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연안 재해 회복탄력성 측정 모형의 개발 및 적용: 연안침식 사례를 중심으로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Coastal Disaster Resilience Measurement Model for Climate Change Adaptation: Focusing on Coastal Erosion Cases 원문보기

海洋環境安全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29 no.7, 2023년, pp.713 - 723  

강승원 (한국해양과학기술원) ,  이문숙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후변화는 연안지역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그 영향이 점점 증가할 것이라고 예상되는 바, 최근 기후변화 적응리스크 평가에 있어 많은 연구들이 취약성과 함께 회복탄력성 개념을 이용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연안재해 회복탄력성 측정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측정 모형 개발에 앞서 연안재해 회복탄력성에 대한 광범위한 문헌검토를 통해 취약성과 회복탄력성에 대한 조작적 정의와 함께 여러 피드백 메커니즘이 포함된 개념적 프레임워크를 작성하였다. 연안재해 회복탄력성 측정 모형은 네 가지 측정값(MRV, LRV, RTSPV, ND)과 연안재해 회복탄력성 복합 지수(CRI)를 포함하고 있으며, 개발된 지수는 국내 연안침식 사례에 적용되었다. 또한 지수 등급에 따른 지역적 분석이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 네 가지 회복탄력성 측정값을 통해 각 지점이 가지는 연안침식 회복탄력성의 다양한 특성을 파악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안 회복탄력성 복합 지수의 매핑 결과 서해안 및 남해안 지역에 비해 동해안 지역들은 연안침식 회복탄력성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회복탄력성 측정 모형은 적응 이후의 이행전략에 대한 논의를 제공하는 도구로 활용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취약 지역 그룹 간 정책지원에 대한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데 이용 가능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limate change is significantly affecting coastal areas, and its impacts are expected to intensify. Recent studies on climate change adaptation and risk assessment in coastal regions increasingly integrate the concepts of recovery resilience and vulnerabilit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

주제어

참고문헌 (29)

  1. Anjos, L. J. and P. M. de Toledo(2018), Measuring resilience?and assessing vulnerability of terrestrial ecosystems to climate?change in South America, PLoS One, Vol. 13, No. 3,?e0194654. 

  2. Birgani, Y. T. and F. Yazdandoost(2016), Resilience in urban?drainage risk management systems, In proceedings of the?institution of civil engineers-water management, Vol. 169, No.?1, pp. 3-16. 

  3. Bruneau, M., S. E. Chang, R. T. Eguchi, G. C. Lee, T. D.?O'Rourke, A. M. Reinhorn, ... and D. Von Winterfeldt(2003),?A framework to quantitatively assess and enhance the seismic?resilience of communities, Earthquake spectra, Vol. 19, No. 4,?pp. 733-752. 

  4. Chang, S. E. and M. Shinozuka(2004), Measuring improvements?in the disaster resilience of communities, Earthquake spectra,?Vol. 20, No. 3, pp. 739-755. 

  5. Chen, J., S. T. Yang, H. W. Li, B. Zhang, and J. R. Lv(2013), Research on geographical environment unit division?based on the method of natural breaks (Jenks), The?International Archives of the Photogrammetry, Remote?Sensing and Spatial Information Sciences, Vol. 40, pp. 47-50. 

  6. Cutter, S. L., L. Barnes, M. Berry, C. Burton, E. Evans, E.?Tate, and J. Webb(2008), A place-based model for understanding?community resilience to natural disasters, Global environmental?change, Vol. 18, No. 4, pp. 598-606. 

  7. Cutter, S. L., K. D. Ash, and C. T. Emrich(2014), The?geographies of community disaster resilience, Global?environmental change, Vol. 29, pp. 65-77. 

  8. Field, C. B. and V. R. Barros(Eds.)(2014), Climate change?2014-Impacts, adaptation and vulnerability: Regional aspects,?Cambridge University Press. 

  9. Ingrisch, J. and M. Bahn(2018), Towards a comparable?quantification of resilience, Trends in Ecology & Evolution,?Vol. 33, No. 4, pp. 251-259. 

  10. Keating, A., K. Campbell, M. Szoenyi, C. McQuistan, D.?Nash, and M. Burer(2017), Development and testing of a?community flood resilience measurement tool, Natural Hazards?and Earth System Sciences, Vol. 17, No. 1, pp. 77-101. 

  11. Klein, R. J., R. J. Nicholls, and F. Thomalla(2003), Resilience?to natural hazards: How useful is this concept?, Global?environmental change part B: environmental hazards, Vol. 5,?No. 1, pp. 35-45. 

  12. Kythreotis, A. P. and G. I. Bristow(2017), The 'resilience?trap': exploring the practical utility of resilience for climate?change adaptation in UK city-regions, Regional Studies, Vol.?51, No. 10, pp. 1530-1541. 

  13. Laboy, M. and D. Fannon(2016), Resilience theory and praxis:?a critical framework for architecture, Enquiry The ARCC?Journal for Architectural Research, Vol. 13, No. 1. 

  14. McClymont, K., D. Morrison, L. Beevers, and E. Carmen?(2020), Flood resilience: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Environmental Planning and Management, Vol. 63, No. 7, pp.?1151-1176. 

  15. Manyena, B., G. O'Brien, P. O'Keefe, and J. Rose(2011),?Disaster resilience: a bounce back or bounce forward ability?,?Local Environment: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Justice and?Sustainability, Vol. 16, No. 5, pp. 417-424. 

  16. Miguez, M. G. and Verol, A. P.(2017), A catchment scale?Integrated Flood Resilience Index to support decision making?in urban flood control design, Environment and Planning B:?Urban Analytics and City Science, Vol. 44, No. 5, pp.?925-946. 

  17. Mugume, S. N., D. E. Gomez, G. Fu, R. Farmani, and D.?Butler(2015), A global analysis approach for investigating?structural resilience in urban drainage systems, Water research,?Vol. 81, pp. 15-26. 

  18. Owotoki, P., N. Manojlovic, F. Mayer-Lindenberg, and E.?Pasche(2006), A data mining approach for capacity building?of stakeholders in integrated flood management, In Sixth?International Conference on Data Mining (ICDM'06), pp.?446-455. 

  19. Qasim, S., M. Qasim, R. P. Shrestha, A. N. Khan, K. Tun,?and M. Ashraf(2016), Community resilience to flood hazards?in Khyber Pukhthunkhwa province of Pakistan, International?Journal of Disaster Risk Reduction, Vol. 18, pp. 100-106. 

  20. Schinke, R., A. Kaidel, S. Golz, T. Naumann, J. S.?Lopez-Gutierrez, and S. Garvin(2016), Analysing the effects?of flood-resilience technologies in urban areas using a?synthetic model approach, ISPRS international journal of?geo-information, Vol. 5, No. 11, 202. 

  21. Simonovic, S. P. and A. Peck(2013), Dynamic resilience to?climate change caused natural disasters in coastal megacities?quantification framework, British Journal of Environment and?Climate Change, Vol. 3, No. 3, pp. 378-401. 

  22. Simonovic, S. P.(2018), From risk management to quantitative?disaster resilience: A new paradigm for catastrophe modeling,?In Risk modeling for hazards and disasters, pp. 281-297. 

  23. Singh, R. R., M. Bruneau, A. Stavridis, and K. Sett(2022),?Resilience deficit index for quantification of resilience,?Resilient Cities and Structures, Vol. 1, No. 2, pp. 1-9. 

  24. Timmermann, P.(1981), Vulnerability, resilience and the collapse?of society, Environmental Monograph, Vol. 1, pp. 1-42. 

  25. Torresan, S., A. Critto, J. Rizzi, A. Zabeo, E. Furlan, and A.?Marcomini(2016), DESYCO: A decision support system for?the regional risk assessment of climate change impacts in?coastal zones, Ocean & Coastal Management, Vol. 120, pp.?49-63. 

  26. Toimil, A., I. J. Losada, R. J. Nicholls, R. A. Dalrymple, and?M. J. Stive(2020), Addressing the challenges of climate?change risks and adaptation in coastal areas: A review,?Coastal Engineering, Vol. 156, 103611. 

  27. Wong, P. P., I. J. Losada, J. P. Gattuso, J. Hinkel, A.?Khattabi, K. L. McInnes, ... and A. Sallenger(2014), Coastal?systems and low-lying areas. Climate change, Vol. 2104, pp.?361-409. 

  28. Woodruff, S. C. and M. Stults(2016), Numerous strategies but?limited implementation guidance in US local adaptation plans,?Nature Climate Change, Vol. 6, No. 8, pp. 796-802. 

  29. Zevenbergen, C., B. Gersonius, and M. Radhakrishan(2020),?Flood resilience.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Society A, Vol. 378, No. 2168, 201902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