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골목상권 매출액 데이터를 활용한 성장-쇠퇴 유형화와 성장상권 영향요인 분석 - 코로나19 전후를 대상으로 -
Analysis of Growth-Decline Type and Factors Influencing Growth Commercial Area Using Sales Data in Alley Commercial Area - Before and After COVID-19 - 원문보기

地域硏究 =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v.39 no.1, 2023년, pp.53 - 66  

박지완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공학과) ,  전이봄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공학과) ,  이승일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코로나19로 인해 도시민의 외부활동이 크게 위축되면서 인구감소, 매출액 감소 등 상권에 많은 피해가 발생하였다. 상권의 침체는 국가경제의 하부구조 붕괴를 의미하며, 지역경제와 개인의 삶에도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 할 수 있다. 따라서 국가 지역경제와 밀접한 관계인 골목상권을 살펴보고, 영세한 소상공인이 밀집한 골목상권의 피해와 침체에 주목해야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전후 기간을 대상으로 상권 매출액 시계열 데이터와 DTW 시계열 군집분석을 활용하여 , 골목상권을 성장상권과 쇠퇴상권으로 구분하고 성장상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도출하는 것이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코로나19 전후 기간의 상권 매출액 시계열 데이터를 활용하여 골목상권을 성장상권과 쇠퇴상권으로 구분하였고, 성장상권과 쇠퇴상권의 분포가 지역적으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쇠퇴상권이 다수 분포한 지역의 적극적인 상권 관리 정책이 필요하며, 쇠퇴상권의 공간적 분포를 고려한 지역별 정책 마련이 요구된다. 둘째, 코로나19 시기에는 대면필수업종과 집객시설 밀도, 인구밀도가 상권 지속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이는 기존의 연구와 반대되는 결과이다. 이는 코로나19 시기의 특수성과 집적경제의 부정적 효과를 실증적으로 확인한 결과이며, 추후 국가재난상황 발생 시 실효성 있는 상권 관리 방안 및 정책 마련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셋째, 상권의 배후지 특성이 상권 지속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배후지의 인구밀집을 유도하는 집객시설의 부정적 효과가 나타났다. 이는 국가재난상황에서 상권 활성화 정책 및 소상공인 지원 정책 수립 시 상권 내부뿐만 아니라 배후지 특성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ue to COVID-19, the external activities of urban residents have greatly shrunk, causing a lot of damage to the commercial district, such as a decrease in population and sales. The downturn in commercial districts means the collapse of the infrastructure of the national economy, and can have serious...

주제어

표/그림 (6)

참고문헌 (52)

  1. 강태연.박진아, 2021, 상권변화과정 분석을 통한 상권 재활성화 진단 연구, 「국토계획」, 56(3), pp.78-91. 

  2. 강현모.이상경, 2019, 시계열 군집분석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한 골목상권 성장요인 연구, 「한국측량학회지」 37(6), pp.535-543. 

  3. 김동준, 2022, 서울시 상업공간의 시공간적 유형 분류와 상가업소 영업 지속성 영향요인 분석, 서울시립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 김동준.이창효.이승일, 2019, 서울시 발달상권과 골목상권의 일반음식점 생존특성 연구, 「국토계획」, 54(5), pp.76-90. 

  5. 김성태.박만식, 2018, 동적 시간워핑을 활용한 시계열자료의 군집분석, 「한국자료분석학회」, 20(5), pp.2319-2332. 

  6. 김윤정, 2021, 데이터에 기반한 입법평가: 포용적 성장을 위한 입법(I)-소상공인지원법, 「한국법제연구원」, 

  7. 김재호.김장영, 2021, 코로나19와 서울 소상공인 상권의 상관관계 분석,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25(3), pp.384-388. 

  8. 김지원, 2018, 골목상권 매출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상권 특성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김진석.서경희.이현승.김경민, 2022, 서울시 상권 특성이 소매업 생존에 미치는 영향, 「국토계획」, 57(1), pp.75-90. 

  10. 김태환, 2020, 「포스트 코로나 시대, 자영업 시장의 변화」,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 

  11. 김현철.안영수, 2019, 상점 밀도와 업종 다양성을 이용한 서울시 골목상권의 동태적 변화 모니터링 연구, 「서울도시연구」 20(4), pp.149-170. 

  12. 김현철.이승일, 2019, 서울시 골목상권 매출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도시연구」 20(1), pp. 117-134. 

  13. 노화봉.정남기, 2016, 한국과 독일 그리고 일본의 폐업 자영업자 정책 비교 분석, 「질서경제저널」, 19(1), pp.69-84. 

  14. 데이타솔루션 컨설팅팀, 2017, 「SPSS Statistics 회귀분석」, 데이타솔루션. 

  15. 민철기.강창덕, 2021, 상권의 공간적 확산에 따른 상업시설 생존율과 생존요인 비교-홍대지역 음식점을 중심으로, 「서울도시연구」, 22(2), pp.17-38. 

  16. 박경태.김영훈, 2022, 골목상권의 영역 설정과 유형 분류에 관한 연구: 청주시를 사례로, 「한국지도학회지」, 22(1), pp.69-83. 

  17. 박재홍, 2015, 골목상권의 정체성 유지를 위한 도시정책방향, 「도시정책연구」, 6(2), pp.35-46. 

  18. 박진백.김민섭, 2022, 코로나 19 발생 전후 상권 생존율 변화 분석-서울 강남구와 대구 수성구를 중심으로,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JCCT)」, 8(6), pp.121-126. 

  19. 서울신용보증재단 소상공인 정책연구 센터, 2021, "코로나 19 1년...서울 골목상권 59% 매출 하락, 41%는 유지.상승", 서울특별시. 

  20. 서장혁.정우환.심규석, 2019, 희소하고 긴 시계열 데이터의 동적 시간 워핑 거리 상계값 개선, 「정보과학회논문지」, 46(6), pp.570-576. 

  21. 유현지, 2021, 코로나19와 서울시 골목상권의 매출액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33(3), pp.45-75. 

  22. 윤메솔, 2020, 서울시 인구이동패턴을 통한 지역 분석,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3. 윤상용, 2019, 지역상권 특성이 자영업자 폐업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시 25 개 자치구를 중심으로, 「기업과혁신연구」, 42(3), pp.21-39. 

  24. 이동현.이재경,.천상현, 2020, 서울시 성장상권과 쇠퇴상권 내 외식산업의 생존율 비교, 「국토연구」, 105, pp.65-84. 

  25. 이상만.김원식.김주안, 2015, 「SPSS를 활용한 사회과학 통계분석」, 한울아카데미. 

  26. 이성호.최석환, 2020, 신용카드 빅데이터를 활용한 코로나 19 발생의 지역상권 영향 분석: 수원시를 사례로, 「공간과 사회」, 30(3), pp.167-208. 

  27. 이슬.김태건.김갑성, 2022, 코로나 19 발생에 따른 서울시 골목상권 유형별 회복탄력성 및 영업 위기에 관한 분석. 「부동산학연구」, 28(2), pp.7-25. 

  28. 이연수.박현신.유승환.강준모., 2014, 캠퍼스상권 매출액에 영향을 미치는 입지요인 분석. 「서울도시연구」, 15(1), pp.17-34. 

  29. 이정란.최막중, 2018, 동종과 이종의 도. 소매 업종구성에 따른 상권 변화의 특성. 「한국지역개발학회지」, 30(2), pp.137-154. 

  30. 이정민.김동준.이승일, 2021 상업시설 업종별 밀도가 음식점 폐업에 미치는 영향 분석: 서울시 발달상권과 골목상권을 대상으로, 「국토계획」, 56(1). pp.108-120. 

  31. 이희연.노승철, 2013, 「고급통계분석론: 이론과 실습」, 문우사. 

  32. 임수명.김동준.이승일, 2020, 서울시 골목상권 특성이 일반 음식점의 성장단계별 생존에 미치는 영향 연구: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한 집적경제의 매개효과 검증, 「부동산학연구」, 26(3), pp.45-62. 

  33. 임현정.최상범, 2022, 코로나19가 서울시 상권 매출 변화에 미치는 영향 분석 - 행정동 단위 유동인구 군집화를 통한 업종별 비교를 중심으로 -, 「서울도시연구」, 23(1), pp.47-65. 

  34. 정대석.김형보, 2014, 상권 업종별 분포 및 매출 영향요인 분석: 경기도 31 개 시군을 대상으로. 「GRI 연구논총」, 16(2), pp.101-122. 

  35. 정동규.윤희연, 2017, 발달상권과 골목상권에 위치한 음식점의 생존과 폐업 비교: 이태원 지역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33(3), pp.57-68. 

  36. 지상훈, 2021, 코로나19로 변화한 생활인구와 음식업 창.폐업 행태: 서울시 주요 상권을 중심으로, 「노동리뷰」, 196, pp.71-88. 

  37. 통계청, 2021, 「2019년 기준 전국사업체조사 보고서」. 

  38. 한국경제연구원, 2021, 「2021년 상반기 골목상권 현황 및 하반기 전망 조사」. 

  39. 홍경구.김세용, 2022, 코로나 19 시기 상업가로 특성이 업종별 매출액에 미치는 영향-성남시 분당구 백현동 카페거리와 백현동 먹자골목을 중심으로, 「한국경관학회지」, 14(1), pp.18-30. 

  40. 홍영진.이정희, 2022, 코로나 19 에 따른 골목상권 자영업자의 폐업점포 분석, 「인문사회21」, 13(4) pp.1129-1144. 

  41. 황재석, 2021, 상권 배후지 소득에 따른 골목상권 매출변화 분석: COVID-19 발생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2. 황준원, 2022, 상권 유형별 상권 방문빈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발달상권과 골목상권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3. Baldwin, R., and Di Mauro, B. W., 2020, Economics in the time of COVID-19: A new eBook. VOX CEPR Policy Portal, 2(3). 

  44. Broersma, L., and Oosterhaven, J., 2009, Regional labor productivity in the Netherlands: Evidence of agglomeration and congestion effects, Journal of Regional Science, 49(3), pp.483-511. 

  45. Buchanan, J.M., 1965, An Economic Theory of Clubs, JOURNAL ARTICLE, Economica, New Series, Vol. 32, No. 125, pp.1-14. 

  46. Ingene, C. A., & Lusch, R. F., 1980. Market selection decisions for department stores. Journal of Retailing, 56(3), pp.21-40. 

  47. Jacobs, J., 1969, The Economy of Cities, New York: Vintage Books. 

  48. Marshall, A., and Marshall, M. P., 1920, The economics of industry, Macmillan and Company. 

  49. Peter, T. L., Leszczyc, P., Sinha, A., and Sahagal, A., 2004, The effect of multipurpose shopping on pricing and location strategy for grocery retailing. Journal of Retailing, 80(2), 85-99. 

  50. Porter, M. E., 1990, The Competitive Advantage of Nations, Harvard business review, 73, pp.73-91. 

  51. Sharabiani, A., Darabi, H., Harford, S., Douzali, E., Karim, F., Johnson, H., and Chen, S., 2018, Asymptotic dynamic time warping calculation with utilizing value repetition. Knowledge and Information Systems, 57, pp.359-388. 

  52. Teller, C., and Elms, J. R., 2012, Urban place marketing and retail agglomeration customers. Journal of Marketing Management, 28(5-6), pp.546-56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