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22년 한국의 골재
Aggregate of Korea in 2022 원문보기

자원환경지질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56 no.6, 2023년, pp.871 - 885  

홍세선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제4기환경연구센터) ,  이진영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제4기환경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22년에는 약 1억 2,874만 m3 의 골재가 채취되었다. 이 중 모래는 약 4,427만 m3, 자갈은 약 8,447만 m3 이다. 허가채취는 약 5,334만 m3, 신고채취는 약 7,540만 m3 이다. 골재원별로는 선별파쇄에서 가장 많은 7,067만 m3가 채취되었으며, 그 다음으로 산림골재 4,214만 m3, 바다골재 797만 m3, 선별세척 403만 m3, 육상골재 286만 m3, 기타골재 70만 m3, 하천골재 37만 m3 순으로 선별파쇄와 산림골재의 채취량이 전국 채취량의 약 87.6%에 달한다. 시도별로는 경기도가 가장 골재를 많이 채취하였으며, 그 다음으로 경상남도, 충청남도, 인천광역시, 전라남도의 순이다. 2022년에는 231개 시군구의 약 64%인 147개 시군구에서 골재를 채취하였다. 100만 m3 이상의 골재를 채취한 시군구는 44개이며, 이들 시군구에서는 전국 채취량의 72%인 약 9,269만 m3 를 채취하였다. 2022년도에는 약 960개소 정도의 채취장이 운영되었으나 실제 골재를 채취한 채취장은 약 800개소이다. 이중 허가채취장은 350개소, 신고채취장은 450개소이다. 선별파쇄가 약 407개소로 가장 많으며, 산림골재는 187개소, 육상골재는 123개소 내외이다. 100만m3 이상의 골재를 채취한 채취장은 14개소이며, 1만m3 미만의 소규모 채취장도 약 105개소이다. 약 350여개의 허가채취장에서 허가기간은 최장 34.8년에서 최소 0.1년이며, 허가기간이 10년 이상인 채취장은 103개소이다. 2022년 이후에도 채취 가능한 채취장은 258개이지만 5년 내로 320여개 이상의 채취장이 개발종료되어 28개의 채취장만이 5년 이상 채취가 가능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2022, the total of 129 million m3 of aggregate was produced in Korea, a slightly decrease from the total production of 2021. Of these, about 44 million m3 of sand and about 84 million m3 of gravel were produced. About 41% of total quantity of aggregates were produced by permission and the rest we...

주제어

참고문헌 (10)

  1. Hong, S.S., Kim, J.Y. and Lee, J.Y. (2015) Trends of supply and?demand of aggregate in Korea(I). Jour. Petro. Soc. Korea, v.24,?p.253-272. doi: 10.7854/JPSK.2015.24.3.253 

  2. Hong, S.S. and Lee, J.Y. (2020) Analysis of 2019 domestic?aggregate production in Korea(I). Korea Econ. Environ. Geol.,?v.53, p.755-769. doi: 10.9719/EEG.2020.53.6.755 

  3. Hong, S.S. and Lee, J.Y. (2021a) Analysis of 2019 domestic aggregate?production in Korea(II) -by local governments. Korea Econ.?Environ. Geol., v.54, p.427-439. doi: 10.9719/EEG.2021.54.4.427 

  4. Hong, S.S. and Lee, J.Y. (2021b) Analysis of domestic aggregate?production of Korea in 2019 (III) - by active operations. Korea Econ.?Environ. Geol., v.54, p.549-560. doi: 10.9719/EEG.2021.54.5.549 

  5. Hong, S.S. and Lee, J.Y. (2021c) Aggregate of Korea in 2020. Korea Econ. Environ. Geol., v.54, p.581-594. doi: 10.9719/EEG.2021.54.5.581 

  6. Hong, S.S. and Lee, J.Y. (2023) Aggregate of Korea in 2021. Korea?Econ. Environ. Geol., v.56, p.87-101. doi: 10.9719/EEG.2023.56.1.87 

  7.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4. The 5th Basic?plan for supply and demand of aggregate, 358p. 

  8.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8. The 6th Basic?plan for supply and demand of aggregate, 368p. 

  9. Willett, J.C. (2022) Sand and gravel, construction(advance release),?2018 Minerals Yearbook, U.S. Geological Survey, 14p. 

  10. Willett, J.C. (2022) Stone, crushed(advance release), 2018 Minerals?Yearbook, U.S. Geological Survey, 26p.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