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밀키트(가정간편식) 중 농산물의 잔류농약 안전성 조사
A Safety Survey for Residual Pesticides in Agricultural Products in Meal-kits 원문보기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v.38 no.6, 2023년, pp.457 - 463  

송성민 (인천광역시보건환경연구원 남촌농수산물검사소) ,  선유정 (인천광역시보건환경연구원 남촌농수산물검사소) ,  서현정 (인천광역시보건환경연구원 남촌농수산물검사소) ,  한현호 (인천광역시보건환경연구원 남촌농수산물검사소) ,  이가혜 (인천광역시보건환경연구원 남촌농수산물검사소) ,  김정임 (인천광역시보건환경연구원 남촌농수산물검사소) ,  김명희 (인천광역시보건환경연구원 남촌농수산물검사소) ,  허명제 (인천광역시보건환경연구원 남촌농수산물검사소) ,  권문주 (인천광역시보건환경연구원 남촌농수산물검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밀키트 중 농산물의 잔류농약 안전성 조사를 위해 인천광역시 내 대형마트, 밀키트 전문점 및 온라인 스토어에서 밀키트 27개 제품을 수거하여 원재료 중 채소류 76품목, 버섯류 37품목을 대상으로 잔류농약 339 항목에 대해 분석하였다. 채소류 76품목 중 23품목에서 잔류농약이 검출되었으며, 버섯류 37품목은 검출되지 않았다. 잔류농약 검출률은 20.4%(23건/113건)를 보였으며 평균적으로 인천광역시 유통 농산물의 잔류농약 검출률이 8.0%인것과 비교해 보면 2배 이상 높게 검출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조사결과 23건의 잔류농약이 검출된 시료에서 총 45 항목이 검출되었으며, 잔류농약 종류는 29 항목인 것으로 나타났다. 살충제 17 항목(37.8%), 살균제 16 항목(35.5%), 살응애제(살비제) 9 항목(20%), 식물생장조절제 3 항목(6.7%)이었다. 검출된 잔류농약 중 청경채에서 2건이 농약 잔류허용기준을 초과하였으며 초과된 농약은 famoxadone 0.034 mg/kg(기준: 0.01 mg/kg 이하, PLS), fenpyroximate 0.302 mg/kg(기준: 0.01 mg/kg 이하, PLS)이었다. 부적합률은 1.8%(2건/113건)이며, 평균적인 부적합률 1.2%와 비슷하게 나타났다. 이번 조사를 통해 밀키트 중 농산물에 다양한 종류의 농약이 잔류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밀키트 제품의 특성상 농산물에 대한 잔류농약 기준이 따로 설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잔류농약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investigate residual pesticide levels in agricultural products contained in Meal-kits, 27 Meal-kit products were collected from marts, Meal-kit shops, and online stores in Incheon City, South Korea. Seventy-six vegetable and thirty-seven mushroom products were analyzed for residual levels of 339 ...

Keyword

참고문헌 (15)

  1. Lee, K.J., Lee, S.Y., A study on the utilization and satisfaction of meal-kits by food-related lifestyle. JHEER, 33, 15-30?(2021). 

  2. Lee, S.C., Kim, D.B., A study on the consumption of mealkit by dietary lifestyle types. J. Tour. Leis. Res., 34, 389-411?(2022). 

  3. Jeon, E.B., Kim, J.Y., Choi, M.S., Choi, S.H., Bang, H.J.,?Park, S.Y., Microbial contamination levels in the raw material of home meal replacement Shabu-Shabu meal kit distributed in markets. J. Food Hyg. Saf., 35, 375-381 (2020). 

  4. Lee, K.Y., Park, K.T., Effects of selection attributes of?HMR's meal-kit product on the purchasing behavior and?consumer satisfaction by the COVID-19. Foodserv. Ind. J.,?17, 277-289 (2021). 

  5. Lee, S.H., Nam, S.J., Kim, D.W., Kim, G.R., Park, S.J., Lee,?E.J., Je, H.J., Koo, O.K., Investigation of microbial contamination in meal-kit products purchased via online shopping.?Korean J. Food Sci. Technol., 54, 235-240 (2022). 

  6.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 2016, Guidelines on standard procedures for preparing analysis method.?Cheongju, Korea, pp. 1-16. 

  7.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MFDS), 2017, Analytical?Manual for Pesticide Residues in Foods, 5th ED., Cheongju,?Korea, pp. 78-82. 

  8. Codex Alimentarius Commission (CAC), (2023, 3, 5). CAC/GL?40-1993 Guidelines on good laboratory practice in pesticideresidue analysis. Retrieved from https://www.yumpu.com/en/document/view/12327508/guidelines-on-good-laboratory-practice-in-residue-analysis-codex- 

  9. Park, B.K., Kwon, S.H., Yeom, M.S., Han, S.Y., Kang, M.J.,?Joo, K.S., Heo, M.J., Kwon, M.J., A safety survey of pesticide residues on agricultural products marketed in Incheon?from 2019 to 2021. J. Food Hyg. Saf., 37, 249-259 (2022). 

  10.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 (2023, May 20).?Pesticide and Veterinaty Drugs information. Available from?http://residue.foodsafetykorea.go.kr/prd/info 

  11. Kim, D.K., Kim, S.H., Kim, S.H., Choi, J.S., Kim, H.J., Kim,?Y.M., A research on the residual pesticide content of dried?agricultural products from Ulsan. J. Food Hyg. Saf., 37, 238-248 (2022). 

  12. Boo, K.H., Residual characteristics of insecticide dinotefuran in asparagus under greenhouse condition. JKAIS, 19,?375-381 (2018). 

  13. Seo, E.K., Kim, T.K., Hong, S.M., Kwon, H.Y., Gwon, J.H.,?Cho, N.J., Residual characteristics of a systemic insecticide?flonicamid and its metabolites in sweet pepper. Korean J.?Pestic. Sci., 18, 228-235 (2014). 

  14. Choi, J.S., Cho, B.H., Suk, C.S., Lee, J.Y., Hwang, I.C.,?Residual properties among cucumbers, tomatoes and melons?of disinfectants Famoxadone and Metalaxyl-M. Korean J.?Pestic. Sci., 4, 92 (2009). 

  15. Lee, J.H., Lee, Y.J., Kang, I.H., Kim, D.H., Kang, S.J., An,?K.A., Lee, R.K., Suh, S.C., Lee, J.R., Analytical methods of?fenpyroximate in herbal medicines. Korean J. Pestic. Sci.,?18, 141-147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송성민 (5)

  1. 2007 "식육부산물을 주재료로한 복합즉석조리식품의 안전성 연구"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v.22 no.2 (2) pp. 82~87

  2. 2021 "알레르기 유발물질 미표시 제품 실태 조사"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v.36 no.3 (3) pp. 257~263

  3. 2019 "인천광역시 유통 농산물의 최근 3년간 잔류농약 실태조사" 한국환경농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v.38 no.3 (3) pp. 205~212

  4. 2020 "분말 농산물가공품의 안전성 조사"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v.35 no.2 (2) pp. 136~145

  5. 2015 "기타가공품의 중금속, 부정유해물질 모니터링 및 노출량 평가"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v.30 no.1 (1) pp. 35~42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12:02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