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쉴드 TBM 시공데이터와 지반침하 계측데이터 간 상관성 분석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shield TBM construction field data and settlement measurement data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논문집, v.24 no.1, 2022년, pp.79 - 94  

정예림 (한양대학교 스마트시티공학과) ,  남경민 (한양대학교 건설환경시스템공학과) ,  김한얼 (한양대학교 건설환경시스템공학과) ,  하상귀 (한양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윤지석 (한양대학교 스마트시티공학과) ,  조재은 (한양대학교 스마트시티공학과) ,  유한규 (한양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도심지 포화 상태로 인한 지하공간 개발의 일환으로 터널 건설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쉴드 TBM 공법은 진동과 소음을 최소화하며 굴착과 동시에 지반 변형을 최소화하는 공법으로, 국내 도심지 터널 시공은 대체로 쉴드 TBM이 적용되고 있다. 도심지 지반침하 예측의 중요성은 나날이 증가하고 있으며 쉴드 TBM 시공의 경우 지반 변형을 최소화 하지만 터널굴착에 의한 지반침하는 필연적으로 발생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심지 적용성이 높은 쉴드 TBM과 지반침하와의 상관성을 분석하여 지반침하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쉴드 TBM 시공인자를 제시하고자 한다. 실제 현장에서 수집한 쉴드 TBM 시공데이터와 지반침하 계측데이터 간 상관관계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상관성 정도를 상관계수 "r"로 표현하였다. 그 결과 지반침하에 영향을 미치는 쉴드 TBM 주요 시공인자는 추력(Thrust force), 토크(Torque), 챔버압(Chamber pressure), 뒷채움압(Backfill pressure), 배토량(Muck discharge)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향후 쉴드 TBM 운용 시 지반침하를 사전에 예측 및 제어 할 수 있도록 주요 시공데이터에 대한 판단 기준 제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demand for tunnel construction is increasing as part of underground space development due to urban saturation. The shield TBM method minimizes vibration and noise and minimizes ground deformation that occurs simultaneously with excavation, and shield TBM is generally applied to tunnel constructi...

주제어

표/그림 (13)

참고문헌 (13)

  1. An, J.B., Kang, S.J., Kim, J.J., Kim, K.Y., Cho, G.C. (2021), "A preliminary study for numerical and analytical evaluation of surface settlement due to EPB shield TBM excavation",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Vol. 23, No. 3, pp. 183-198. 

  2. Chang, S.H. (2015), "A consideration for mechanical rock excavation focusing on TBM and roadheade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ineral and Energy Resources Engineers, Vol. 52, No. 5, pp. 531-548. 

  3. Jun, G.C., Kim, D.H. (2015), "A study on key factors of ground surface settlement due to shield TBM excavation using 3-dimension numerical analysis",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Vol. 17, No. 3, pp. 305-317. 

  4. Jun, G.C., Kim, D.H. (2018), "Study on the 3 dimensional numerical analysis method for shield TBM tunnel considering key factors",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Vol. 20, No. 2, pp. 513-525. 

  5. Kim, W.S. (2020), A study on chamber pressure of EPB shield TBM with measurement data analysis of under the river, Ph.D. Thesis, Woosong University, pp. 6-12. 

  6. Kim, Y.D., Hwang, B.H., Cho, S.W., Kim, S.H. (2021), "A study on the soil conditioning behaviour according to mixing method in EPB shield TBM chamber",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Vol. 23, No. 4, pp. 233-252. 

  7. Kim, Y.J., Im, C.G., Kang, S.G., Lee, Y.J. (2014), "A study on surface settlement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cohesive soil depth through laboratory model tests",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Vol. 16, No. 6, pp. 507-520. 

  8. Koh, S.Y., Kwon, S.J., Hwang, C.H., Kim, S.I., Choo, S.Y. (2011), "A study on gap parameter and influence area of ground settlement using back analysis constructed by shield TBM with shallow depth", Proceedings of the 2011 Spring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Hoengseong, pp. 1509-1518. 

  9. Moeller, S.C. (2006), Tunnel induced settlements and structural forces in linings, Ph.D. Thesis, University of Stuttgart, pp. 3-35. 

  10. Oh, J.Y., Park, H.K., Kim, D.H., Chang, S.B., Lee, S.B., Choi, H.S. (2017), "Study on the effect of tail void grouting on the short- and long-term surface settlement in the shield TBM Tunneling using numerical analysis",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Vol. 19, No. 2, pp. 265-281. 

  11. Park, H.K., Oh, J.Y., Chang, S.B., Lee, S.B. (2016), "Case study of volume loss estimation during slurry TBM tunnelling in weathered zone of granite rock",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Vol. 18, No. 1, pp. 61-74. 

  12. Peck, R.B. (1969), "Deep excavations and tunnelling in soft ground", Proceedings of the 7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oil Mechanics and Foundation Engineering, Mexico City, pp. 225-290. 

  13. Sugiyama, T., Hagiwara, T., Nomoto, T., Nomoto, M., Ano, Y., Mair, R.J., Bolton, M.D., Soga, K. (1999), "Observations of ground movements during tunnel construction by slurry shield method at the Docklands Light Railway Lewisham extension-East London", Soils and Foundations, Vol. 39, No. 3, pp. 99-11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