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공도서관 독서프로그램 운영 현황분석 및 정책 제안 -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 데이터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nalysis of Public Library Reading Program Operation Status and Policy Proposal: Focusing on National Library Statistics System Data 원문보기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34 no.4, 2023년, pp.125 - 147  

심효정 (대진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문헌연구와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 데이터를 중심으로 공공도서관에서 진행되는 독서프로그램의 현황을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향후 공공도서관의 독서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정책 방향 등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분석을 통해 도출된 시사점을 바탕으로 첫째, 공공도서관 독서 활동 데이터 확보와 공유 방안을 제안하였다. 둘째, 지속가능한 독서프로그램 추진을 위한 방안 제안을 위해 독서프로그램 기획과 운영에 관련있는 요소의 상관관계 분석결과를 제시하였다. 셋째, 독서프로그램 평가지표 개선 및 질적 평가의 확산을 언급하고 문화체육관광부, 한국도서관협회 등에 상시적으로 공공도서관 현장의 의견을 수렴할 수 있는 공식 창구 마련 등을 제안하였다. 넷째, 독서대전 개최지역 공공도서관들 간 협의체 구성 운영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s the current status of reading programs in public libraries based on literature research and data from the National Library Statistics System to derive implications and, based on this, to determine policy directions necessary to revitalize reading programs in public libraries in t...

주제어

표/그림 (15)

참고문헌 (21)

  1. Chang, Durkhyun (2014). A research on cultural programs in public libraries in busan metro?a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8(4), 173-192.?https://dx.doi.org/10.4275/KSLIS.2014.48.4.173 

  2. Choi, Sanghee (2020). Analysis of public library programs: u. s. public libraries' practices. Journal?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51(4), 351-374. https://dx.doi.org/10.16981/kliss.51.4.202012.351 

  3. Hoang, Gum-Sook, Kim, Sookyong, & Park, Miyoung (2008). A study on analysis and improvement?of cultural programs in public librarie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Society, 39(1), 219-244. https://dx.doi.org/10.16981/kliss.39.1.200803.219 

  4. Kang, Soo-Geol (2022, September). Does the Korea Reading Festival Drive the Development?of Local Publishing Culture? Publishing N, 36. 

  5. Kim, Hong Ryul (2004). A study on the cultural and educational function of public libraries?for regional development.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35(4), 339-360. 

  6. Korea Publishing Industry Promotion Agency (2023). KPIPA Report: Korea Reading Festival?Development Plan. 

  7. Korea Reading Festival Goyang (2023, October 30). Available: https://korearf.kpipa.or.kr/uss/mpe/pageDetai.do?cntntsIdC0000000000000000006&menuNo10050100 

  8. Kwak, Chul-Wan, Ahn, Inja, Kim, Hoyeon, & Park, Miyoung (2009). A study of the model?and program manual of public library cultural program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0(1), 197-208. 

  9. Library Policy Division,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23). Briefing Session on the?2023 Public Library Operation Evaluation Guidelines. 

  10.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08). A Study on the Supporting of Culture Programs?in Libraries. 

  11.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2). Survey of Cultural Programs in Public Libraries?Across the Country. 

  12.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9). The 3rd Reading Culture Promotion Basic Plan?(2019-2023). 

  13.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20). Project to Improve National Library Operation?Evaluation Indicators and Evaluation System. 

  14.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22). 2022 Annual Report on Reading Promotion. 

  15. National Book City Council (2023.11.01.). Available: http://bookct.kr/web/page.php?pcodeAE 

  16. National Library Statistics System Homepage (2023, April 10). Announcement of Public Library?Statistical Survey Schedule for 2023(as of '22) Public Library Statistical Survey Plan for?2023('22 performance). Available: https://www.libsta.go.kr/board/notice/detail/6917 

  17. National Library Statistics System Homepage (2023, Nov 1). Available: https://www.libsta.go.kr/main 

  18. Presidential Committee on Library Information Policy,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2020). 2020 ('19 performance) National Library Operation Evaluation Results Report. 

  19. Presidential Committee on Library Information Policy,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2021). 2021 ('20 performance) National Library Operation Evaluation Results Report. 

  20. Seo, Sang-won (2022). A Study on Cases of Operation and Direction of Utilization of Metaverse?Cultural Programs in Domestic Public Libraries. Master's thesis, Incheon National University?Graduate School, Departmen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1. Song, Min Sun, Kim, Soo Kyoung, Hoang, Gum-Sook, & Chang, Inho (2023). Promoting reading?culture in goyang city: an analysis of the reading environment and evaluation of related?projec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40(2), 1-31.?https://dx.doi.org/10.3743/KOSIM.2023.40.2.00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