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센서 기반 모니터링 자료를 활용한 임하댐 저수지 탁수 예측 정확도 개선
Improvement of turbid water prediction accuracy using sensor-based monitoring data in Imha Dam reservoir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55 no.11, 2022년, pp.931 - 939  

김종민 (명지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이상웅 (명지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권시윤 (서울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정세웅 (충북대학교 환경공학과) ,  김영도 (명지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의 경우 강수량의 2/3 정도가 하절기에 집중되는 강우특성상 해마다 여름철 홍수기의 탁수 문제가 다양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상강우와 기상이변에 의한 집중강우가 증가 추세이며, '02년 태풍 루사', '03년 태풍 매미', '06년 에위니아'부터 20년 마이삭, 하이선 까지 장마와 태풍에 의한 유입량이 급증하는 시기 탁수의 유입으로 수중 탁도가 급상승하며 댐 저수지 내 탁수 문제가 발생하였다. 특히 연 평균 물사용량의 대부분을 하천 및 댐 저수지를 이용하는 우리나라의 경우 탁수 문제가 장기화될 경우 댐 하류 해당 지역 농업, 공업, 수생태 등 사회적, 환경적으로 많은 문제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탁수 예측을 통한 대응을 위해 탁수 모델링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탁수 현황을 모의하기 위해서는 유량, 수온, SS 데이터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국가측정망에서 하천 및 댐 저수지 내 SS를 측정하여 탁수를 측정 하고 있으나 설비가 미흡하여 데이터 해상도가 낮다는 한계점이 있으며 주요 댐 저수지 내에서는 수자원공사에서 관리하는 자동 측정기기를 활용하여 높은 데이터 해상도를 유지 하고 있으나 댐 별, 기상 조건에 따라 미측정 기간이 존재한다. 탁도를 측정을 위한 센서로는 Optical Backscatter Sensor (OBS), YSI 등이 있으며 SS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는 레이저부유사측정기(Laser In-Situ Scattering and Transmissometry, LISST) 등의 장비를 이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런 첨단 센서의 경우 또한 수중에 고정하여 측정하기에는 장비의 안정성 등의 이유로 한계가 있다. 따라서, 취득된 유량, 수온, SS, 탁도 데이터를 기반으로 분석을 통해 미측정 기간이 존재함으로 입력자료에 활용되는 SS를 산정하기 위해 관계식 개발을 필요로한다. 본 연구에서는 댐 방류구 인근 지점 측정 데이터를 기반으로 개발된 탁도-SS 관계식을 통해 수자원 공사 SURIAN 시스템에서 활용되고 있는 AEM3D 모델을 이용하여 탁수 발생 예측 정확도 개선을 하고자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Korea, about two-thirds of the precipitation is concentrated in the summer season, so the problem of turbidity in the summer flood season varies from year to year. Concentrated rainfall due to abnormal rainfall and extreme weather is on the rise. The inflow of turbidity caused a sudden increase i...

주제어

표/그림 (11)

참고문헌 (12)

  1. Ahn, S.R., Kim, S.H., Yoon, S.W. and Kim, S.J. (2013). "Evaluation of suspended solids and eutrophication in Chungju Lake using CE-QUAL-W2."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6, No. 11, pp. 1115-1128. 

  2. An, I.K., Park, H.S., Chung, S.W., Ryu, I.G., and Choi, J.K. (2020). "Analysis of organic carbon cycle and mass balance in Daecheong reservoir using three-dimensional hydrodynamic and water quality model."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Vol. 36, No. 4, pp. 284-299. 

  3. Chung, S.W., Lee, H.S., Yoon, S.W., Ye, L., Lee, J.H., and Choo, C.O. (2007). "Characterization of physical properties of turbid flow in the Daecheong reservoir watershed dining floods."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Quality, Vol. 23, No. 6, pp. 934-944. 

  4. Chung, S.W., Lee, J.H., Lee, H.S., and Maeng, S.J. (2011). "Uncertainty of discharge-SS relationship used for turbid flow modeling."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4, No. 12, pp. 991-1000. 

  5. Ehrbar, D., Schmocker, L., Vetsc, D.F., Boes, R.M. and Doering, M. (2017). "Measuring suspended sediments in periglacial reservoirs using water samples, laser in-situ scattering and transmissometry and acoustic Doppler current profiler." International Journal of River Basin Management, Vol. 15, No. 4, pp. 413-431. 

  6. Haun, S., Kjaeras, H., Lovfall, S. and Olse, N.R.B. (2013). "Threedimensional measurements and numerical modelling of suspended sediments in a hydropower reservoir." Journal of Hydrology, Vol. 479, pp. 180-188. 

  7. Hodges, B., and Dallimore, C. (2019). Aquatic ecosystem model: AEM3D v1.0 user manual. HydroNumerics, Victoria, Australia. 

  8. Kim, T.W., Kim, Y.D., and Yi, Y.-K. (2012). "A study on field experiment and numerical modeling for efficiency analysis of selective withdrawal in Imha reservoi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B32, No. 2B, pp. 113-121. 

  9. Kim, W.G., Jung, K.S., and Yi, Y.K. (2006). "The variation of water temperature and turbidity of stream flows entering Imha reservoir." Korean Journal of Limnology, Vol. 39, No. 1, pp. 13-20. 

  10. Kwak, S.H, Lee, K.S., Cho, H.I., Seo, Y.J., and Lyu, S.W. (2017). "Field measurement of suspended material distribution at the river confluen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37, No. 2, pp. 467-474. 

  11. Mikkelsen, O. and Pejrup, M. (2001) "The use of a LISST-100 laser particle sizer for in-situ estimates of floc size, density and settling velocity." An International Journal of Marine Geology, Vol. 20, pp. 187-195. 

  12. Yi, H.S., Kim, J.K., and Lee, S.U. (2008). "Development of turbid water prediction model for the Imha Dam watershed using HSPF."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Vol. 30, No. 8, pp. 760-76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