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예비교사의 계절변화 단원에 대한 수업곤란도 연구
The Study on the Class Difficulty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Seasonal Change Unit 원문보기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v.16 no.3, 2023년, pp.340 - 350  

김순식 (부산교육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교육대학교 84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계절변화 단원에 대한 수업 곤란도를 분석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과학 계절의 변화를 구성하는 4개 주제별 초등예비교사의 수업곤란도가 큰 주제부터 제시하면 '계절의 변화가 생기는 까닭은 무엇일까요?'(수업곤란 도 4.05), '계절에 따라 태양의 남중 고도와 낮과 밤의 길이는 어떻게 달라질까요?'(수업곤란도, 3.12), '하루 동안의 태양 고도, 그림자의 길이, 기온은 서로 어떤 관계가 있을까요?'(수업곤란도 2.85), '계절에 따라 기온은 어떻게 달라질까요?'(수업곤란도 2.80)이다. 이것으로 초등과학 계절의 변화 단원에서 공간지각 개념이 필요한 수업주제로 분류되는 '계절의 변화가 생기는 까닭은 무엇일까요?'에 대한 4주제에 대한 수업이 다른 단원에 비해서 수업곤란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계절변화 단원에서 수업주제별로 수업곤란도의 요인은 다양하게 나타났다. 초등예비교사들이 계절 변화 단원에 대한 수업을 지도할 때 수업을 어렵게 만드는 요인을 빈도수가 높은 순서대로 살펴보면 '자전축 기울기에 따른 태양남중 고도 비교하기 실험 지도' 가 42명(50%), '태양 남중고도와 낮과 밤의 길이 설명의 어려움'이 38명(45%), '남중고도 개념 설명의 어려움'이 27명(32%), '계절별 태양의 위치변화 설명의 어 려움'이 24명(29%), '태양고도를 측정할 때 전등의 높이를 조절해야 하는 합당한 이유 설명'이 20명(24%), '태양고도와 최고기온 사이의 불일치 이유 설명의 어려움'이 16명(19%), '모래(지면)온도 측정의 어려움'이 12명(14%)으로 각각 나타났다. 셋째, 수업곤란도 요인을 분석해 보면 교사요인보 다 교육과정요인이 많았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초등예비교사들의 수업곤란도가 가장 크게 나타난 계절 변화 단원 중 4주제인 '계절의 변화가 생기는 까닭은 무엇일까요?'에 대한 탐구활동은 교육과정의 측면에서 개선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the difficulty level of class on the seasonal change unit for 84 students at a university of education.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f we first present the four topics that make up the seasonal changes in elementary science, the subjects that have the gre...

주제어

표/그림 (11)

참고문헌 (27)

  1. 김상윤(2007). 과학과 물질영역에서 초등교사의 교수 곤란도 연구. 부산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순식(2012). 초등예비교사들의 계절변화 수업에 대한?연구.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5(3), 245-255.? 

  3. 김순식(2021). 초등예비교사의 성별 및 지구과학 이수?여부가 '계절변화' 개념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4(3), 236-247.? 

  4. 김순식(2022). 계절변화 원인에 대한 초등예비교사들의?대안개념 연구.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5(2),?249-262.? 

  5. 김옥희(2006). 초등 교사들이 생각하는 좋은 과학 수업의 특징.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항(2018). 초등 과학 '물의 상태변화' 단원의 교수곤란도와 학습곤란도.-2009 개정 과학 교육과정 중심으로-. 경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윤혜경(2004). 초등 예비교사들이 과학 수업에서 겪는?어려움. 초등과학교육, 23(1), 74-84.? 

  8. 이명제(2016). 초등예비교사들의 계절변화 원인에 대한?설명과 확신 수준. 교육논총, 53(3), 1-13.? 

  9. 이은옥(2011). 계절변화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대안개념.?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이재천, 권태형, 김범기(1997). 초등 교사들의 자연과 교수지도에 대한 과학 불안도 및 태도 인식조사.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16(2), 257-275.? 

  11. 임동찬(1993). 국민학교 자연과 학습 지도와 평가에 대한?실태 조사. 학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임아름(2014). 초등 과학과 '전기회로' 단원 수업에 서교사와 학생이 겪는 교수.학습 곤란 분석.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정하나(2014). 초등 교사와 학생의 과학과 '물체의 속력'?단원 수업의 교수.학습 곤란도와 원인 분석.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정효해, 김재영(2005). 초등교사와 학생의 과학과 교수학습에 대한 곤란도 연구. 초등과학교육학회지, 24(5),?531-538.? 

  15. 정효혜(2003). 초등교사와 학생의 과학과 교수학습에 대한 곤란도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채동현(1998). 새로운 계절변화 실험모형이 초등예비교사의 개념 변화에 미치는 효과.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17(1), 23-32.? 

  17. 채동현, 김희숙(1996). 초등예비교사들의 태양의 고도에?대한 유년적 사고. 전주교육대학교 과학교육연구논문집, 18, 73- 92.? 

  18. 채동현, 변원섭, 손연아(2003). 초등예비교사들의 계절?변화 원인에 대한 질적 연구. 초등과학교육학회지,?22(1), 109-120.? 

  19. 채동현, 임성만(2011). 반증-실험 모형을 이용한 '계절?변화의 원인'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의 개념 변화?분석. 초등과학교육, 30(4), 524-534.? 

  20. Atwood, R., & Atwood, V. (1996). Pre-service elementary?teacher's conception of causes of season. Journal of?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3, 553-563.? 

  21. Czerniak, C., & Chiarelott, L. (1990). Teacher education?for effective science instruction-a social cognitive?perspective.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41(1),?49-58.? 

  22. Deture, G., & Ramey-Gassert. (1990.4). The science preparation of elementary teachers. Paper Presented at The?Annual Meeting of the National Association for?Research in Science Teaching, Atlanta, GA.? 

  23. Driver. (1986). A constructivist approach to curriculum development in science. Science Education, 13, 105-106.? 

  24. Feldman, S. (1998.7.17). A teacher quality Manifesto.?Keynote Speech to AFT's 1998 Convention.? 

  25. Shrigley, R. L. (1990). Attitude and behavior are correlates.?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7, 97-113.? 

  26. Tilgner, P. J. (1990). Avoiding science in the elementary?school. Science Education, 74(4), 421-431.? 

  27. Westerback, M. E. (1984). Studies on anxiety about teaching science in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Journal?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1(9), 937-95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