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원을 위한 단계별 AI디지털 역량 프레임워크 개발
Development of Steps AI Digital Competency Framework for Teachers 원문보기

JPEE : Journal of practical engineering education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v.15 no.3, 2023년, pp.597 - 603  

신수범 (공주교육대학교 컴퓨터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교원의 AI디지털역량을 평가하고 연수에 활용할 수 있는 교원의 AI디지털 역량에 대한 단계별 프레임워크 개발에 대한 것이다. 이를 위해 AI디지털역량에 대해 활용과 소양의 관점을 테크놀로지컬교수내용지식(TPACK)의 관점과 연계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단계별 교원의 AI디지털 역량 선행연구 사례로 영국교육훈련재단의 3단계 역량, 유네스코 ICT 교사 역량 프레임워크 등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와 국내의 여건을 고려하여 교원의 AI디지털 역량을 진입, 적응, 선도의 3단계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최초 진입단계는 2차에 델파이 조사를 통과하였으며 그 외 2개 단계는 1차에서 통과하였다. 최종 진입단계는 AI디지털에 대해 이해는 하였지만, 실천에 어려움을 겪는 단계, 적응단계는 표준교육과정에 적용하는 수준, 선도단계는 심화과정에 AI디지털 적용과 타 교사에게 모델이 되는 수준으로 기술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총괄 AI디지털 역량을 통하여 세부적인 역량 개발이 가능하며 평가문항개발의 참고자료로 이용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valuates the AI digital competencies of teachers and presents a step-by-step framework for teacher's AI digital competencies that can be utilized in training. To do this, AI digital competencies were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utilization and disposition, linked with the Technologi...

주제어

표/그림 (8)

참고문헌 (13)

  1. S. H. Song, Y. A. Kim, H. J. Kim, J. C. Bahn, and H. G. Ryu, Development and research of teachers ICT literacy evaluation tools. KERIS. KR2003-27, 2003.? 

  2. O. Nessipbayeva, The Competencies of the Modern Teacher. Eric No. ED567059, 2012.? 

  3. AIEDAP, AIEDAP intermediate workshop materials for strengthening AI digital competency of teachers. Seoul National University AIEDAP Project Team (unpublished), 2021.? 

  4. P. Mishra and M. J. Koehler,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 framework for teacher knowledge," Teachers College Record, vol. 108, no. 6. pp. 1017-1054, 2006.? 

  5. CIEEM, The Different Levels of Competence https://cieem.net/, 2019. https://cieem.net/i-am/continuing-professional-development/competency-framework/the-different-levels-of-competence/? 

  6. Education and Training Foundation, Digital Teaching Professional Framework. Online Available: http://etfoundation.co.uk, 2019.? 

  7. UNESCO, ICT Competency Framework for Teachers V3. Online Available https://unevoc.unesco.org/, 2018.? 

  8. Edward C. Coughlin, Cheryl Lemke, Professional Competency Continuum. Milken Exchange Foundation. Online Available http://www.milkenexchange.org, 1999.? 

  9. Austrailian Department of Education, Skill and Employment, Foundation Skills for Your Future Program. Online Available https://www.dewr.gov.au/, 2020.? 

  10. R. Vuorikari, S. Kluzer, and Y. Punie, DigComp 2.2: The Digital Competence Framework for Citizens, EUR 31006 EN, Publications Office of the European Union, Luxembourg, 2022.? 

  11. D. T. K. Ng, J. K. L. Leung, J. Su, R. C. W. Ng, and S. K. W. Chu, "Teachers' AI digital competencies and twenty-first century skills in the post-pandemic world,"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vol. 71, pp. 137-161, 2023.? 

  12. C. H. Lawshe,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Personnel Psychology, vol. 28, no. 4, pp. 563-575, 1975.? 

  13. N. Tsankov and I. Damyanov, "The digital competence of future teachers: self-assessment in the context of their developmt," International Jounral of Interactive Mobile Technologies, vol. 13, no. 12, 2019.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