc...

주제어

표/그림 (14)

참고문헌 (14)

  1. Abbas, Y., Pargar, F. Koleva, D. A. van Breugel, K. Olthuis, W. van den Berg, A. (2018). "Non-destructive measurement of chloride ions concentration in concrete - A comparative analysis of limitations and prospects"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Vol. 174, pp. 376-387, DOI: 10.1016/j.conbuildmat.2018.04.135. 

  2. Angst, U. M., Polder, R. (2014) "Spatial variability of chloride in concrete within homogeneously exposed areas"Cement and Concrete Research, Vol. 56, pp. 40-51, DOI:10.1016/j.cemconres. 2013.10.010. 

  3. ASTM C 1202 (2022) Standard test method for electrical indication of concrete's ability to resist chloride ion penetration, ASTM International, West Conshohocken. 

  4. BS EN 206 (2014). Concrete-Specification, perforamnce, production and conformity, British Standards, Institution, London. 

  5. Delagrave, A., Bigas, J. P., Ollivier, J. P., Marchand, J. and Pigeon, M. (1997) "Influence of the interfacial zone on the chloride diffusivity of mortars"Advanced Cement Based Materials, Vol. 5, No. 3-4, pp. 86-92, DOI:10.1016/S1065-7355(96)00008-9. 

  6. Kim, K-. S., Park, K-. T., Kim. J. (2020) "Evaluating chloride absorption of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with crack width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Vol. 24, No. 6, pp.10-16, DOI:10.11112/jksmi. 2020.24.6.10. (in Korean) 

  7. Kim, K-. S., Park, K-. T., Kim. J. (2021) "FEA simulations on water absorption in various pre-cracked concrete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Vol. 25, No. 5, pp.68-75, DOI:10.11112/jksmi.2021.25.5.68. (in Korean) 

  8. Kim, M-. Y., Yang, E-. I., Yi, S-. T. (2013) "Application of the colorimetric method to chloride diffuison evaluation in concrete structures"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Vol.41, pp.239-245, DOI:10.1016/j.conbuildmat.2012.11.084. 

  9. KS F 2405 (2010) Standard test method for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Korean Standards Association (in Korea) 

  10. NT Build 492 (1999). Concrete, mortar and cement-based repair materials:Chloirde migration coefficient from non-steady-state migration experiments, Nordtest, Espoo 

  11. Sajid, H. U., Jalal, A., Kiran, R. and Al-Rahim, A. (2022). "A survey on the effects of deicing materials on properties of Cement-based materials"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Vol. 319, pp. 126062, DOI: 10.1016/j.conbuildmat.2021.126062. 

  12. Streicher, P. E. and Alexander, M. G. (1995) "A chloride conduction test for concrete"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Vol. 25, No. 6, pp. 1284-1294, DOI: 10.1016/0008-8846(95)00121-R. 

  13. Tuutti, K. (1982) Corrosion of steel in concrete, Swedish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Institute, Stockholm. 

  14. Ye, H., Tian, Y., Jin, N., Jin, X. and Fu, C. (2013) "Influence of cracking on chloride diffusivity and moisture influential depth in concrete subjected to simulated environmental conditions"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Vol. 47, pp. 66-79, DOI:10.1016/j.conbuildmat.2013.04.024.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