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DMZ(Demilitarized Zone) 접경지역의 문화서비스 평가
Cultural Services Assessment in DMZ(Demilitarized Zone) Border Areas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51 no.6, 2023년, pp.46 - 60  

고하정 (경희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 환경조경디자인학과) ,  권혁수 (국립생태원) ,  김정인 (국립생태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접경지역 문화서비스 평가를 통해 지표와 방법론의 적절성을 고찰하고, 국내 핵심 생태자산인 접경지역의 생태계서비스 기반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평가지표와 방법을 바탕으로 7개 시군을 평가 및 비교하였다. 문화서비스 평가 결과, 여가·관광은 파주시, 경관미는 인제군, 교육은 양구군, 유산은 인제군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문화서비스의 종합적인 평가를 위한 향후 과제를 다음과 같이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국가 및 광역 단위의 생태계서비스 평가를 위해서는 문화서비스 평가 및 모니터링을 위한 지표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둘째, 문화서비스 평가 지표 체계 구축시 평가대상지역 스케일에 따른 지표 간의 상·하위 개념 단위나 일관성에 대한 검토가 선행되어야 한다. 셋째, 생태계 유형에 따라 문화서비스 평가를 위한 구체적인 DB 구축 및 활용 검토가 이루어져야 한다. 마지막으로 국내의 문화서비스 연구가 현저히 부족한 상황에서 비물질적이고 정성적인 인식을 포함한 문화서비스 평가를 위해서는 기초 연구가 지속되어야 한다. 향후 광역단위의 문화서비스 평가를 위해서는 생태계 유형별로 추가적인 기초 연구 결과 축적이 필요하며, 적절한 평가지표와 방법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법의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s the appropriateness of indicators and methodologies through the evaluation of cultural services in border areas and uses them as basic data for the ecosystem service-based management of border areas, which are key domestic ecological assets. Accordingly, in this study, seven bord...

주제어

참고문헌 (44)

  1. 김무한, 주우영, 정윤석, 힌승주, 박성빈(2019) 습지보호지역을 대상으로 한 문화서비스 평가 연구.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22(6): 139-146. 

  2. 김일권, 김성훈, 이주은, 권혁수(2019) 생태계서비스 번들을 이용한 경기도 도시의 유형화. 환경영향평가 28(3):201-214. 

  3. 안소은, 주우영, 신유진, 장진, 권혁수, 김충기, 김현노, 설아라, 이홍림, 최원일, 허학영(2020) 의사결정 지원을?위한 국가 생태계 평가체계 구축. 환경정책 28(2): 101-129. 

  4. 안소은, 차은지, 정다운, 홍현정, 김현노, 이재혁, 서양원, 김충기, 이혁중, 이홍림, 김가영, 오규림(2022) 환경경제 통합분석을 위한 환경가치 종합연구: ECIS 구축 지원을 위한 세부 연구과제. 한국환경연구원. 

  5. 이훈종(2021) 우리나라 생태계서비스 가치의 시공간 변화 및 특성: 1980년대 말부터 2000년대 말 사이의 토지?변화를 중심으로. 대한지리학회지 56(6): 675-704. 

  6. 장진, 김보현, 심규원, 유병혁, 김진원, 서새별, 오충현, 송영근, 이주석, 한상열, 박준형, 신지훈, 김지윤, 반수홍,?박은희, 김종희, 원수연, 김아미, 임훈, 이희진, 임유진, 신민지, 김태형, 최다혜(2019) 국립공원 생태계서비스 가치평가 연구: 설악산.덕유산.무등산.변산반도 국립공원을 대상으로. 국립공원연구원. 

  7. 장진, 한태만, 허학영, 최인영, 심규원, 김종필, 유병혁, 한상열, 김동훈, 임희민, 신지훈, 신민지, 최세웅, 이재영,?최송현, 장정은, 신해선, 김대욱, 백상훈, 백상규, 금지돈, 어승섭, 권오정(2020) 국립공원 생태계서비스 가치평가연구: 속리산.주왕산.월악산.월출산국립공원을 대상으로. 국립공원연구원. 

  8. 조장환, 최문기, 김오석, 이경학, 이창배(2020) 전문가 델파이 및 토지이용점수화 접근법을 활용한 지역 산림생태계서비스 공급량 지도화 연구. 한국지리학회지 22(2): 295-312. 

  9. 주우영, 권혁수, 이경은, 최태영, 권용성, 정필모, 박홍준, 김정인, 박현수, 이규철(2020) 핵심 생태자산과 생태계서비스 가치 평가 및 보전방안 연구. 국립생태원. 

  10. 주우영, 권혁수, 장인영, 정필모, 김무한, 박홍준, 김정인, 박은진, 김정규(2017) 전국 단위 생태계서비스 평가체계 수립을 위한 연구. 국립생태원. 

  11. 주우영, 천광일, 이재림, 김정인, 최다정, 문희진, 김고은, 서다래, 권혁수, 이태호, 정필모, 이주은, 정다예, 천금성, 서창완(2022) 핵심생태자산과 생태계서비스 가치평가 및 보전방안 연구. 국립생태원. 

  12. 환경부(2019) DMZ 일원 생태계 보전 종합대책 수립 연구. 

  13. Bennett, E. M., G. D. Peterson and L. J. Gordon(2009) Understanding relationships among multiple?ecosystem services. Ecology Letters 12(1): 1394-1404. 

  14. Candiago, S., K. J. Winkler, V. Giombini, C. Giupponi and L. Egarter Vigl(2023) An ecosystem service?approach to the study of vineyard landscapes in the context of climate change: A review. Sustainability?Science 18(2): 997-1013. 

  15. Cheng, X., S. Van Damme, L. Li and P. Uyttenhove(2019) Evaluation of cultural ecosystem services: A?review of methods. Ecosystem Services 37: 100925. 

  16. Daniel, T. C., A. Muhar, A. Arnberger, O. Aznar, J. W. Boyd, K. M. A. Chan, R. Costanza, T.?Elmqvist, C. G. Flint, P. H. Gobster, A. Gret-Regamey, R. Lave, S. Muhar, M. Penker, R. G. Ribe, T.?Schauppenlehner, T. Sikor, I. Soloviy, M. Spierenburg, K. Taczanowska, J. Tam and A. Von Der?Dunk(2012) Contributions of cultural services to the ecosystem services agenda. Proceedings of the?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109(23): 8812-8819. 

  17. Fish, R., A. Church and M. Winter(2016) Conceptualising cultural ecosystem services: A novel framework?for research and critical engagement. Ecosystem Services 21: 208-217. 

  18. Haines-Young, R. and M. Potschin-Young(2018) Revision of the common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for?ecosystem services (CICES V5. 1): A policy brief. One Ecosystem 3: e27108. 

  19. Hernandez-Morcillo, M., T. Plieninger and C. Bieling(2013) An empirical review of cultural ecosystem?service indicators. Ecological Indicators 29: 434-444. 

  20. Hirons, M., C. Comberti and R. Dunford(2016) Valuing cultural ecosystem services. Annual Review of?Environment and Resources 41: 545-574. 

  21. IPBES(2019) Global Assessment report on biodiversity and ecosystem services of the intergovernmental?science-policy platform on biodiversity and ecosystem services. Bonn, Germany: IPBES Secretariat. 

  22. Keeler, B. L., S. A. Wood, S. Polasky, C. Kling, C. T. Filstrup and J. A. Downing(2015) Recreational?demand for clean water: evidence from geotagged photographs by visitors to lakes. Frontiers in Ecology?and the Environment 13(2): 76-81. 

  23. Kosanic, A. and J. Petzold(2020) A systematic review of cultural ecosystem services and human wellbeing.?Ecosystem Services 45: 101168. 

  24. Laszkiewicz E., J. Kronenberg and S. Marcinczak(2018) Attached to or bound to a place? The impact of?green space availability on residential duration: the environmental justice perspective. Ecosystem Services?30: 309-317. 

  25. Lee, H., B. Seo, T. Koellner and S. Lautenbach(2019) Mapping cultural ecosystem services 2.0 potential?and shortcomings from unlabeled crowd sourced images. Ecological Indicators 96: 505-515. 

  26. Millennium Ecosystem Assessment(MA)(2005) Ecosystems and Human Well-Being: General Synthesis.?Washington, DC: Island Press.MA. 2005. Millennium ecosystem assessment. Washington, DC: New Island. 

  27. Nowak-Olejnik, A., U. Schirpke and U. Tappeiner(2022) A systematic review on subjective well-being?benefits associated with cultural ecosystem services. Ecosystem Services 57: 101467. 

  28. Paracchini, M. L., G. Zulian, L. Kopperoinen, J. Maes, J. P. Schagner, M. Termansen, M. Zandersen, M.?Perez-Soba, P. A. Scholefield and G. Bidoglio(2014) Mapping cultural ecosystem services: A framework?to assess the potential for outdoor recreation across the EU. Ecological Indicators 45: 371-385. 

  29. Queiroz, C., M. Meacham, K. Richter, A. V. Norstrom, E. Andersson, J. Norberg and G. Peterson(2015)?Mapping bundles of ecosystem services reveals distinct types of multifunctionality within a Swedish?landscape. Ambio 44: s89-s101. 

  30. Raudsepp-Hearne, C., G. D. Peterson, and M. Bennett(2010) Ecosystem service bundles for analyzing?tradeoffs in diverse landscape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America 107(11): 5242-5247. 

  31. Russell, R., A. D. Guerry, P. Balvanera, R. K. Gould, X. Basurto, K. M. Chan, S. Klain, J. Levine and?J. Tam(2013) Humans and nature: How knowing and experiencing nature affect well-being. Annual?Review of Environment and Resources 38: 473-502. 

  32. Saidi, N. and C. Spray(2018) Ecosystem services bundles: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for implementation?and further research. Environmental Research Letters 13(11): 113001. 

  33. Sinsomboonthong, S.(2022) Performance comparison of new adjusted min-max with decimal scaling and?statistical column normalization methods for artificial neural network classifi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Mathematics and Mathematical Sciences 2022: 1-9. 

  34. TEEB(2010) The Economics of Ecosystems and Biodiversity: Ecological and Economic Foundations, ed. P,?Kumar. Earthscan:London and Washington. 

  35. Turner, K. G., M. V. Odgaard, P. K. Bocher, T. Dalgaard and J. C. Svenning(2014) Bundling ecosystem?services in Denmark: Trade-offs and synergies in a cultural landscape. Landscape and Urban Planning?125: 89-104. 

  36. Villamagna, A. M. and P. L. Angermeier(2015) A methodology for quantifying and mapping ecosystem?services provided by watersheds. in L. Chicharo, F. Muller, N. Fohrer, Eds., Ecosystem Services and River?Basin Ecohydrology. Springer Netherlands: Dordrecht, pp. 151-180. 

  37. Wood S., A. Guerry, J, Silver and M. Lacayo(2013) Using social media to quantify nature-based tourism?and recreation. Scientific Reports 3: 2976. 

  38. Wood, S. A., S. G. Winder, E. H. Lia, E. M. White, C. S. Crowley and A. A. Milnor(2020)?Next-generation visitation models using social media to estimate recreation on public lands. Scientific?Reports 10(1): 15419. 

  39. Zhang, H., R. Huang, Y. Zhang and D. Buhalis(2022) Cultural ecosystem services evaluation using?geolocated social media data: A review. Tourism Geographies 24(4-5): 646-668. 

  40. Zoderer, B. M., E. Tasser, S. Carver and U. Tappeiner(2019) Stakeholder perspectives on ecosystem?service supply and ecosystem service demand bundles. Ecosystem Services 37: 100938. 

  41. https://egis.me.go.kr (환경부 대분류 토지피복지도, 2021) 

  42. https://esa-worldcover.org/en (WorldCover) 

  43. https://www.heritage.go.kr/main/?v1699018427168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44. https://know.tour.go.kr/ (관광지식정보시스템)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