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양한 금속 이온을 이용한 카세인 단백질 나노입자 형성 및 약물 전달체 특성 연구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asein Nanoparticles with Various Metal Ions as Drug Delivery Systems 원문보기

공업화학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v.34 no.2, 2023년, pp.121 - 125  

김민주 (충남대학교 생화학과) ,  이슬기 (충남대학교 생화학과) ,  최준식 (충남대학교 생화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카세인(casein)은 포유류의 우유에서 발견되는 단백질로 우유에서는 80% 이상 함유되어 있다. 사람의 모유에는 약 20~45%가 포함되어 있으며 생체 적합성이 높아 의료 및 산업 소재로 사용되고 있다. 카세인은 양친매성 구조로 내부는 소수성이기 때문에 수용액에서 마이셀로 자가 조립이 가능하여 난용성 약물을 봉입할 수 있다. 또한, 단백질 고분자 소재로 생분해성을 갖고 있어 약물의 전달체로서 적합한 특징을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칼슘 이온 외에 마그네슘, 아연, 철 등 생체 내 존재하는 다양한 금속 이온들을 사용하여 각각 효과적인 카세인 나노입자 형성 조건을 규명하였다. 동적 광산란 측정기와 제타 전위 측정을 통해 150 nm 이하의 균일한 사이즈를 유지하고 음전하를 띠는 나노입자가 형성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각각의 카세인 나노입자가 HeLa 세포주에서 80% 이상의 생존율을 나타내 낮은 세포 독성을 확인하였고, 카세인 나노입자 내부에 시험 약물로서 나일 레드를 봉입하여 세포 내부로 효과적으로 유입됨을 공초점 현미경으로 입증하였다. 본 실험들을 통해 제조된 카세인 나노입자의 약물 전달체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asein is a milk protein and one of the most important nutrients in milk. The composition is over 80% in cow's milk and about 20~45% in human's milk. Casein is highly biocompatible and biodegradable, so it has been studied for various biomedical materials applications as well as drug delivery system...

주제어

표/그림 (6)

참고문헌 (20)

  1. D. Verma, N. Gulati, S. Kaul, S. Mukherjee, and U. Nagaich, Protein based nanostructures for drug delivery, J. Pharm., 2018, 1-18 (2018). 

  2. A. Z. Wilczewska, K. Niemirowicz, K. H. Markiewicz, and H. Car, Nanoparticles as drug delivery systems, Pharmacol. Rep., 64, 1020-1037 (2012). 

  3. A. O. Elzoghby, W. M. Samy, and N. A. Elgindy, Protein-based nanocarriers as promising drug and gene delivery systems, J. Control. Rel., 161, 38-49 (2012). 

  4. M. L. Picchio, J. C. Cuggino, G. Nagel, S. Wedepohl, R. J. Minari, C. I. A. Igarzabal, L. Gugliotta, and M. Calderon, Crosslinked casein-based micelles as a dually responsive drug delivery system, Polym. Chem., 9, 3499-3510 (2018). 

  5. T. Huppertz, A. L. Kelly, and C. G. de Kruif, Disruption and reassociation of casein micelles under high pressure, J. Dairy Res., 73, 294-298 (2006). 

  6. T. K. Glab, and J. Boratynski, Potential of casein as a carrier for biologically active agents, Top. Curr. Chem., 375, 1-20 (2017). 

  7. J. S. Garcia, C. S. de Magalhaes, and M. A. Z. Arruda, Trends in metal-binding and metalloprotein analysis, Talanta, 69, 1-15 (2006). 

  8. J. R. Madan, I. N. Ansari, K. Dua, and R. Awasthi, Formulation and In Vitro Evaluation of Casein Nanoparticles as Carrier for Celecoxib, Adv. Pharm. Bull., 10, 408-417 (2020). 

  9. A. Shapira, I. Davidson, N. Avni, Y. G. Assaraf, and Y. D. Livney, β-Casein nanoparticle-based oral drug delivery system for potential treatment of gastric carcinoma: stability, target-activated release and cytotoxicity, Eur. J. Pharm. Biopharm., 80, 298-305 (2012). 

  10. N. Ghayour, S. M. H. Hosseini, M. H. Eskandari, S. Esteghlal, A. R. Nekoei, H. H. Gahruie, M. Tatar, and F. Naghibalhossaini, Nanoencapsulation of quercetin and curcumin in casein-based delivery systems, Food Hydrocoll., 87, 394-403 (2019). 

  11. S. Gandhi and I. Roy, Doxorubicin-loaded casein nanoparticles for drug delivery: Preparation, characterization, and in vitro evaluation, Int. J. Biol. Macromol., 121, 6-12 (2019). 

  12. L. Xv, X. Qian, Y. Wang, C. Yu, D. Qin, Y. Zhang, P. Jin, and Q. Du, Structural modification of nanomicelles through phosphatidylcholine: The enhanced drug-loading capacity and anticancer activity of celecoxib-casein nanoparticles for the intravenous delivery of celecoxib, Nanomaterials, 10, 451 (2020). 

  13. K. Pan, Y. Luo, Y. Gan, S. J. Baek, and Q. Zhong, pH-driven encapsulation of curcumin in self-assembled casein nanoparticles for enhanced dispersibility and bioactivity, Soft Mater., 10, 6820-6830 (2014). 

  14. S. W. El-Far, M. W. Helmy, S. N. Khattab, A. A. Bekhit, A. A. Hussein, and A. O. Elzoghby, Folate conjugated vs PEGylated phytosomal casein nanocarriers for codelivery of fungal- and herbalderived anticancer drugs, Nanomedicine, 13, 1463-1480 (2018). 

  15. H. Perlstein, Y. Bavli, T. Turovsky, A. Rubinstein, D. Danino, D. Stepensky, and Y. Barenholz, Beta-casein nanocarriers of celecoxib for improved oral bioavailability, Eur. J. Nanomed., 6, 217- 226 (2014). 

  16. R. Penalva, I. Esparza, M. Agueros, C. J. G. Navarro, C. G. Ferrero, and J. M. Irache, Casein nanoparticles as carriers for the oral delivery of folic acid, Food Hydrocoll., 44, 399-406 (2015). 

  17. M. F. Diouani, O. Ouerghi, K. Belgacem, M. Sayhi, R. Ionescu, and D. Laouini, Casein-conjugated gold nanoparticles for amperometric detection of Leishmania infantum, Biosensors, 9, 68 (2019). 

  18. Y. Yao, H. Wang, R. Wang, and Y. Chai,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homogeneous and enhanced casein protein-based composite films via incorporating cellulose microgel, Sci. Rep., 9, 1221 (2019). 

  19. M. J. Kronman and G. D. Fasman, Metal-ion binding and the molecular conformational properties of α lactalbumi, CRC Crit. Rev. Biochem. Mol. Biol., 24, 565 (1989). 

  20. M. Yamada and M. Tsuruzumi, Utilization of milk protein as an environmental material: Accumulation of metal ions using a protein-inorganic hybrid material, Polym. J., 48, 295-300 (20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