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리튬 폴리머 드론 배터리 방전시 이상가스에 대한 연구
Study on-Gas-generating Property Of Lithium Polymer Drone batteries 원문보기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v.18 no.1, 2023년, pp.195 - 204  

이종헌 (부경대학교 대학원 행정공간정보화드론학과) ,  김재원 (부경대학교 대학원 행정공간정보화드론학과) ,  윤홍주 (부경대학교 공간정보시스템공학과) ,  서원찬 (부경대학교 신소재시스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드론의 배터리 시스템은 리튬이온 또는 리튬폴리머 배터리를 사용하는데, 드론 사용 후 폐기 과정에서 화재 원인은 폐기되는 배터리에서 발생하는 가연성 가스인 것으로 알려졌다. 폐기공정에 들어간 배터리는 대부분 산소가 발생했지만 미량의 가연성 가스도 발생했고, 처리에 사용된 장비에서도 다량의 염소 이온과 황산염이 검출됐다. 이를 조기에 감지하는 시스템이 구성된다면 폐기 배터리로 인한 사고 위험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drone's battery system uses lithium-ion or lithium-polymer batteries, and it is known that the cause of fire during the disposal process after using the drone is combustible gas from the battery being discarded. Most of the batteries in the disposal process generated oxygen, but a small amount o...

주제어

표/그림 (21)

참고문헌 (10)

  1. S. Taku, "the story of the secondary battery read for?the first time," korea, Pluto, 2021, pp. 04-05 

  2. J. Lee, "study on gas-generating property of?lithium-ion batteries,"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and Engineering, vol. 35, no. 5, 2021, pp. 01-08 

  3. J. Lee, "study on gas-generating property of?lithium-ion batteries," Korean Institite of Fire?Science and Engineering, vol. 35, no. 5, 2021, pp. 01-08. 

  4. J. Kim, "Study on Lithium Ion Battery Explosion and?Ignition Mechanism," chun cheon, 2021. pp.?01-04. 

  5. Y. Lee, "A Study about the Fast Charging of?Li-Polymer Battery," small and medium business?administration, future leading tasks, konkuk?university, 2022, pp. 01-02. 

  6. S. Hwang, "A Study on Early Detection?Algorithm of off-gas to Prevent Thermal?Runaway of Li-ion Battery for ess," the Korean?Society of Industrial Science and Technology Spring?Academic Papers, vol. 71, no. 12, 2022, pp.?1787-1795. 

  7. B. Jee, "A Study on Explosion and Fire Risk of?Lithium-ion and Lithium-Polymer Battery," J. of?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science, vol. 42, no. 04, 2017, pp. 855-861 

  8. Korea Environmental Industry and Technology?Institude, "Processes and Technologies for the?Recycling and Recovery of Spent Lithium-ion?Batteries,"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Reviews, 2016, pp. 195-205. 

  9. G. Lee, "future industry stategy report," korea,?21st century books, 2021, pp. 156-163, 

  10. J. Woo, "Analysis of Discharge Characteristics?and Fire Risk of Mobile Phone Batteries?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Salt Water,"?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vol. 34. no. 1, 2020, pp. 66-7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