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직장 내 괴롭힘 피해자가 인식한 직장 내 지지와 상담접근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층분석
Multi-level Analysis of the Effects of Perceived Workplace Support and Access to Workplace Counseling on Depression Among Victims of Workplace Bullying 원문보기

한국심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문화 및 사회문제, v.29 no.1, 2023년, pp.125 - 146  

이슬기 (이화여자대학교 심리학과)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직장 내 지지와 직장 내 상담접근성이 직장 내 괴롭힘 피해 근로자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수준 간 상호작용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분석을 위하여 2017년 국가인권위원회에서 실시한 조사에서 직장 내 괴롭힘 피해 경험이 있는 642명의 응답 자료를 사용하여 다층분석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피해자가 인식한 직장에 대한 안전감에 따라 집단을 분류한 결과, 직장에 대한 안전감을 낮게 인식할수록 피해자의 우울이 높았다. 둘째, 피해자가 직장 내 지지를 높게 인식할수록 피해자의 우울이 낮게 나타났다. 셋째, 직장 내 상담접근성이 높을수록 피해자의 우울이 낮게 나타났다. 넷째, 직장 내 지지와 우울의 관계에서 직장 내 상담접근성의 정적인 상호작용효과가 확인되었다. 즉 직장 내 상담접근성이 높을 때 직장 내 지지가 피해 근로자의 우울을 낮추는 영향이 크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직장 내 괴롭힘에 대한 직장동료나 상급자의 지지 및 회사의 대응에 관하여 안전하고 신뢰로운 조직문화를 형성하고, 근로자의 고충 처리를 담당하는 상담 및 도움창구의 운영이 직장 내 괴롭힘 피해 근로자의 대응을 돕고 우울을 완화하는 보호자원으로 기능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s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workplace support and access to workplace counseling on the depression level of employees who are workplace bullying victims and then find cross-level interaction effects between individual and group factors. A multi-level analysis was conducte...

주제어

표/그림 (10)

참고문헌 (46)

  1. 강상진 (1995). 다층통계모형의 방법론적 특성과 활용방법. 교육평가연구, 8(2), 63-94. 

  2. 고용노동부, 안전보건공단 (2020). 직장 내 괴롭힘으로 인한 건강장해 예방매뉴얼. https://www.kosha.or.kr/kosha/data/mediaBankMain.do?medSeq43042&codeSeq1100000&medForm&menuId-1100000&modedetail 

  3. 공선영, 최권호, 한인임, 신하나, 김유경 (2022).?콜센터 상담사의 감정노동과 직장 내 괴롭힘이 우울과 주관적 건강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72, 5-34. 

  4. 국가인권위원회 (2017). 직장내 괴롭힘 실태조사 조사자료. https://kossda.snu.ac.kr/handle/20.500.12236/23503 

  5. 국가인권위원회 (2017). 직장내 괴롭힘 실태조사. https://www.humanrights.go.kr/site/program/board/basicboard/view?currentpage15&menuid001003001004001&pagesize10&boardtypeid16&boardid7602096 

  6. 김수영 (2016). 구조방정식 모형의 기본과 확장: MPLUS 예제와 함께. 서울: 학지사.? 

  7. 연영란 (2015). 병원간호사의 직장 내 괴롭힘, 소진 및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16(12), 8343-8349. 

  8. 윤명숙, 이희정 (2013). 직장 내 집단따돌림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우울, 직무만족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정신건강과 사회복지, 41(3), 34-62. 

  9. 윤정민, 이승연 (2021). 20, 30 대의 직장 내 괴롭힘 피해경험과 전위된 공격성 간의 관계: 지각된 조직불공정성과 상태분노의 이중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7(1), 1-18. 

  10. 이경희 (2018). 직장 내 괴롭힘 피해로 인한 영향 분석. 노동리뷰, 59-74. 

  11. 이시우 (2022). 심리사회적 안전풍토 척도 타당화: 한국 간호사 표본을 대상으로. 한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이용재, 김수정, 김은정 (2021). 사회복지종사자 직장 내 괴롭힘 경험요인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사회복지학, 76, 171-191. 

  13. 이은미, 김덕희 (2018). 직장 내 괴롭힘이 간호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전문직 자아개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Journal?of Korean Academy of Nursing?Administration, 24(5), 375-386. 

  14. 전선이, 강문희 (2020). 병원간호사의 회복탄력성과 직장 내 괴롭힘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Korean Academy?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Nursing, 29(1), 43-50. 

  15. 직장갑질119 (2022). 직장인 인식 조사- 갑질 감수성 지표 및 직장 내 괴롭힘 금지법. https://gabjil119.co.kr/bbs/board.php?bo_tablelibrary&wr_id30 

  16. 최소영, 이승연 (2022). 직장 내 괴롭힘 주변인 행동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8(2), 107-131. 

  17. Aguinis, H., Gottfredson, R. K., & Culpepper, S.?A. (2013). Best-practice recommendations for?estimating cross-level interaction effects using?multilevel modeling. Journal of Management,?39(6), 1490-1528. 

  18. Allen, J. G. (2010). 트라우마의 치유(Coping with?trauma: Hope through understanding). 권정혜, 김정범, 조용래, 최혜경, 최윤경, 권호인 역. 서울: 학지사. 

  19. Blanco, A., Blanco, R., & Diaz, D. (2016). Social (dis) order and psychosocial trauma: Look?earlier, look outside, and look beyond the?persons. American Psychologist, 71(3), 187. 

  20. Bond, S. A., Tuckey, M. R., & Dollard, M. F.?(2010). Psychosocial safety climate, workplace?bullying, and symptoms of posttraumatic?stress. Organization Development Journal, 28(1),?37-56. 

  21. Branch, S., Ramsay, S., & Barker, M. (2013).?Workplace bullying, mobbing and general?harassment: A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Management Reviews, 15(3), 280-299. 

  22. Cobb, S. (1976). Social support as a moderator of?life stress. Psychosomatic Medicine, 38(5), 300-314. 

  23. Courtois, C. A. (2004). Complex trauma,?complex reactions: Assessment and treatment.?Psychotherapy: Theory, Research, Practice, Training,?41(4), 412-425. 

  24. Curran, P. J., West, S. G., & Finch, J. F. (1996).?The robustness of test statistics to?nonnormality and specification error in?confirmatory factor analysis. Psychological?Methods, 1(1), 16-29. 

  25. Dollard, M. F., & Bakker, A. B. (2010).?Psychosocial safety climate as a precursor to?conducive work environments, psychological?health problems, and employee engagement.?Journal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Psychology, 83(3), 579-599. 

  26. Escartin, J. (2016). Insights into workplace?bullying: psychosocial drivers and effective?interventions. Psychology Research and Behavior?Management, 9, 157-169. 

  27. Fox, S., & Stallworth, L. E. (2009). Building a framework for two internal organizational?approaches to resolving and preventing?workplace bullying: Alternative dispute?resolution and training. Consulting Psychology?Journal: Practice and Research, 61(3), 220-241. 

  28. Hansen, A. M., Hogh, A., Persson, R., Karlson,?B., Garde, A. H., & Orbaek, P. (2006).?Bullying at work, health outcomes, and?physiological stress response. Journal of?Psychosomatic Research, 60(1), 63-72. 

  29. Hedges, L. V., & Hedberg, E. C. (2007). Intraclass?correlation values for planning grouprandomized trials in education. Educational?Evaluation and Policy Analysis, 29(1), 60-87. 

  30. Hsieh, H. F., Wang, H. H., Shen, S. H., & Li, Y.?C. (2018). Predictors of depressive symptoms?among psychiatric nurses who suffered from?workplace violence. Journal of Advanced Nursing,?74(2), 425-432. 

  31. Idris, M. A., Dollard, M. F., & Yulita, Y. (2014).?Psychosocial safety climate, emotional demands,?burnout, and depression: a longitudinal?multilevel study in the Malaysian private?sector.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19(3), 291-302. 

  32. Kivimaki, M., Virtanen, M., Vartia, M., Elovainio,?M., Vahtera, J., & Keltikangas-Jarvinen, L.?(2003). Workplace bullying and the risk?of cardiovascular disease and depression.?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60(10),?779-783. 

  33. Kwan, S. S. M., Tuckey, M. R., & Dollard, M. F.?(2016). The role of the psychosocial safety?climate in coping with workplace bullying: A?grounded theory and sequential tree analysis.?European Journal of Work and Organizational?Psychology, 25(1), 133-148. 

  34. Leach, L. S., Poyser, C., & Butterworth, P. (2017).?Workplace bullying and the association with?suicidal ideation/thoughts and behaviour: a systematic review. Occupational and?Environmental Medicine, 74(1), 72-79. 

  35. Liefooghe, A. P., & Mac Davey, K. (2001).?Accounts of workplace bullying: The role of?the organization. European Journal of Work and?Organizational Psychology, 10(4), 375-392. 

  36. MacIntosh, J., Wuest, J., Gray, M. M., &?Cronkhite, M. (2010). Workplace bullying in?health care affects the meaning of work.?Qualitative Health Research, 20(8), 1128-1141. 

  37. Matthiesen, S. B., & Einarsen, S. (2007).?Perpetrators and targets of bullying at work:?Role stress and individual differences. Violence?and Victims, 22(6), 735-753. 

  38. Niedhammer, I., David, S., & Degioanni, S.?(2006). Association between workplace bullying?and depressive symptoms in the French?working population. Journal of Psychosomatic?Research, 61(2), 251-259. 

  39. Nielsen, M. B., & Einarsen, S. (2012). Outcomes?of exposure to workplace bullying: A?meta-analytic review. Work & Stress, 26(4),?309-332. 

  40. Nielsen, M. B., & Einarsen, S. V. (2018). What we know, what we do not know, and what we should and could have known about?workplace bullying: An overview of the?literature and agenda for future research.?Aggression and Violent Behavior, 42, 71-83. 

  41. Radloff, L. S. (1977). The CES-D scale: A?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Measurement, 1(3), 385-401. 

  42. Rossiter, L., & Sochos, A. (2018). Workplace?bullying and burnout: the moderating effects?of social support. Journal of Aggression,?Maltreatment & Trauma, 27(4), 386-408. 

  43. Rubin, D. C., Berntsen, D., & Bohni, M. K.?(2008). A memory-based model of?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evaluating basic?assumptions underlying the PTSD diagnosis.?Psychological Review, 115(4), 985-1011. 

  44. Sigursteinsdottir, H., & Karlsdottir, F. B.?(2022). Does social support matter in the workplace? Social support, job satisfaction,?bullying and harassment in the workplace?during COVID-19. International Journal of?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19(8), 4724. 

  45. Van Emmerik, I. H., Euwema, M. C., & Bakker,?A. B. (2007). Threats of workplace violence?and the buffering effect of social support.?Group & Organization Management, 32(2),?152-175. 

  46. Yulita, Y., Idris, M. A., & Dollard, M. F. (2022).?Effect of psychosocial safety climate on psychological distress via job resources, work?engagement and workaholism: A multilevel?longitudinal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Occupational Safety and Ergonomics, 28(2),?691-708.?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