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입지특성에 따른 문화재 유형별 홍수 민감성 기초연구
A Study on Flood Susceptibility of Heritage Sites by Heritage Type Depending on Locational Characteristics 원문보기

韓國傳統造景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v.40 no.3, 2022년, pp.46 - 56  

김지수 (국립문화재연구원 안전방재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 문화재의 입지특성을 분석하여 문화재 유형별 홍수 민감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홍수 민감성 관련 입지요인으로 고도, 경사, 최소 수계거리, 지형입지를 분석하고, 문화재가 현 지점에 위치하게 된 역사·인문적 입지환경을 문헌고찰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특별시 문화재는 특히 한양도성 내에 집중 분포하고 있다. 계량적 공간분석 결과에서도 중구-종로구-은평구 진관동-강북구 우이동을 중심으로 문화재가 밀집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둘째, 홍수 민감성이 높은 입지특성을 지닌 문화재 유형은 상업·유통, 교통, 근대교통·통신, 지구과학기념물, 주거, 관청, 궁궐로 나타났다. 셋째, 홍수 민감성이 낮은 입지특성을 지닌 유형은 자연명승, 통신, 요업, 불교, 무덤, 능묘조각 문화재로 나타났다. 자연환경의 변화와 더불어 인위적인 영향으로 인해 문화재의 가치를 손상시킬 수 있는 위험 요인들이 점차 증가하는 작금에, 본 연구는 문화재 고유의 특성을 반영한 취약성 분석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이는 자연적 요인과 더불어 인문·사회과학적 자료를 분석에 함께 포함하여 문화재 관리 및 보호를 위한 좀 더 포괄적이고 종합적인 통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heritage sites in Seoul in order to identify flood susceptibility by type. As for the location factors related to flood susceptibility, elevation, slope, distance to streams, and topographic location were analyzed. Literature review was s...

주제어

표/그림 (12)

참고문헌 (42)

  1. 국립문화재연구소(2008). 건축문화재 재해예방 기획연구. 국립문화재연구소 보고서. 

  2. 문화재청(2011). 숭례문 화재 이후의 문화재 방재시스템 구축 싱과. 문화재청 보고서. 

  3. 김진욱, 부경온, 최준태, 변영화(2018). 한반도 100년의 기후변화. 국립기상과학원 보고서. 

  4. 기상청 국가태풍센터(2019). 태풍분석 및 예측기술 개발. 기상청 국가 태풍센터 보고서. 

  5. 기상청 기후과학국 기후변화감시과, 국립 기상과학원 미래기반연구부(2021). 우리나라 109년(1912-2020년) 기후변화 분석 보고서. 기상청 기후과학국 기후변화감시과.국립 기상과학원 미래기 반연구부 보고서. 

  6. 문화재청(2016). 2016년도 주요업무계획. 문화재청. 

  7. 문화재청 안전기준과 내부자료. 문화재 재난상황 발생보고(2006~2020년 자료). 

  8. UNESCO, ICCROM, ICOMOS, IUCN(2010). World Heritage Resource Manual : Managing Disaster Risks for World Heritage. UNESCO World Heritage Centre. 

  9. UNISDR(2015). Sendai Framework for Disaster Risk Reduction 2015 - 2030. Geneva : UNISDR. 

  10. Crozier, M., and Glade, T.(2010). Hazard assessment for risk analysis and risk management. In I. Alcantara-Ayala & A. Goudie, eds.. Geomorphological Hazards Disaster Prevention.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221-232. 

  11. Dominguez-Cuesta, M. J. (2013). Susceptibility. In P. T. Bobrowsky, eds., Encyclopedia of Natural Hazards. Encyclopedia of Earth Sciences Series. Dordrecht : Springer. 

  12. 김창환, 배선학(2006). 문화유적의 공간적 입지 유형 분석.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2(5): 583-594. 

  13. 정계옥, 이진영, 양동윤(2006). GIS를 통해 본 영산강유역 고분의 분석 시론. 승실사학. 19: 295-324. 

  14. 이진영, 홍세선, 양동윤, 김주용(2011). 남한에 분포하는 유적의 분포 특성.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4(2): 14-27. 

  15. 서울역사박물관(2005). 서울특별시 문화유적 지표조사 종합보고서. 

  16. 서울역사편찬원(2015). 서울 2천년사 3. 한성백제의 건국과 발전. 

  17. 김영란(2004). 서울시 침수피해 저감을 위한 우수저류시설 적용방안. 서울시정개발연구원 보고서. 

  18. 서울특별시(2011). 광화문광장 침수해소사업 단기대책 기본 및 실시 설계 보고서. 

  19. Tehrany, M. S, Pradhan, B. and Jebur, M. N.(2013). Spatial prediction of flood susceptible areas using rule based decision tree (DT) and a novel ensemble bivariate and multivariate statisstical models in GIS. Journal of Hydrology. 504 : 69-79. 

  20. 황유정(2006). 홍수에 의한 침수 취약지역 예측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2(1): 172-178. 

  21. Khosravi, K., Nohani, E., Maroufinia, E., Pourghasemi, H. R. (2016). A GIS-based flood susceptibility assessment and its mapping in Iran: a comparison between frequency ratio and weights -of-evidence bivariate statistical models with multicriteria decision-making technique. Natural Hazards. 83(2): 947-987. 

  22. Ologunorisa, T., Abawua, M.(2005). Flood risk assessment: a of Applied Sciences and Environmental review. Journal Management. 9(1): 57-63. 

  23. 강인애, 이경찬(2021). 역사도시구조와 연계한 도시수체계의 구성형태와 역할에 관한 연구 - 경주, 개경, 한양, 수원화성을 중심으로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9(4): 99-110. 

  24. 유경희(1986). 서울시 하계변화 과정에 관찬 연구: 도성지역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성효현(1994). 서울의 도시성장과 자연환경. 1994년 서울학 세미나 I : 서울의 자연과 지리인식체계. 1-14. 

  26. 이용만, 장재훈(1998). 농촌지역의 지형적 환경과 토지이용에 관한 연구. 대산논총. 6 : 409-425. 

  27. http://gis-heritage.go.kr/ 

  28. 김상협, 최경란 (2010). 조선시대 수변정자건축의 자연추구기법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6(5), 249-256. 

  29. 이제이, 성종상, 손용훈, 김태균(2016). 조선시대 선비들의 행락공간으로서 세검정 일대의 문화경관.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4(2): 75-86. 

  30. 이현군(2005). 조선시대 한성부의 형성배경과 입지적 특성. 한국도시지리학회. 8(1): 29-39. 

  31. 김영근(2003). 일제하 경성 지역의 사회.공간구조의 변화와 도시경험- 중심-주변의 지역분화를 중심으로. 서울학연구. 20: 139-180. 

  32. 이상윤, 김용기(1995). 조선시대 서원의 입지특성 및 변화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3(1): 1157-1173. 

  33. 노송호, 심우경(2006). 향교(鄕校)와 서원(書院)의 입지 및 외부공간 분석을 통한 한국적 교육환경 모색.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4(4): 25-37. 

  34. 조상순(2012). 조선시대 향교 건축의 공간 구성: 기문 및 문헌자료를 중심으로. 동양예술. 20(20) : 147-186. 

  35. 김정선(2003). 조선시대 자기가마 구조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36. 문동석(2아3). 한양, 경성 그리고 서울. 서울: 상상박물관. 

  37. 이명엽, 민소리, 김미경, 지혜정(2008). 서울 지역 회곽묘 연구- 서울 은평 . 신내동 유적을 중심으로 야외고고학. 5 : 79-113. 

  38. 최원석(2아6). 조선왕릉의 역사지리적 경관특징과 풍수담론.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2(1): 135-150. 

  39. 김동현, 최종희(2015). 시(詩),서(書),화(畵)를 통해 본 18,19세기 한양(漢陽)의 원림 향유문화.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3(2) : 36-48. 

  40. 정치영(2013). 조선시대 사대부들의 유람 중의 활동. 역사민속학. 42 : 37-70. 

  41. 이경준(2006). 한국의 천연기념물: 노거수편. 서울: 아카데미서적. 

  42. 함연수. 성종상(2021). 장소기억의 매개로서 느티나무의 의미 고찰 - 역말 원주민과 도곡동 경남아파트 이주민을 중심으로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9(3) : 42-5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