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선시대 무장읍치(茂長邑治)의 원형경관 고찰
A Study on Prototype Landscape of Mujang-Eupchi(茂長邑治) during Joseon Dynasty 원문보기

韓國傳統造景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v.40 no.1, 2022년, pp.1 - 14  

심순희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문화재수리기술학과) ,  송석호 (고려대학교 대학원 환경계획 및 조경학전공) ,  김충식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전통도시인 조선시대 무장읍치(茂長邑治)의 입지특성을 고찰하여 원형경관을 규명하는데 주력하였다. 요약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무장읍치는 태종17년(1417)에 축조된 무장읍성(茂長邑城)을 중심으로 동쪽에 향교를 세워 문묘를 조성하고, 서쪽에 사직단을 두었으며, 읍성 내에 성황사를 세웠고, 북쪽의 진산(鎭山)인 한제산에 성황단과 여단을 배치한 유교적 공간체계를 보였다. 진산에 위치한 성황단의 경우 읍성 내의 성황사와 공존체제를 유지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읍성의 남문 앞으로 V자형 풍수계(風水溪)가 흘러 안산(案山)인 남산 앞에서 수구(水口)를 이루는데, 고을의 기운을 보호하기 위해 남지(南池)인 홍문제(紅門堤)를 조성하고 관풍정(觀豊亭)을 조영하였다. 19세기에 홍문제는 무흥제(茂興堤)로, 관풍정은 무흥당(茂興堂)으로 개칭된 것으로 보았다. 남지에는 원도를 비롯하여 읍수(邑藪)가 식재되고 송덕비와 당산목, 돌당산이 수구막이 역할을 하며 읍치 입구를 비보한 특징을 보였다. 그러나 1955년경에 남지가 매몰되고 이후 시장이 들어서면서 원형의 모습을 잃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1914년 일제강점기 부군면 통폐합(府郡面 統廢合)으로 멸실 위기에 처한 고을의 칠거리 명칭과 위치를 구명하였다. 칠거리당산은 음양론에 따라 주로 할아버지당산 입석과 할머니당산 신목이 구성의 주체가 되었다. 칠거리당산은 마을을 수호하려는 공동체적 신앙장소로서 마을 경계에서 출입을 관장하는 일곱 관문 역할과 읍치내맥을 비보하는 입지특성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focused on examining the location characteristics of Mujang-Eupchi(茂長邑治), a traditional city of Joseon Dynasty, and shedding light on its prototype landscape. The findings were summarized as follows: Mujang-Eupchi showed a Confucian space system with Munmyo(文廟) within Hyanggyo(鄕校) in the ...

주제어

표/그림 (5)

참고문헌 (28)

  1. 전종한(2020). 조선후기 한반도 읍치 경관의 지리적 함의와 세계유산 가치. 대한지리학회지. 55(5): 485-500. 

  2. 박찬용(2005). 한국 읍성의 공간성과 경관성.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3(1): 122-131. 

  3. 박찬용, 황상돈(1999). 조선시대 읍성의 관아정원에 관한 기초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17(3): 53-66. 

  4. 강인애, 이경찬(2008). 근대 읍성도시구조의 변천과정과 신흥주택의 근대성: 함열읍내 근대 부농주택을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6(1): 57-70. 

  5. 양선아, 김정문(2004). 남원의 토지이용 및 가로변천에 관한 연구: 조선후기 남원읍성을 기준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2(4): 9-25. 

  6. 신상섭(2004). 전통정주지의 환경적 건전성과 지속성에 관한 기초연구: 외암마을과 낙안읍성을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2(1): 27-38. 

  7. 신상섭, 이승연(2016). 「숙천제아도(宿踐諸衙圖)」를 통해 본 조선시대 읍치(邑治)의 공간구조와 관아(官衙) 조경: 평안도 영유현과 황해도 신천군을 중심으로. 문화재지. 49(2): 86-103. 

  8. 정용조(2017). 동서양 해자(垓字)문화의 현대적 가치 재조명.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5(1): 25-35. 

  9. 이경찬, 강인애(2020). 수체계가 홍주성의 입지와 공간구조 변천과정에 미친 영향.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8(4): 12-24. 

  10. 호남문화재연구원(2015). 고창 무장현 관아와 읍성 학술대회. 광주: 라인. 

  11. 호남문화재연구원(2021). 고창 무장현 관아와 읍성VIII. 고창군. 

  12. 백종오(2015). 고창 무장읍성의 보존 및 활용방안. 문화사학. 44(-): 251-277. 

  13. 고창군(2009, 2016). 고창 무장현 관아와 읍성 종합정비계획. 

  14. 이재두(2018). 1793년 호남읍지의 편찬과 그 의미. 한국문화. 84(-): 255-288. 

  15. 越智唯七(1917). 신구대조 조선전도 부군면리동 명칭일람. 경성: 중앙시장. 

  16. 고창군(1992, 2009). 고창군지. 고창군지편찬위원회. 

  17. 최원석(2014). 사람의 산, 우리 산의 인문학. 파주: 한길사. 

  18. 김상태(2017). 전통지리사상의 관점에서 본 조선시대 읍성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 홍순민(2017). 홍순민의 한양읽기 궁궐 上. 서울: 눌와. 

  20. 배성수(1978). 무장향교지. 무장향교. 

  21. 이중환 저, 이익성 역(2009). 택리지. 서울: 을유문화사. 

  22. 박호원(1996). 중국 성황의 사적 전개와 신앙성격. 민속학연구 3. 국립민속박물관. 

  23. 서영대(1998). 한국.중국의 성황신앙사와 순창의 성황대신사적. 성황당과 성황제. 한국종교사연구회 편. 서울: 민속원. 

  24. 최종석(2005). 조선 초기 성황사의 입지와 치소. 동방학지. 131(-): 37-88. 

  25. 최종석(2009). 한국의 전통적 읍치 경관의 창출에 관한 시론. 역사교육. 112(-): 161-187. 

  26. 신혜원(2017). 조선시대 성황 제소의 혼란한 양상에 관한 연구. 아시아문화연구. 44(-): 125-150. 

  27. 국립민속박물관(1994). 전북지방 장승.솟대신앙. 국립민속박물관 학술총서. 14. 

  28. 김종수(2015). 무장현의 사적 고찰과 성혼의 정통. 무장현 객사별관무장남극관. 전주: 대흥정판사.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