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낙동강하구 시범개방에 따른 수변식생 모니터링 및 건강성 평가
Riparian Vegetation Monitoring and Health Assessment by Pilot Opening of Nakdonggang River Estuary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36 no.5, 2022년, pp.445 - 459  

최현구 (K-water 낙동강유역관리처) ,  김화영 (K-water 부산권지사) ,  이준열 (K-water 낙동강유역관리처) ,  손병용 (K-water 낙동강유역본부) ,  이지영 (K-water 부산권지사)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낙동강하굿둑 개방으로 인한 하구 인근의 식생 변화를 모니터링하기 위해서 현재 식생에 대해서 조사하고, 하구수변식생평가지수를 통해서 식생의 건강성을 평가하였다. 장기모니터링의 첫 번째 조사로 낙동강하구 인근의 6개 구역에 대해서 2021년 7월과 10월 2차례 수행하였으며, 식생모니터링 및 수생식물, 수변식물, 육상식물의 종조성, 분포밀도 조사를 진행하였다. 조사구역 내에서 확인된 관속식물은 82과 192속 230종 1아종 28변종 3품종 262분류군으로 파악되었다. KREVI를 통한 식생건강성 평가 결과는 1, 6번 구역이 두 차례 조사에서 모두 '매우 좋음' 등급이었고, 2, 4번 구역은 '매우 좋음'에서 '좋음'으로 2차 조사결과가 낮게 산정되었으며, 3, 5번 구역은 1차 조사에 비해 2차 조사결과가 1등급 상향되었다. 조사구역 대부분의 건강성 등급이 대체로 높게 평가되었다. 기수역 조성을 위한 수문개방 후 잠재자연식생의 대부분은 갈대군락으로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되며, 수역과 인접한 버드나무군락의 경우 다소 면적이 좁아질 수 있으나 군락 형태를 유지하고, 염분농도가 매우 낮은 내륙지역 담수역의 경우 갈대가 대부분을 차지하며, 일부 물억새, 부들 등의 군락이 분포할 것으로 사료된다. 장기모니터링을 통해 이런 예상되는 변화를 관찰하며, 건강한 기수역이 조성될 수 있도록 하굿둑 개방 운영방안 등 대책이 수립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current vegetation and assessed the health of vegetation through the KERVI (Korea Estuary Riparian Vegetation Index) to monitor vegetation changes near estuaries due to the opening of the Nakdong River estuary. As the first investigation of the long-term monitoring, si...

주제어

표/그림 (13)

참고문헌 (19)

  1. BMC(2018) Nakdong River estuary ecosystem monitoring 2017~2018. Busan Metropolitan City, pp.279-305. (in Korean) 

  2. Braun-Blanquet, J.(1932) Plant sociology: The study of plant communities. McGraw-Hill, New York, 439pp. 

  3. Ellenberg, H.(1988) Vegetation ecology of Central Europe(4th ed.).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4. Engler, A.(1964) Syllabus der Pflazenfamilien. II Band. Gebruder Borntraeger, Berine-Nikilassee, 137pp. 

  5. Hong, M.G.(2015) Effects of freshwater inflow, salinity, and water level on the growth of common reed in salt marsh. Ph.D.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pp.94-9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Kim, D.H., H.B. Park and S.K. Park(2016) The investigation of sea water intrusion length on opening of Nakdong river estuary barrage using numerical simulation model. J. Korean Soc. Hazard Mitig. 16(5): 299-30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Lee, J.H. and B.H. Choi(2010) Distribution and northernmost limit on the Korean peninsula of three evergreen trees. Korean J. Pl. Taxon. 40(4): 267-27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Lee, S.J.(2015) Effects of salt stress on the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Salix koreensis. Maste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pp.11-1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Lee, Y.K. and K.H. Ahn(2012) Actual vegetation and vegetation structure at the coastal sand bars in the Nakdong Estuary, South Korea. Kor. J. Ecol. 26(6): 911-92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ME(2018) The 3th study on establishment of wetland protection areas conservation plan in Nakdong River Estuary. Ministry of Environment, pp.114-124. (in Korean) 

  11. ME, MOLIT, MOF, BMC and K-water(2021) Operation rule improvement and ecological restoration plan of Nakdong estuary(II). 5pp. (in Korean) 

  12. MEV.NIER(2006) Wetland reserves research-Nakdong river estuary.Upo wetland.Mujechi.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pp.25-76. (in Korean) 

  13. NIBR(2020) Wetland preference and life form of the vascular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NIER(2019) Guidelines for surveying the status of aquatic ecosystems and methods for assessing health (Estuary edition).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ncheon, Korea, pp.37-42. (in Korean) 

  15. Noh, H.K., H.K. Ryu, J.H. Ryu, H.Y. Kim and J.H. Chun(2020) Status and plan of Operation rule improvement and ecological restoration plan of Nakdong estuary.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pp.21-22. (in Korean) 

  16. Raunkiaer, C.(1934) The life forms of plants and statistical geography. Claredon, Oxford, 632pp. 

  17. Tuxen, R.(1956) Die heutige potentielle naturliche vegetation als gegenstand der vegetationskartierung [Today's potential natural vegetation as an object of vegetation mapping]. Angewandte Pflanzensociologie 13: 5-42. 

  18. Westhoff, V. and E. Maarel(1978) The braun-blanquet approach (2nd ed.). In: R.H. Whittaker(ed.), Classification of plant communities.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pp.287-399. 

  19. Yim, Y.J.(1977)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and climate in the Korean Peninsula. IV. Zonal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in relation to thermal climate. Japanese Journal of Ecology 27: 269-27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