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학 수업에서의 실감형 콘텐츠 활용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인식과 요구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and Demands on the Use of Realistic Content in Science Class 원문보기

초등과학교육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v.41 no.3, 2022년, pp.480 - 500  

차현정 (춘천교육대학교) ,  윤혜경 (춘천교육대학교) ,  박정우 (제주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에서는 과학 수업에서 실감형 콘텐츠를 활용한 경험이 많은 초등 교사를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통해 실감형 콘텐츠의 활용에 대한 인식과 요구 사항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1) 과학 수업에서 초등 교사는 주로 어떠한 실감형 콘텐츠를, 어떠한 방식으로 활용하고 있는지, (2) 과학 수업에서 실감형 콘텐츠 활용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인식과 어려움은 무엇인지, (3) 과학 수업에서 실감형 콘텐츠 활용을 위한 연수에서의 초등 교사의 요구 사항은 무엇인지에 관해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첫째, 초등 교사는 주로 디지털교과서와 '사이언스레벨업'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실감형 콘텐츠를 사용하였고 콘텐츠 유형은 활용 목적에 따라 '탐구형', '방문형', '제작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둘째, 초등 교사들은 실감형 콘텐츠 활용의 교육적 장점으로 과학 내용 이해에 도움, 흥미와 호기심 유발, 실재감을 통한 몰입을 언급하였다. 실감형 콘텐츠 사용과 관련된 어려움은 여러 가지가 언급되었으나 과학 수업 내용에 적합한 양질의 교육용 콘텐츠가 매우 부족하다는 점, 실감형 콘텐츠를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수업 사례의 예시가 부족하다는 점 등이 있었다. 셋째 실감형 콘텐츠 활용을 위한 교사 연수와 관련해서 초등 교사들은 질 좋은 실감형 콘텐츠에 대한 정보 제공, 구체적인 수업 사례 중심의 연수, 실감형 콘텐츠 유형별로 적용해 볼 수 있는 수업 모형의 제공, 필요한 기기의 구입, 사용, 관리 및 운영에 관련된 정보 안내가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반영하여 초등 과학 수업에서 실감형 콘텐츠를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perception and demands on the use of realistic content were analyz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erienced in using realistic content in science classes. Specifically,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investigated: (1) What kind of realistic content a...

주제어

표/그림 (11)

참고문헌 (48)

  1. 강은희(2018). 스마트 지원 수업 설계에서 초등 예비교사들이 보이는 스마트 도구에 대한 인식과 활용의 차이. 초등과학교육, 37(1), 66-79. 

  2. 교육부(2016).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중등학교디지털교과서 국.검정 구분(안). 교육부. 

  3. 교육부(2020). 기초를 다지고, 첨단을 누리며, 미래를 이끄는 과학교육 종합계획(안) [2020년-2024년]. 교육부. 

  4. 교육부, 한국교육학술정보원(2021). 기타자료 PM 2021-12021 디지털교과서와 함께하는 우리 학교. 대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5. 권민경, 유미현(2013). 영재교사 연수 프로그램 평가 및 교사 요구 분석. 과학영재교육, 5(2), 105-119. 

  6. 김연정, 윤세희, 신병석(2021). 포물선 운동을 중심으로한 가상현실 기반 물리 실험 교육 시뮬레이터 개발.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공학, 10(1), 19-28. 

  7. 김우겸, 최동열, 곽승철, 김희수(2019). 가상현실 기술을 활용한 학습이 학습 동기에 미치는 영향. 과학교육연구지, 43(3), 271-283. 

  8. 김우리, 옥민욱(2021).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증강.가상현실 활용현황, 인식 및 TPACK 수준 비교. 특수교육 저널: 이론과 실천, 22(2), 15-44. 

  9. 김정민, 송신철(2020). 3D 파노라마 가상현실 기술을 활용한 식물 생태학습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생물교육, 48(1), 88-98. 

  10. 김창복, 김경(2011). 증강현실 기반 체험학습이 유아동화 학습의 효과 및 수업 활동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6(4), 449-468. 

  11. 김태현, 고장완(2019). 몰입형 가상현실 학습이 중학생의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5(1), 99-120. 

  12. 노경희, 지형근, 임석현(2010). 증강현실 콘텐츠 기반 수업이 학습 성취, 학습 흥미, 몰입에 미치는 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0(2), 1-13. 

  13. 박정우(2020). 공명관 내 정상파 실험을 가시화하기 위한 증강현실 실험 자료 개발. 새물리, 71(8), 673-682. 

  14. 배영임, 신혜리(2020). 코로나 19, 언택트 사회를 가속화 하다. 이슈 & 진단, 416, 1-26. 

  15. 신석진, 노태희, 이재원(2020). 증강현실을 활용한 소집단 학습에서 개념 이해 및 몰입, 상황 흥미를 촉진할 수있는 학습 환경 탐색. 대한화학회지, 64(6), 360- 370. 

  16. 유정민, 서수연, 허송이, 최규리(2021). 사회문제기반 과학-예술 융합교육을 위한 실감형 콘텐츠 개발.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22(12), 1959-1967. 

  17. 윤마병(2019). 3D 파노라마 가상현실 만들기를 통한 학성리 맨삽지 야외학습장 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현장과학교육, 13(3), 339-358. 

  18. 이재원, 박가영, 노태희(2020). 물질의 입자성 개념에서 증강현실을 활용한 다중 표상 학습 전략의 개발과 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지, 40(4), 375-383. 

  19. 이지혜(2020). 비대면 교육에서의 실감형 콘텐츠(AR, VR, 360°) 활용현황 및 개선방향: 초등학교 교육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6(3), 369-377. 

  20. 장재홍, 신원석, 고유정(2020). 교사의 AR.VR 테크놀로지 활용 수업 인식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분석 및 영향변인 탐색.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6(2), 367-393. 

  21. 정민형, 소금현(2021). 증강현실과 가상현실을 활용한 과학 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생물교육, 49(3), 391-398. 

  22. 정보통신산업진흥원(2019). 이슈리포트 2019-15호 VR. AR을 활용한 실감형 교육 콘텐츠 정책동향 및 사례 분석. 충북: 정보통신산업진흥원. 

  23. 주미경, 문종은, 박모라(2013). 중등 교사의 융복합교육 연수 만족도 및 요구 조사. 교과교육학연구, 17(2), 521-547. 

  24. 최섭, 김희백(2020). 가상현실 특성을 반영한 VR 프로그램 기반 수업 적용 및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40(2), 203-216. 

  25. 한국교육학술정보원(2017). KERIS 이슈리포트 증강현실 (AR)과 가상현실(VR) 콘텐츠 이해 및 교육적 활용 방안. 대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6. 한정선, 이경순(2001). 교수-학습 과정에서 가상현실의 구현을 위한 이론적 고찰. 교육공학연구, 17(3), 133-163. 

  27. Akcayir, M., & Akcayir, G. (2017). Advantages and challenges associated with augmented reality for education: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Educational Research Review, 20, 1-11. 

  28. Alfalah, S. F. M. (2018). Perceptions toward adopting virtual reality as a teaching aid in information technology. Education and Information Technologies, 23(6), 2633-2653. 

  29. Al-khalifah, A., & McCrindle, R. (2006). Student perceptions of virtual reality as an education medium. In Proceedings of world conference on educational multimedia, hypermedia and telecommunications 2006 (pp. 2749-2756). Chesapeake, VA: AACE. 

  30. Brill, L. M. (1994). Metaphors for the Traveling Cybernaut: Part II. Virtual Reality World, 2(3), 30-33. 

  31. Chang, Y. L., Hou, H. T., Pan, C. Y., Sung, Y. T., & Chang, K. E. (2015). Apply an augmented reality in a mobile guidance to increase sense of place for heritage places.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 Society, 18(2), 166-178. 

  32. Corbin, J., & Strauss, A. (2015).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Los Angeles: SAGE. 

  33. Dede, C. (2009). Immersive interfaces for engagement and learning. Science, 323(5910), 66-69. 

  34. Dunleavy, M., Dede, C., & Mitchell, R. (2009). Affordances and limitations of immersive participatory augmented reality simulations for teaching and learning.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and Technology, 18(1), 7-22. 

  35. Dunser, A., & Hornecker, E. (2007). Lessons from an AR book study. In Proceedings of the 1s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angible and embedded interaction (pp. 179-182). NewYork, NY: Association for Computing Machinery. https://doi.org/10.1145/1226969.1227006. 

  36. El Sayed, N. A. M., Zayed, H. H., & Sharawy, M. I. (2011). ARSC: Augmented reality student card. Computers & Education, 56(4), 1045-1061. 

  37. Furio, D., Gonzalez-Gancedo, S., Juan, M. C., Segui, I., & Costa, M. (2013). The effects of the size and weight of a mobile device on an educational game. Computers & Education, 64, 24-41. 

  38. Hughes, J. E., Ko, Y., Lim, M., & Liu, S. (2015). Preservice teachers' social networking use, concerns, and educational possibilities: Trends from 2008-2012. Journal of Technology and Teacher Education, 23(2), 185-212. 

  39. Kamarainen, A. M., Metcalf, S., Grotzer, T., Browne, A., Mazzuca, D., Tutwiler, M. S., & Dede, C. (2013). EcoMOBILE: Integrating augmented reality and probeware with environmental education field trips. Computers & Education, 68, 545-556. 

  40. Lahtevanoja, A., Holopainen, J., Vesisenaho, M., & Hakkinen, P. (2021). Developing design knowledge and a conceptual model for virtual reality learning environments. In G. Akcayir & C. Demmans Epp (Eds.), Designing, deploying, and evaluating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in education (pp.100-123). Hershey, PA: IGI Global. 

  41. Lin, H. C. K., Chen, M. C., & Chang, C. K. (2015). Assessing the effectiveness of learning solid geometry by using an augmented reality-assisted learning system. Interactive Learning Environments, 23(6), 799-810. 

  42. Lu, S. J., & Liu, Y. C. (2015). Integrating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to enhance children's learning in marine education. Environmental Education Research, 21(4), 525-541. 

  43. Patton, N. Q. (2015). Qualitative research & evaluation methods: Integrating theory and practice. Thousand Oaks, California: SAGE Publications, Inc. 

  44. Squire, K. D., & Jan, M. (2007). Mad city mystery: Developing scientific argumentation skills with a placebased augmented reality game on handheld computers.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and Technology, 16(1), 5-29. 

  45. Tondeur, J., Pareja Roblin, N., van Braak, J., Voogt, J., & Prestridge, S. (2017). Preparing beginning teachers for technology integration in education: Ready for take off? Technology, Pedagogy and Education, 26(2), 157-177. 

  46. Wu, H. K., Lee, S. W. Y., Chang, H. Y., & Liang, J. C. (2013). Current status,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of augmented reality in education. Computers & Education, 62, 41-49. 

  47. Zarraonandia, T., Aedo, I., Diaz, P., & Montero, A. (2013). An augmented lecture feedback system to support learner and teacher communication.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44(4), 616-628. 

  48. Zhang, J., Sung, Y. T., Hou, H. T., & Chang, K. E. (2014).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n augmented reality-based armillary sphere for astronomical observation instruction. Computers & Education, 73, 178-18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