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사용자 요구사항 기반 초고속 해상무선통신망 활용성 증대 방안에 대한 연구
Increased Utilization of LTE-Maritime Networks Based on User Requirements 원문보기

海洋環境安全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29 no.7, 2023년, pp.812 - 818  

장상진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 교통정책실) ,  김부영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해상디지털통합활용연계 연구단) ,  이시환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 교통정책실) ,  김효정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 교통정책실) ,  송태한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 교통정책실) ,  심우성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해상디지털통합활용연계 연구단)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해양수산부는 2016년부터 2020년까지 국제사회의 이내비게이션 도입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어선 등 소형선박의 해사안전 증진을 위해 "초고속 해상무선통신망(LTE-M)" 구축을 포함한 한국형 이내비게이션 구축사업을 추진하였으나, 초고속 해상무선통신망의 활용 관점에서 특정 목적에 한정하는 등의 한계점이 식별되었다. 이에 따라 통신망의 활용성 증대를 위해 사용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 및 인터뷰를 수행한 결과, 망 활용의 범위 확대, 망 활용 대상 확장, 망 활용 방식 다각화, 그리고 규제 완화 측면에서의 법·제도적 개선 사항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사용자 요구사항을 기반으로 하여 향후 관련 법제 정비방안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uring the years 2016 to 2020,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embarked on a strategic initiative to develop a comprehensive Korean e-navigation system, which encompassed the establishment of an 'Long Term Evolution for Maritime (LTE-M).' The primary objectives were to proactively align with in...

Keyword

참고문헌 (9)

  1. Choi, S. H., E. K. Lee, H. M. Jeong, and M. H. Kang(2017), A Study on Establishment of Roadmap Using the Drone of Ocean & Fisheries, pp. 79-89.? 

  2. Han, D. Y., H. W. Kang, S. J. Han, J. Y. Kim, and D. S. Yoo(2022), Multi-channel based Broadband Maritime Communication System Design. The Journal of Korea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Society. Vol. 79, No. 1, pp. 30-31.? 

  3. Hong, T. H., G. G. Jeong, and G. U. Kim(2018), An Analysis of Marine Casualty Reduction by SMART Navigation Service: Accident Vulnerability Monitoring System (SV10).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and Safety, Vol. 24, No. 5, p. 509.? 

  4. Kim, B. Y. and W. S. Shim(2021), A Study on How to Expand the Application of Long Term Evolution Maritime (LTE-M) Network in Small Ships.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2021 Autumn Proceeding, pp. 114-115.? 

  5. Kim, S. Y. and H. J. Lee(2015), A Study on the Application Measures of e-Navigation in Maritime Fisheries Sector, pp 12-30.? 

  6. Lim, H. T. and Y. G. Cho(2018), A Study on Policy Making for e-Navigation from the Viewpoint of a Maritime Digital Communication Network.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ol. 24, No. 6, pp. 679-685.? 

  7. Lim, K. H.(2020), A Study on Legal Issues of the Draft Law of the Provision and Utilization Promotion of Intelligent Maritime Traffic Information Service. pp. 47-55.? 

  8.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MOF)(2021), 1st Master Plans for Intelligent Maritime Transport Information Services (2021~2025), pp. 3-9.? 

  9. Ryu, J. M.(2022),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radio wave management legislation, pp. 63-73.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