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면 문제 선별 질문지의 신뢰도, 타당도 연구: 불면증상을 중심으로
Validation and Reliability of the Sleep Problem Screening Questionnaire: Focusing on Insomnia Symptoms 원문보기

수면·정신생리 = Sleep medicine and psychophysiology, v.30 no.1, 2023년, pp.22 - 27  

이주열 ((주)마인즈에이아이) ,  최선우 ((주)마인즈에이아이) ,  신현경 ((주)마인즈에이아이) ,  석정호 ((주)마인즈에이아이) ,  장수아 ((주)마인즈에이아이)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 적: 본 연구에서는 불면증상 뿐만 아니라 과다수면, 하지불안증후군을 포함하여 수면 문제를 포괄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수면 문제 선별 설문지(Sleep Problem Screening Questionnaire, SPSQ)를 개발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방 법: 불면증상(SPSQi), 과다수면(SPSQh), 하지불안증후군(SPSQr)의 세 가지 하위 영역을 포함하는 SPSQ를 개발하였다. 다음으로, 불면장애 임상군 222명 및 건강군 78명을 대상으로 SPSQ와 비교 척도인 불면증 심각도 척도(Korean version of Insomnia Severity Index)를 진행하고, 해당 데이터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결 과: SPSQ는 수용할만한 내적 일관성과 수렴·변별 타당도를 보여 수면장애의 측정에 타당한 도구로 평가되었다. ROC curve 분석 결과, 불면장애의 임상적 유의미성 판단을 위한 절단점은 SPSQi 6점, 민감도와 특이도는 각각 0.94, 0.96이었다. 결 론: 해당 연구결과는 SPSQ가 일반 성인 인구의 수면 문제를 선별하는데 있어 신뢰할 수 있고 유효한 도구임을 시사한다. 단, 하지불안증후군 및 과다수면 관련 척도와 비교 검증이 수행되지 못한 점을 고려해야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creening tool that is simple and easy to use for assessing sleep problems, including hypersomnolence, restless legs syndrome, and insomnia. We also examine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is tool. Methods: We developed the Sleep Problem Scre...

주제어

표/그림 (6)

참고문헌 (22)

  1. Ahn DH. Insomnia: causes and diagnosis. Hanyang Med Rev 2013;33:203-209. 

  2.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5th ed.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2013. p.361-422. 

  3. Benca RM, Peterson MJ. Insomnia and depression. Sleep Medicine?2008;9:S3-S9. 

  4. Bhaskar S, Hemavathy D, Prasad S. Prevalence of chronic insomnia?in adult patients and its correlation with medical comorbidities.?J Family Med Prim Care 2016;5:780-784. 

  5. Bland JM, Altman DG. Statistic notes: Cronbach's alpha. BMJ 1997;314:572. 

  6. Cho YW, Song ML, Morin CM. Validation of a Korean version of?the insomnia severity index. J Clin Neurol 2014;10:210-215. 

  7. Cho YW, Lee JH, Son HK, Lee SH, Shin C, Johns MW.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Epworth sleepiness scale. Sleep and Breathing 2011;15:377-384. 

  8. Cook JD, Rumble ME, Plante DT. Identifying subtypes of hypersomnolence disorder: a clustering analysis. Sleep Medicine 2019;64:71-76. 

  9. Foley D, Ancoli-Israel S, Britz P, Walsh J. Sleep disturbances and?chronic disease in older adults: results of the 2003 National Sleep?Foundation Sleep in America Survey. J Psychosom Res 2004;56:497-502. 

  10.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National Health?Insurance Service. 2021 National Health Insurance Statistical?Yearbook.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2022. p.691. 

  11. Kaplan KA, Plante DT, Cook JD, Harvey AG.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Hypersomnia Severity Index (HSI): a measure to?assess hypersomnia severity and impairment in psychiatric disorders. Psychiatry Res 2019;281:112547. 

  12. LaMonica HM, Hickie IB, Ip J, Ireland C, Mowszowski L, English?A, et al. Disability in older adults across the continuum of cognitive decline: unique contributions of depression, sleep disturbance, cognitive deficits and medical burden. Int Psychogeriatr?2019;31:1611-1625. 

  13. Lee S, Cheong YS, Park EW, Choi EY, Yoo HK, Kang KH, et al.?Prevalence of sleep disorder and associated factors in family?practice. Korean J Fam Med 2010;31:837-844 

  14. Li Y, Zhang X, Winkelman JW, Redline S, Hu FB, Stampfer M, et?al. Association between insomnia symptoms and mortality: a?prospective study of US men. Circulation 2014;129:737-746. 

  15. Mai E, Buysse DJ. Insomnia: prevalence, impact, pathogenesis, differential diagnosis, and evaluation. Sleep Med Clin 2008;3:167-174. 

  16. Manconi M, Garcia-Borreguero D, Schormair B, Videnovic A, Berger K, Ferri R, et al. Restless legs syndrome. Nat Rev Dis Primers?2021;7:80. 

  17. Okun ML, Kravitz HM, Sowers MF, Moul DE, Buysse DJ, Hall M.?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Insomnia Symptom Questionnaire: a self-report measure to identify chronic insomnia. J Clin?Sleep Med 2009;5:41-50. 

  18. R Core Team. R: A language and environment for statistical computing. Vienna: R Foundation for Statistical Computing; 2020.?Available from: https://www.R-project.org/. 

  19. Shin S, Kim SH.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testing of Korean version of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J Converg Inf Technol 2020;10:148-155. 

  20. Yu ES, Ko YG, Sung GH, Kwon JH.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of Dysfunctional Beliefs and Attitudes about Sleep (K-DBAS-16).?Kor J Clin Psychol 2009;28:309-320. 

  21. Silber MH, Ehrenberg BL, Allen RP, Buchfuhrer MJ, Earley CJ,?Hening WA, et al. An algorithm for the management of restless?legs syndrome. Mayo Clinic Proceedings 2004;79:916-922. 

  22. Sowa NA. Idiopathic hypersomnia and hypersomnolence disorder: a?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Psychosomatics 2016;57:152-164.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