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21년도 국내 골재 수급 분석
Aggregate of Korea in 2021 원문보기

자원환경지질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56 no.1, 2023년, pp.87 - 101  

홍세선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제4기환경연구센터) ,  이진영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제4기환경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매년 국내 골재의 수요공급이 어떠한 형태로, 얼마만한 양으로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향후 수급에 대한 전망을 파악하는데 있다. 2021년 국내 골재 총 채취량은 약 1억 3,574만 m3 이며, 이 중 모래는 약 4,726만 m3 (35%), 자갈은 약 8,848만 m3(65%) 채취되었으며, 허가채취는 약 6,298만m3(46%), 신고채취는 약 7,276만m3(54%)이다. 골재원별로 보면 하천골재 약 38만 m3, 육상골재 약 348만m3, 산림골재 약 4,990만m3, 바다골재 약 922만m3, 선별파쇄 약 6,736만m3, 선별세척 약 355만m3, 그리고 기타신고골재가 약 185만m3로 선별파쇄골재와 산림골재가 전체 채취량의 약 86%를 차지하고 있다. 광역시도에서는 경기도가 골재를 가장 많이 채취하였으며, 그 다음으로 충청남도, 인천광역시, 경상남도, 충청북도, 강원도, 전라남도, 경상북도의 순이다. 2021년에는 231개 시군구의 약 64%인 148개 시군구에서 골재를 채취하였다. 100만m3 이상의 골재를 채취한 시군구는 48개이며, 이들 시군구에서는 전국 채취량의 74%인 약 1억 82만m3를 채취하였다. 2021년도에는 약 1,000개소 정도의 채취장이 운영되었으나 실제 골재를 채취한 채취장은 약 805개소이다. 선별파쇄가 약 377개소로 가장 많으며, 산림골재는 192개소, 육상골재는 139개소 내외이다. 100만 m3 이상을 채취한 채취장은 15개소이며, 1만 m3 미만의 소규모 채취장도 약 85개소이다. 약 372여개의 허가채취장에서 허가기간은 최장 32년에서 최소 2개월이며, 허가기간이 10년 이상인 채취장은 100개소이다. 그러나 2023년 이후 채취가능한 채취장이 약 40%이며, 2021년 수준의 골재 허가채취물량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매년 최소한 100개소 이상의 채취장에 대해 허가연장, 신규허가가 필요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dentifies the production of aggregate every year, and is to understand the supply and demend prospects. In 2021, the total of 135 million m3 of of aggregates was produced in Korea, a slightly increase from the total production of 2020. Of these, about 47 million m3 of sand...

주제어

참고문헌 (15)

  1. Cho, S., Yim, G.J., Lee, J.Y. and Ji, S. (2021) A study on mixed-use?development cases using closed quarry site of overseas; the UK?and Australia. Korea Econ. Environ. Geol., v.54, p.505-513. doi: 10.9719/EEG.2021.54.5.505. 

  2. Hong, S.S., Kim, J.Y. and Lee, J.Y. (2015) Trends of supply and?demand of aggregate in Korea(I), Jour.Petro.Soc.Korea, v.24,?p.253-272. doi: 10.7854/KPSK.2015.24.3.253. 

  3. Hong, S.S. and Lee, J.Y. (2020) Analysis of 2019 domestic?aggregate production in Korea(I), Korea Econ. Environ. Geol.,?v.53, p.755-769. doi: 10.9719/EEG.2020.53.6.755 

  4. Hong, S.S. and Lee, J.Y. (2021) Aggregate of Korea in 2020,?Korea Econ. Environ. Geol., v.54, p.581-594. doi: 10.9719/EEG.2021.54.5.581. 

  5. Hong, S.S. and Lee, J.Y. (2021) Analysis of domestic aggregate?production of Korea in 2019 (II) - by local governments,?Korea Econ. Environ. Geol., v.54, p.427-439. doi: 10.9719/EEG.2021.54.4.427. 

  6. Hong, S.S. and Lee, J.Y. (2021) Analysis of domestic aggregate?production of Korea in 2019 (III) - by active operations,?Korea Econ. Environ. Geol., v.54, p.549-560. doi: 10.9719/EEG.2021.54.5.549 

  7. Kim, J.Y., Yang, D.Y., Hong, S.S., Oh, K.C., Jang, S.B., Lee, J.Y.?and Lim, H.S. (2005) Physical properties of old fluvial?aggregates in the southeastern of Jeonnam Province, Korea,?Korea Econ. Environ. Geol., v.33, p.319-334. 

  8. Lee, D.K. and Lee, J.Y. (2021) Sustainable development plan for?domestic forest aggregate development according to transport?distance. Korea Econ. Environ. Geol., v.54, p.495-503. doi: 10.9719/EEG.2021.54.5.495. 

  9.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4) The 5th Basic?plan for supply and demand of aggregate, 358p. 

  10.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8) The 6th Basic?plan for supply and demand of aggregate, 368p. 

  11.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21) Annual?aggregate statistics, www.agris.go.kr 

  12. Willett, J.C. (2020) Sand and gravel, construction(advance release), 2017 Minerals Yearbook, U.S. Geological Survey, 14p. 

  13. Willett, J.C. (2020) Stone, crushed(advance release), 2017 Minerals?Yearbook, U.S. Geological Survey, 26p. 

  14. Yoo, B.Y., Lee, J.Y., Lee, D.K. and Cheong, Y.W. (2022) Effect of?degree of weathering on the distribution of aggregate particle?size and the generation of fine rock particles during crushing of?granite, Korea Econ. Environ. Geol., v.55, p.429-438. doi: 10.9719/EEG.2022.55.5.429. 

  15. Yoo, B.Y. and Yu, J.H. (2022) Physical properties of major bedrocks?in Chungju-Goesan area as aggregates, Korea Econ. Environ.?Geol., v.55, p.649-659. doi: 10.9719/EEG.2022.55.6.64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