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GIS 기반 지형 정보를 고려한 터널 굴착에 따른 지반침하와 터널 변위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ground settlement and tunnel displacement due to tunnel excavation considering topographic information based on GI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논문집, v.25 no.1, 2023년, pp.13 - 26  

조재은 (한양대학교 스마트시티공학과) ,  정예림 (한양대학교 스마트시티공학과) ,  송성민 (한양대학교 스마트시티공학과) ,  윤지석 (한양대학교 스마트시티공학과) ,  하상귀 (한양대학교 건설환경시스템공학과) ,  유한규 (한양대학교 건설환경시스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급속한 도시화, 인구 과밀화로 지하공간의 개발이 활발해지면서 지하공간의 공사에 따른 지반거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인구밀집도가 크고 건물도 많은 대도시에서의 지표침하는 구조물에 큰 영향을 주고 붕괴의 위험이 있을수 있기에 지하공사로 인한 지반거동에 대한 분석은 필수적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지금까지 터널 굴착 시 지표의 침하 양상과 터널의 변형에 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져 왔으나, 실제 지형 정보를 반영하여 분석을 진행한 경우는 거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FLAC 3D를 활용하여 실제지형과 평면지형에서의 지반거동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지형은 부산의 OO~OO 지하고속도로 구간의 OO역 인근의 지형으로 적용하였으며, 상행선과 하행선을 각각의 Case로 나누어 지형과 터널의 위치에 따라 3차원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지반침하는 산악지형과 같이 표고가 높을수록 크게 발생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터널의 천단침하는 지형 정보를 고려하여 수치해석을 진행하였을 때, 같은 지점에서 지형을 고려하지 않은 경우와 최대 약 10 mm의 차이를 보였으며, 내공변위의 경우 천단침하와 지반침하에 비해 민감도가 적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수치해석을 통해 현장을 잘 모사하기 위해서는 지형을 고려하는 것뿐만 아니라 상부 구조물을 해석에 반영시켜야 하기 때문에 수치해석에 사용할 건물 데이터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GIS 기반 지형 정보를 고려한 수치해석은 터널 굴착공사로 인한 상부 구조물의 거동을 파악하기 위해 더 정확한 지반침하 데이터를 얻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as the development of underground spaces has become active due to rapid urbanization and population density, interest in the ground behavior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of underground spaces is increasing. In large cities with high population density and many buildings, ground subsidence...

주제어

표/그림 (16)

참고문헌 (15)

  1. Ahmed, M., Iskander, M. (2011), "Analysis of tunneling-induced ground movements using transparent?soil models", Journal of Geotechnical and Geoenvironmental Engineering, Vol. 137, No. 5, pp. 525-535. 

  2. Attewell, P.B., Yeates, J., Selby, A.R. (1986), Soil Movements Induced by Tunnelling and Their Effects?on Pipelines and Structures, Chapman and Hall, New York, pp. 310-317. 

  3. Clough, G.W., Schmidt, B. (1981), "Chapter 8 - Design and performance of excavations and tunnels in soft?clay", Developments in Geotechnical Engineering (Soft Clay Engineering), Vol. 20, Elsevier, pp. 567-634. 

  4. Do, N.A., Dias, D., Oreste, P., Djeran-Maigre, I. (2014), "Three-dimensional numerical simulation of a?mechanized twin tunnels in soft ground",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Technology, Vol. 42, pp.?40-51. 

  5. Hosseini, S.A.A., Mohammadenejad, M., Hoseini, S.M., Mikaeil, R., Tolooiyan, A. (2012), "Numerical?and analytical investigation of ground surface settlement due to subway excavation", Geosciences, Vol. 2,?No. 6, pp. 185-191. 

  6. Loganathan, N., Poulos, H. (1998), "Analytical prediction for tunneling-induced ground movements in?clays", Journal of Geotechnical and Geoenvironmental Engineering, Vol. 124, No. 9, pp. 846-856. 

  7. Mair, R.J., Taylor, R.N., Bracegirdle, A. (1993), "Subsurface settlement profiles above tunnels in clays",?Geotechnique, Vol. 43, No. 2, pp. 315-320. 

  8. Ng, C.W., Lee, K.M., Tang, D.K. (2004), "Three-dimensional numerical investigations of new Austrian?tunnelling method (NATM) twin tunnel interactions", Canadian Geotechnical Journal, Vol. 41, No. 3, pp.?523-539. 

  9. O'Reilly, M.P., New, B.M. (1982), "Settlements above tunnels in the United Kingdom - their magnitude?and prediction", Tunnelling 82, Proceedings of the 3rd International Symposium, Brighton, pp. 173-181. 

  10. Park, C.H., Lee, S.D. (2017), "Experimental study on the ground subsidence due to the excavation of a?shallow tunnel",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Vol. 19, No. 5, pp.?761-778. 

  11. Peck, R.B. (1969), "Deep excavations and tunneling in soft ground", Proceedings of the 7th International?Conference on Soil Mechanics and Foundation Engineering, Mexico City, pp. 225-290. 

  12. Piciullo, L., Ritter, S., Lysdahl, A.O.K., Langford, J., Nadim, F. (2021), "Assessment of building damage?due to excavation-induced displacements: The GIBV method",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Technology, Vol. 108, 103673. 

  13. Sagaseta, C. (1987), "Analysis of undrained soil deformation due to ground loss", Geotechnique, Vol. 37,?No. 3, pp. 301-320. 

  14. Verruijt, A., Booker, J.R. (1998), "Surface settlements due to deformation of a tunnel in an elastic half?plane", Geotechnique, Vol. 48, No. 5, pp. 709-713. 

  15. Yang, H., Shi, H., Jiang, X., Liu, C. (2020), "Influence of construction process of double-line shield tunnel?crossing frame structure on ground settlement", Geotechnical and Geological Engineering, Vol. 38, No. 2,?pp. 1531-154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