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 한국조리학회지, v.23 no.8 = no.91, 2017년, pp.153 - 162
고봉수 (남양유업(주) 중앙연구소) , 임상호 (남양유업(주) 중앙연구소) , 한성희 (고려대학교 BK21Plus 보건과학사업단)
Bacillus coagulans was added as probiotics in instant coffee with microground roasted coffee which is recently rising premium coffee and the instant coffee (ProBio coffee) was compared with 3 commercial instant coffees with microground roasted coffee in quality characteristics to understand the comp...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가공식품으로의 커피시장 성장을 위해서 프리미엄화 및 차별화의 사례는? | 2009년 스타벅스는 미세분쇄 원두커피가 혼합된 인스턴트 커피를 Starbucks VIA 브랜드로 출시하여 프리미엄 커피 시장을 창출하였고, 뒤따라 네슬레에서는 Nescafé Azera Barista Style Instant Coffee를, 몬델리즈에서는 Kenco Millicano WholeBean Instant를 출시하여 이 프리미엄 시장을 확대하였다(Euromonitor International, 2015). 국내에는 Starbucks kore의 Via가 2011년 출시되었고 이를 이어 동서식품의 카누, 남양유업의 루카스나인, 네슬레의 크레마, 이디야의 비니스트등이 미세분쇄 원두커피가 혼합된 인스턴트 커피 시장에서 경쟁하고 있으며, 이 미세분쇄 원두커피가 혼합된 인스턴트커피시장은 2017년에 2,000억원 이상으로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Korea Herald, 2017). 일반적으로, 미쇄분쇄 원두커피는 열에 의한 향 손실 방지를 위해액체질소를 사용하여 -196℃ 초저온에서 분쇄되며, 원두커피의 신선한 맛과 향을 인스턴트커피에 보강할 목적으로 첨가된다. | |
프로바이오틱스의 정의는 무엇인가? |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는 ‘충분한 양을 섭취하였을 때, 안전하고 건강에 도움이 되는 살아있는 균’이라고 정의되고 있다(FAO/WHO, 2002; Gorbach, 2002). 프로바이오틱스는 정기적으로 섭취하여야 기능성을 보이기 때문에 요구르트, 냉동발효유, 치즈, 분유, 아이스크림, 냉동건조 요구르트, 과실주스, 커피 등이 프로바이오틱스를 소비자에게 전달하기에 좋은 식품으로 여겨졌다(Nagpal, Kumar, Kumar,Behare, Jain, & Yadav, 2012; Foligné, Daniel, & Pot, 2013). | |
프로바이오틱스를 소비자에게 전달하기에 좋은 식품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는 ‘충분한 양을 섭취하였을 때, 안전하고 건강에 도움이 되는 살아있는 균’이라고 정의되고 있다(FAO/WHO, 2002; Gorbach, 2002). 프로바이오틱스는 정기적으로 섭취하여야 기능성을 보이기 때문에 요구르트, 냉동발효유, 치즈, 분유, 아이스크림, 냉동건조 요구르트, 과실주스, 커피 등이 프로바이오틱스를 소비자에게 전달하기에 좋은 식품으로 여겨졌다(Nagpal, Kumar, Kumar,Behare, Jain, & Yadav, 2012; Foligné, Daniel, & Pot, 2013). 커피의 경우 특히 커피는 매일 습관적으로 음용하기 때문에 프로바이오틱스의 적절한 운반체로 판단되었고, 균주와 커피의 적합한 조합, 균체 생존에 관계하는 커피 가공조건, 커피 유통기한 동안 균체 생존에 관계하는 제품기질, 포장 및 환경 등을 고려하여 선정된 프로바이오틱스 균주는 Bacilluscoagulans이었다(Ko, Lim, & Han, 2016). |
Benkovic, M., Srecec, S., Spoljaric, I., Mrsic, G., & Bauman, I. (2015). Fortification of instant coffee beverages-influence of functional ingredients, packaging material and storage time on physical properties of newly formulated, enriched instant coffee powders. Journal of the Science of Food & Agriculture, 95(13), 2607-2618.
Bradbury, A., & Weers, M. (1995). Non-volatile compounds analysis in coffee, Kraft Eur. Anal Method, 5-17.
Euromonitor International. (2015). Micro-ground instant coffee takes off. Retrieved from http://blog.euromonitor.com/2015/09/premium-instant-coffee-takes-share-in-uk-reflecting-strong-potential-in-tea-drinking-markets.html [cited 15 August 2017].
FAO/WHO. (2002). Guidelines for the Evaluation of Probiotics in Foods.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and World Health Organization Expert Consultation Report (online).
Farah, A., & Donangelo, C. M. (2006). Phenolic compounds in coffee. Brazilian Journal of Plant Physiology, 18(1), 23-36.
Foligne, B., Daniel, C., & Pot, B. (2013). Probiotics from research to market: the possibilities, risks and challenges. Current Opinion in Microbiology, 16(3), 284-292.
Gorbach, S. L. (2002). Probiotics in the third millennium. Digestive & Liver Disease, 34, S2-S7.
KFDA. (2009). Food 4ode, 9-2. Seoul, Korea: Korean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KFDA. (2013). Food code practical affair manual for residual pesticide analysis method. Seoul, Korea: Korean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KFDA. (2015). Experiment Guideline for Prediction of Shelf Life of Food & Animal Products. Seoul, Korea: Korean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Kim, D. O., Lee, K. W., Lee, H. J., & Lee, C. Y. (2002). Vitamin C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 (VCEAC) of phenolic phytochemicals. Journal of Agricultural & Food Chemistry, 50(13), 3713-3717.
Kim, J. Y., & Han, Y. S. (2009). Influence of roasting time on antibacterial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coffee extract.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25(4), 496-505.
Kim, K. J., & Park, S. K. (2006). Changes in major chemical constituents of green coffee beans during the roasting.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 Technology, 38(2), 153-158.
Korea Agro-Fisheries & Food Trade Corporation (2016). Processed food market status -Coffee market. Seoul, Korea: Agro-Fisheries & Food Trade Corporation.
Korea Herald. (2017). Instant regular coffee threatening coffee mix. Retrieved from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170406000142 [cited 6 April 2017].
Nagpal, R., Kumar, A., Kumar, M., Behare, P. V., Jain, S., & Yadav, H. (2012). Probiotics, their health benefits and applications for developing healthier foods: a review. FEMS Microbiology Letters, 334(1), 1-15.
Richardson, G. H. (1985). Page 351 in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dairy products. Washington, DC, USA: Publ. Health Assoc.
Schaffer, B., Keller, B., Szakaly, Z., & Lorinczy, D. (2011). Examination of a coffee product enriched with calcium by the isoperibolic method. Journal of Thermal Analysis & Calorimetry, 108(1), 171-175.
Velioglu, Y. S., Mazza, G., Gao, L., & Oomah, B. D. (1998).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henolics in selected fruits, vegetables, and grain products. Journal of Agricultural & Food Chemistry, 46(10), 4113-4117.
Wang, N. (2012). Physicochemical changes of coffee beans during roasting (Doctoral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Guelph.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