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재난 뉴스의 점화 효과: 지리적·심리적 거리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Priming Effects of Disaster-related TV News: Focusing on the Interactions of Geographical and Psychological Distance 원문보기

한국심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문화 및 사회문제, v.29 no.1, 2023년, pp.53 - 74  

김부종 (계명대학교 심리학과) ,  최윤경 (계명대학교 심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재난 뉴스의 점화 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특히 재난과의 지리적 거리와 심리적 거리에 따라 외상점화 효과 및 중립점화 효과에서 차이가 나는지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의 참가자는 대구 지하철 화재 사건을 직접 경험한 적이 없고, 스크리닝 설문에서 배제 기준에 해당되지 않는 대학생 75명이었으며, 모든 참가자는 뉴스 동영상을 시청한 후 어휘판단과제를 수행하였다. 설계는 2(지리적 거리) × 2(심리적 거리) × 2(점화 유형) 혼합 설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재난으로부터 지리적으로 가까운 집단이 먼 집단에 비해 점화 효과가 큰 경향성을 보였다. 둘째, 재난으로부터 심리적으로 가까운 경우, 지리적으로도 가까운 집단이 지리적으로 먼 집단에 비해 점화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재난으로부터 지리적으로 가까운 집단이 먼 집단에 비해 중립점화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넷째, 재난으로부터 심리적으로 먼 집단이 가까운 집단에 비해 중립점화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요약하면, 재난 뉴스가 사람들에게 암묵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지리적 거리와 심리적 거리에 따라 그 영향이 달라질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riming effects of disaster-related news. Specifically,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priming effects about trauma words and neutral words according to the geographical and psychological distance from the disaster.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7...

주제어

표/그림 (9)

참고문헌 (81)

  1. 구교태 (2014). 재난에 관한 위협이 미디어 의존과 재난 인식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21(3), 128-147. 

  2. 구수원 (1999). 재해방송의 역할과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구자경 (2015). 미디어유형에 따른 심리적거리가?메시지 설득효과에 미치는 영향: CSR 공익캠페인의 해석수준이론 적용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4. 국립국어연구원 (2005). 현대 국어 사용 빈도?조사 2. 서울: 국립국어연구원. 

  5. 권유안 (2012). 첫 음절 토큰 빈도와 타입 빈도가 단어 및 유사 단어 어휘 판단 시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생물, 24(4), 315-328. 

  6. 김봉기 (2014). 의료관광자의 심리적 거리와 관광지 선택속성이 만족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관광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김성진, 박경우 (2009). 국가재난사고에 대한?텔레비전 뉴스의 보도 형태 연구. 언론학 연구, 13(2), 5-41. 

  8. 김영애, 김부종, 최윤경 (2018). 세월호 사건 후 근접성, 매체 노출, 초기 반응 및 평가?가 집단 정서에 미치는 영향. 대한스트레스학회, 29(1), 68-75. 

  9. 김은영 (2014). 매스컴과 테러사건의 간접적 피해: 매스컴을 통한 테러사건의 노출과?PTSD 및 심리적 장애의 발현, 기타관련?요인에 관한 논의. 한국테러학회보, 7(3),?5-30. 

  10. 문윤선 (2015). 대형인명 사고로 인한 간접적 외상이 청소년의 부정적 정서와 외상 후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민문경, 주혜선, 안현의 (2018). 912 경주 지진을 경험한 일반인의 정신건강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 개인 리질리언스, 사회적 지지, 사회적 자본, 공적신뢰를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19(5), 93-116. 

  12. 박영신, 김기중, 박희경 (2004). DRM 패러다임에서 오기억과 실제 기억에 미치는 부적정서의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16(2), 131-150. 

  13. 방문신 (2014). 세월호 재난보도가 남긴 과제와 교훈. 관훈저널, 131(여름호), 13-26. 

  14. 배희경 (2011). 친숙성이 심리적 거리 조절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손승희 (2014). 사회적 사건에 의한 청소년의?간접외상 및 관련요인 연구: 세월호 사건을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21(10), 269-294. 

  16. 신지현, 김교헌 (2012). 외현기억과 암묵기억의?해리 및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에서 외상관련 자극의 인지적 처리과정의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7(3), 747-765. 

  17. 안정태 (2004). 암묵적 기억 측정을 통한 TV 드라마 속 간접광고(PPL)의 효과연구: PPL의 사후 광고에 대한 점화이론을 통한 접근. 중앙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유승관, 강경수 (2011). 세계 뉴스통신사의 재난?재해 뉴스보도의 실태와 개선방안 연구. 방송통신연구, 76(가을호), 140-169. 

  19. 윤경희, 이경님 (1999). 과제유형과 범주전형성에 따른 아동의 회상수행과 조직화책략?발달. 대한가정학회지, 37(2), 55-72. 

  20. 은헌정, 권태완, 이선미, 김태형, 최말례, 조수진 (2005). 한국판 사건충격척도 수정판의?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신경정신의학,?44, 303-310. 

  21. 이달선 (2015). 미디어 노출 통한 재난사건과 이차적 외상 스트레스, 대처방식 관계 연구.?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이재호 (2012). 인칭 대명사 '나'와 '너'의 정서적 평가 차이. 인지과학, 23(3), 323-348. 

  23. 이진의, 김진옥, 김남조, 김분한 (2014). 기술재해 이후 국민들의 인식유형에 따른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세월호 참사를 중심으로. 주관성 연구, (29), 5-27. 

  24. 이화행, 정성호 (2014). 세계 뉴스통신사의 재난 보도 경향 연구. 언론학연구, 18(2),?157-183. 

  25. 이흥표, 최윤경, 이재호, 이홍석 (2016). 세월호?뉴스 노출을 통한 간접 외상의 심리적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22(3), 411-430. 

  26. 임나리 (2014). 암묵기억 과제를 이용한 외상 후?스트레스 장애 꾀병의 탐지. 계명대학교?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임나리, 최윤경 (2020). 암묵기억 과제를 이용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꾀병의 탐지: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임상심리 연구와 실제, 6(2), 117-138. 

  28. 임연희 (2014). 세월호 참사에 대한 텔레비전?뉴스의 보도행태. 사회과학연구, 25(4),?179-201. 

  29. 장윤지, 최윤경 (2017). 유사 외상 상황에 의한 지각적 점화. Korean Journal of?Clinical Psychology, 36(2), 165-176. 

  30. 장현아 (2015). 노화가 점화단어유형 및 자극제시시간에 따른 어휘판단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전겸구, 최상진, 양병창 (2001). 통합적 한국판?CES-D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6(1),?59-76. 

  32. 정의문 (2014). 세월호 사건 매체노출이 대학생들에게 미친 간접외상에 대한 연구: 외상관련 부정적 신념과 회복탄력성을 조절변인으로. 대구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주혜선, 안현의 (2008). 외상후 위기 체크리스트: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일반, 27(1), 235-257. 

  34. 최윤경 (2009). 외상 관련 DRM 목록의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8, 929-942. 

  35. 한중광 (1999). 항공기 재난보도에 관한 연구.?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허연주, 이민규 (2017). 사회적 재난으로 인한?간접외상 척도의 개발과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3(3),?381-407. 

  37.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Diagnostic?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5th?edition(DSM-5). Washington, DC: Author. 

  38. Amir, N., McNally, R. J., & Wiegartz, P. S.?(1996). Implicit memory bias for threat in?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Cognitive Therapy?and Research, 20(6), 625-635. 

  39. Arendt, F. (2015). Toward a dose-response account?of media priming. Communication Research,?42(8), 1089-1115. 

  40. Bar-Anan, Y., Liberman, N., & Trope, Y. (2006).?The association between psychological distance?and construal level: evidence from an implicit?association test. Journal of Experimental?Psychology: General, 135(4), 609-622. 

  41. Ben-Zur, H., Gil, S., & Shamshins, Y. (2012).?The relationship between exposure to terror?through the media, coping strategies and?resources, and distress and secondary?traumatiz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Stress?Management, 19(2), 132-150. 

  42. Blanchard, E. B., Kuhn, E., Rowell, D. L.,?Hickling, E. J., Wittrock, D., Rogers, R. L.,?... & Steckler, D. C. (2004). Studies of the?vicarious traumatization of college students?by the September 11th attacks: Effects of?proximity, exposure and connectedness.?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42(2), 191-205. 

  43. Brown, R., & Kulik, J. (1997). Flashbulb?memories. Cognition, 5, 73-99. 

  44. Cho, J., Boyle, M. P., Keum, H., Shevy, M. D.,?McLeod, D. M., Shah, D. V., & Pan, Z.?(2003). Media, terrorism, and emotionality:?Emotional differences in media content and?public reactions to the September 11th?terrorist attacks. Journal of Broadcasting and?Electronic Media, 47(3), 309-327. 

  45. Chrisman, A. K., & Dougherty, J. G. (2014).?Mass trauma: Disasters, terrorism, and war.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ic Clinics of North?America, 23(2), 257-279. 

  46. Christianson, S. A. (1992). Emotional stress and?eyewitness memory: A critical review.?Psychological Bulletin, 112, 284-309. 

  47. Collimore, K. C., McCabe, R. E., Carleton, R. N.,?& Asmundson, G. J. (2008). Media exposure?and dimensions of anxiety sensitivity:?Differential associations with PTSD symptom?clusters. Journal of Anxiety Disorders, 22(6),?1021-1028. 

  48. Ehring, T., & Ehlers, A. (2011). Enhanced priming?for trauma-related words predicts posttraumatic?stress disorder.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120(1), 234-239. 

  49. Foa, E. B., Steketee, G., & Rothbaum, B. O.?(1989). Behavioral/cognitive conceptualizations?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Behavior?Therapy, 20(2), 155-176. 

  50. Freyd, J. J. (2002). In the wake of terrorist attack,?hatred may mask fear. Analyses of Social Issues?and Public Policy, 2(1), 5-8. 

  51. Garfin, D. R., Holman, E. A., & Silver, R. C.?(2015). Cumulative exposure to prior collective?trauma and acute stress responses to the?Boston Marathon bombings. Psychological?Science, 26(6), 675-683. 

  52. Graf, P., Mandler, G., & Haden, P. E. (1982).?Simulating amnesic symptoms in normal?subjects. Science, 218(4578), 1243-1244. 

  53. Horowitz, M., Wilner, N., & Alvarez, W. (1979).?Impact of Event Scale: a measure of subjective?stress. Psychosomatic Medicine, 41(3), 209-218. 

  54. Houston, J. B. (2009). Media coverage of?terrorism: A meta-analytic assessment of media use and posttraumatic stress. Journalism and?Mass Communication Quarterly, 86(4), 844-861. 

  55. Iyengar, S., & Kinder, D. R. (1987). News that?matters: Agenda-setting and priming in a television?age. Chicago, Illinois: University of Chicago?Press. 

  56. Katz, C. L., Pellegrino, L., Pandya, A., Ng, A., &?DeLisi, L. E. (2002). Research on psychiatric?outcomes and interventions subsequent to?disasters: a review of the literature. Psychiatry?Research, 110(3), 201-217. 

  57. Kessler, Y., & Moscovitch, M. (2013). Strategic?processing in long-term repetition priming in?the lexical decision task. Memory, 21(3),?366-376. 

  58. Kira, I. A., Templin, T., Lewandowski, L.,?Ramaswamy, V., Ozkan, B., & Mohanesh, J.?(2008). The physical and mental health effects?of Iraq war media exposure on Iraqi refugees.?Journal of Muslim Mental Health, 3(2), 193-215. 

  59. Lee, M. R., & Blanchard, T. C. (2012).?Community attachment and negative affective?states in the context of the BP Deepwater?Horizon disaster.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56(1), 24-47. 

  60. Loizou, G., Karageorghis, C. I., & Bishop, D. T.?(2014). Interactive effects of video, priming,?and music on emotions and the needs?underlying intrinsic motivation. Psychology of?Sport and Exercise, 15(6), 611-619. 

  61. Maldonado, J. R., & Spiegel, D. (2002). Trauma,?Dissociation, and Hypnotizability. In J. D.?Bremner & C. R. Marmar (Eds.), Trauma,?memory, and dissociation (pp. 57-106).?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Press. 

  62. Nan, X., & Heo, K. (2007). Consumer responses?to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initiatives: Examining the role of brand-cause?fit in cause-related marketing. Journal of?Advertising, 36(2), 63-74. 

  63. Naturale, A. (2015). How Do We Understand?Disaster-related Vicarious Trauma, Seconday?Traumatic Stress, and Compassion Fatigue? In?G. Quitangon & M. R. Evces (Eds.), Vicarious?trauma and disaster mental health: Understanding?risks and promoting resilience (pp. 73-89). New?York, New York: Routledge. 

  64. Newhagen, J. E. (1998). TV news images that?induce anger, fear, and disgust: Effects on approach-avoidance and memory. Journal of?Broadcasting and Electronic Media, 42(2),?265-276. 

  65. Piotrkowski, C. S., & Brannen, S. J. (2002).?Exposure, threat appraisal, and lost confidence as predictors of PTSD symptoms following?September 11, 2001. American Journal of?Orthopsychiatry, 72(4), 476. 

  66. Power, M. J. (2006). The structure of emotion: An?empirical comparison of six models. Cognition?and Emotion, 20(5), 694-713. 

  67. Prince, S. H. (1920). Catastrophe and social change:?Based upon a sociological study of the Halifax?disaster. New York, New York: Columbia?University. 

  68. Radloff, L. S. (1977).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Measurement, 1(3), 385-401. 

  69. Roskos-Ewoldsen, D., & Roskos-Ewoldsen, B., &?Carpentier, F. D. (2009). Media priming: An?updated synthesis. In J. Bryant & M. B.?Oliver (Eds.), Media effect: Advances in theory?and research (pp. 74-93). New York, New?York: Routledge. 

  70. Rubenstein, H., Garfield, L., & Millikan, J. A.?(1970). Homographic entries in the internal?lexicon. Journal of Verbal Learning and Verbal?Behavior, 9(5), 487-494. 

  71. Rubenstein, H., Lewis, S. S., & Rubenstein, M. A.?(1971). Evidence for phonemic recoding in?visual word recognition. Journal of Verbal?Learning and Verbal Behavior, 10(6), 645-657. 

  72. Saylor, C. F., Cowart, B. L., Lipovsky, J. A.,?Jackson, C., & Finch, A. J. (2003). Media?Exposure to September 11 Elementary School?Students' Experiences and Posttraumatic?Symptoms.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46(12),?1622-1642. 

  73. Schuster, M. A., Stein, B. D., Jaycox, L. H.,?Collins, R. L., Marshall, G. N., Elliott, M.?N., ... & Berry, S. H. (2001). A national?survey of stress reactions after the September?11, 2001, terrorist attacks. New England?Journal of Medicine, 345(20), 1507-1512. 

  74. Silver, R. C., Holman, E. A., Andersen, J. P.,?Poulin, M., McIntosh, D. N., & Gil-Rivas, V.?(2013). Mental-and physical-health effects of?acute exposure to media images of the?September 11, 2001, attacks and the Iraq war. Issue: Psychological Science, 24(9), 1623-1634. 

  75. Silver, R. C., Holman, E. A., McIntosh, D.?N., Poulin, M., & Gil-Rivas, V. (2002).?Nationwide longitudinal study of psychological?responses to September 11. The Journal of the?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88(10), 1235-1244. 

  76. Trope, Y., Liberman, N., & Wakslak, C. (2007).?Construal levels and psychological distance:?Effects on representation, prediction,?evaluation, and behavior. Journal of Consumer?Psychology: The Official Journal of The Society for?Consumer Psychology, 17(2), 83-95. 

  77. Tulving, E., & Schacter, D. L. (1990). Priming?and human memory systems. Science, 247?(4940), 301-306. 

  78. Tulving, E., Schacter, D. L., & Stark, H. A.?(1982). Priming effects in word-fragment?completion are independent of recognition?memory.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Learning, Memory, and Cognition, 8(4), 336-342. 

  79. Vitaglione, G. D. (2012). Driving Under the?Influence (of Mass Media): A Four-Year?Examination of NASCAR and West Virginia Aggressive-Driving Accidents and Injuries.?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42(2),?488-505. 

  80. Weiss, D. S., & Marmar, C. R. (1997). The?Impact of Event Scale-Revised. In J. P.?Wilson & T. M. Keane (Eds.), Assessing?psychological trauma and PTSD (pp.399-411).?New York, New York: Guilford Press. 

  81. Williams, J. M. G., Watts, F. N., MacLeod, C., &?Mathews, A. (1997). Cognitive psychology and?emotional disorders (2nd ed.). Chichester,?England: Wiley.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