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텍스트 마이닝기법을 활용한 '자해' 및 '자살' 관련 트위터 게시물 분석
Analysis of Twitter Post with 'Self-Iinjury' and 'Ssuicide' Using Text Mining 원문보기

한국심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문화 및 사회문제, v.29 no.1, 2023년, pp.147 - 170  

이유리 (전주대학교 카운슬링센터) ,  권호인 (전주대학교 상담심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트위터에서 나타나는 '자해' 및 '자살' 관련 게시물의 주요 등장 단어와 핵심 토픽을 탐색하여 그 의미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2019년 10월 29일부터 2020년 11월 30일까지 관련 해시태그를 포함한 '자해' 및 '자살' 관련 해시태그를 포함한 트위터 게시물이었다. 수집된 게시물을 바탕으로 텍스트 마이닝을 실시한 결과, '자해' 관련 6개, 자살 관련 5개로, 총 11개의 핵심토픽이 도출되었다. 토픽에 담긴 주요 메시지를 살펴보면 온라인 상에서는 오프라인에서 표현하기 어려운 자해와 자살 경험을 솔직하게 표현하고 있으며, 도움요청의 경로로 SNS를 활용하고 있었다. 또한 '자해' 및 '자살' 관련 게시물에서 공통 특징과 차별적 특징이 있었다. '자해' 관련 토픽에는 자해의 정서조절 및 대인관계적 기능이 주로 드러난 반면, '자살' 관련 메시지에는 자살 예방 및 사회문제 등에 대한 메시지가 보다 분명하게 드러났다. 이러한 결과는 자해 및 자살사고를 경험한 사람들과 국민들의 자해 및 자살 관련 이슈에 대한 의견을 이해할 수 있고, 효과적인 자해 및 자살예방 및 개입 방안을 모색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plored keywords and key topics by collecting posts related to 'self-Iinjury' and 'suicide' through Twitter. The study subjects were selected as posts containing related hashtags related to self-injury and suicide from October 29, 2019 to November 30, 2020. Text mining based on collected...

주제어

표/그림 (11)

참고문헌 (88)

  1. 곽수정, 김현희 (2019). 텍스트 마이닝과 토픽 모델링을 기반으로 한 트위터에 나타난 사회적 이슈의 키워드 및 주제 분석.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8(1), 13-18. 

  2. 곽수정, 김현희 (2018). 트위터에 나타난 미투 운동의 키워드 연관성 및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5(1), 311-314. 

  3. 권경인, 김지영 (2019). 청소년 비자살적 자해 위기상담 경험에 관한 현상학 연구: 상담자 험을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20(3), 369-393. 

  4. 권혁진, 권석만 (2017). 한국판 자해기능 평가지. (The Functional Assessment of Self-Mutilation) 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심리연구와 실제, 3(1), 187-205. 

  5. 김건아, 김철기 (2017). 빅데이터를 이용한 제품디자인의 감성반응 분석.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27, 31-48. 

  6. 김경애, 구진희 (2017). 텍스트 마이닝과 감성 분석을 통한 연애관의 변화 연구: 과 를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15(2), 285-294. 

  7. 김수진, 김봉환 (2015). 청소년 내담자의 반복적 자해행동의 의미탐색: '고통으로 고통을 견디기'.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 치료, 27(2), 231-250. 

  8. 김수진, 김봉환 (2017). 존재의 여정에서 경험한 비자살적 자해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상담학연구, 18(4), 125-148. 

  9. 김수진 (2017). 비자살적 자해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개관. 청소년학 연구, 24(9). 31-53. 

  10. 김준현 (2015).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결과 해석에 관한 소고. 인문사회과학연구, 16(4), 247-280. 

  11. 김차영, 박혜경 (2021). n번방 사건에 관한 뉴스 노출과 세상에 대한 신념의 관계: 간접 외상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7(3), 237-258. 

  12. 남민지, 이은지, 신주현 (2015). 인스타그램 해시태그를 이용한 사용자 감정 분류 방법. 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18(11), 1391-1399. 

  13. 박세훈, 유금란 (2021).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자해 및 자살 관련 인스타그램 게시물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33(3), 1429-1455. 

  14. 박세훈 (2020).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자해 및 자살 관련 인스타그램 게시물 분석. 가톨릭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박자현, 송 민 (2013).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국내 문헌정보학 연구동향 분석. 한국정보관리학회 정보관리학회지, 30(1), 7-31. 

  16. 손자영 (2020). 여자 청소년들의 비자살적 자해에 대한 의미. 청소년학연구, 27(1), 55-83 

  17. 송태민 (2012). 빅데이터를 활용한 자살요인 다변량 분석: Google 검색트렌드 적용.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복지 Issue & Focus 168. 1-8. 

  18. 송태민 (2013). 우리나라 보건복지 빅데이터 동향 및 활용 방안. 과학기술정책, 23(3), 56-73. 

  19. 신성미, 권경인 (2019). '자해' 관련 인스타그램 게시물에 대한 텍스트 네트워크분석, 상담학연구, 20(6), 273-295 

  20. 안영신, 송현주 (2017). 청소년의 비자살적 자해행동에 관한 연구. 정서.행동장애연구, 33(4), 257-281. 

  21. 예덕해, 홍현주, 육기환, 최혜인, 이지은, 전진용, ... 송정은 (2012). 청소년 우울증에서 비자살적 자해에 영향을 주는 심리사회적 요인. Mood & Emotion, 10(2), 85-90. 

  22. 이경열, 민이슬 (2020). 자살예방법의 개정과 개인정보의 긴급사용 등 빅데이터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 국가 자살예방사업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빅데이터의 활용 및 분석에 관한 試論. 형사법의 신동향, (66), 81-117. 

  23. 이동훈, 양미진, 김수리 (2010). 청소년 자해의 이해 및 특성에 대한 고찰. 청소년상담연구, 18(1), 1-24. 

  24. 이상훈, 최 정, 김종우 (2016). 영역별 맞춤형 감성사전 구축을 통한 영화리뷰 감성분석. 지능정보연구, 22(2), 97-113. 

  25. 이소연, 김영주 (2020). 디지털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주거 연구 키워드 동향 분석. 한국주거학회논문집, 31(3), 49-60. 

  26. 이수상 (2014). 언어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활용한 학술논문의 내용분석. 정보관리학회지, 31(4), 49-68. 

  27. 이오준, 박승보, 정다울, 유은순 (2014). 소셜빅데이터를 이용한 영화 흥행요인 분석. 한국콘텐츠학회지, 14(10), 527-538. 

  28. 이우경 (2016). 한국판 비집착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한국컨텐츠학회논문지, 16(12), 644-654. 

  29. 이원태, 차미영, 양해륜 (2011). 소셜미디어 유력자의 네트워크 특성. 언론정보연구, 48(2), 44-79. 

  30. 이재신, 연보영 (2008). 미니홈피에서 나타나는 대학생들의 자기노출 및 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52(3), 98-121. 

  31. 이종임, 홍주현, 설진아 (2019). 트위터에 나타난 미투(#Me Too)운동과 젠더 갈등이슈 분석: 네트워크 분석과 의미분석을 중심으로. 미디어, 젠더 & 문화, 34(2), 99-146 

  32. 이지선, 임소진, 최유리, 김은정, 이소영, 박미정 (2018).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중학교 가정과 교육과정 분석. 한국가정과 교육학회지, 30(3), 111-127. 

  33. 이태헌, 정하영, 김나랑 (2018). 지역재생정책에 대한 부산진구 정당정책토론회 공적담화 분석. 정책분석평가학회보, 28(2), 93-112. 

  34. 이택호, 김선영, 한윤선 (2022). 랜덤포레스트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한 전통적 비행이론 기반 청소년 온.오프라인 비행 예측요인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8(4), 661-690. 

  35. 보건복지부(2018. 8. 23). "자살유해정보 차단, 생명존중으로의 또 한걸음". 보도자료. 

  36. 정승혜 (2015). 광고 연구의 질적 방법론.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37. 조화순, 김정연 (2012). 소셜미디어의 매체 특성과 참여의 커뮤니케이션.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29(2), 95-130 

  38. 최주영 (2014). 트위터에서 숙의적 토론이 의견의 확산과 상호작용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언론홍보영상학과 석사학위논문. 

  39. 추은정, 이영호 (2018). 자해 척도(ISAS)의 한국판 타당화 연구. 청소년학연구, 25(11), 95-124. 

  40. 하상훈 (2000). 청소년의 자살행동과 심리사회적 변인과의 관계. 인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1. 한지연, 김홍범 (2017). 빅데이터 기반의 사회 연결망 분석을 이용한 관광지 이미지 인식에 관한 연구. 관광학연구, 41(8), 91-119. 

  42. Abreu, R. L., & Kenny, M. C. (2018). Cyberbullying and LGBTQ youth: A systematic lit erature review and recommendations for prevention and intervention. Journal of Child and Adolescent Trauma, 11(1), 81-97. 

  43. Allen, J. G. (2001). Traumatic relationships and serious mental disorders. Chichester. New York: Wiley. 

  44.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5th ed.).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45. Bennett, Segerberg. (2011). Social Media and the Organization of Collective Action:Using Twitter to Explore the Ecologies of Two Climate Change Protests. The Communication Review, 14(3), 197-215. 

  46. Bronisch, T. (192). Does an atempted suicide actualy have a cathartic efect? Acta Psychiatrica Scan dinavica, 86(3), 28-232. 

  47. Chen, J., Hsieh, G., Mahmud, J. U., & Nichols, J. (2014). Understanding individuals' personal values from social media word use. In Proceedings of the 17th ACM conference on Computer supported cooperative work & social computing, 405-414. 

  48. Cornet, V. P. (2019). Analysis of Korean Self-Harm Posts on Instagram. 한국 HCI 학회 학술대회, 583-586. 

  49. Craig, S. L., McInroy, L., McCready, L., & Alaggia, R. (2015). Media: A catalyst for resi lience in lesbian, gay, bisexual, transgender, and queer youth. Journal of LGBT Youth. 12(3), 254-275. 

  50. Duggan, J. M., Heath, N. L., Lewis, S. P., & Baxter, A. L. (2012). An examination of the scope and nature of non-suicidal self-injury online activities: Implications for school mental health professionals. School Mental Health, 4(1), 56-67. 

  51. Englander, E. (2012). Digital self-harm: Frequency, type, motivevation, and outcomes. MARC Rearch Reports. Bridgewater State University. 

  52. Favazza, A. R., & Conterio, K. (1989). Female habitual self mutilators. Acta Psychiatrica Scandinavica, 79(3), 283-289. 

  53. Gould, M. S., Munfakh, J. L. H., Lubell, K., Kleinman, M., & Parker, S. (2002). Seeking help from the internet during adolescence.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41(10), 1182-1189 

  54. Gratz, K. L. (2003). Risk factors for and functions of deliberate self harm: An empirical and conceptual review. Clinical Psychology: Science and Practice, 10(2), 192-205. 

  55. Hany Mahgoub, Dietmar Rosner, Nabil Ismail and Fawzy Torkey. (2007). A Text Mining Technique Using Association Rules Extraction. Journal of Computational intellogence, 4(1), 21-28. 

  56. Hasking P., Momeni R., Swannell S., & Chia S. (2008). The Nature and Extent of NonSuicidal Self-Injury in a Non-Clinical Sample of Young Adults. Archives of suicide research : official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Academy for Suicide Research. 12(3), 208-18. 

  57. Hawton K, Zahl D, Weatherall R. (2003). Suicide following deliberate self-harm: long-term follow-up of patients who presented to a general hospital.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82(6), 537-542. 

  58. Hilton CE, Lane C, Johnston LH. (2016). Has motivational interviewing fallen into its own premature focus trap?. International Journal for the Advancement of Counselling, 38(2), 145-158. 

  59. Hotho, A., Nurnberger, A., & Paass, G. (2005, May). A brief survey of text mining. In Ldv Forum, 20(1), 19-62. 

  60. Joiner, T. E. (2005). Why people die by suicide. Cambridge : Harvard University Press. 

  61. Justin, W. P., & Samer, H. (2017). Digital Self-Harm Among Adolescents.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61(6). 761-766. 

  62. Karl, A., Wisnowski, J., & Rushing, W. H. (2015). A practical guide to text mining with topic extraction. Wiley Interdisciplinary Reviews: Computational Statistics, 7(5), 326-340. 

  63. Klonsky, E. D. (2011). Non-suicidal self-injury in United States adults: prevalence, sociodemographics, topography and functions. Psychological Medicine, 41(9), 1981-1986. 

  64. Klonsky, E. D., & May, A. M. (2015). The Three-Step Theory (3ST): A New Theory of Suicide Rooted in the "Ideation-to-Action" Framework.. International Journal of Cognitive Therapy, 8,(2) 114-129. 

  65. Lenhart, A., Madden, M., Macgill, A. R., & Smith, A. W. (2007). Teens and social media: The use of social media gains a greater foothold in teen life as they embrace the conversational nature of interactive online media. Washington, DC: Pew Internet & American Life Project. 

  66. Lewis, S. P., & Baker, T. G. (2011). The possible risks ofself-injury web sites: a content analysis. Archives of suicide research, 15(4), 390-396. 

  67. Lewis, S. P., Heath, N. L., Michal, N. J., & Duggan, J. M. (2012). Non-suicidal self-injury, youth, and the Intern et: What mental health professionals need to know.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and Mental Health, 6(1), 13. 

  68. Lewis, S. P., Heath, N. L., St Denis, J. M., & Noble, R. (2011). The scope of nonsuicidal self-injury on YouTube. Pediatrics-English Edition, 127(3), e552-e557. 

  69. Lewis, S. P., Rosenrot, S. A., & Messner, M. A. (2012). Seeking validation in unlikely places: the nature of online questions about non-suicidal self-injury. Archives of Suicide Research, 16(3), 263-272. 

  70. Link, B. G., Cullen, F. T., Struening, E., Shrout, P. E., & Dohrenwend, B. P.?(1989). A Modified Labeling Theory Approach to Mental Disorders: An Empirical Assessment.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Washington, 54(3), 400-423. 

  71. Lucas, C., Nielsen, R. A., Roberts, M. E., Stewart, B. M., Storer, A., & Tingley, D. (2015). Computer-assisted text analysis for comparative politics. Political Analysis, 23(2), 254-277. 

  72. Mayring, P. (2000).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Forum. Qualitative Social Research, 1(2). 159-176. 

  73. Mc Kenna, K.Y. A., Green, A.S., and Gleason, M.E.J.(2002). Relationship Formation on the Internet: What's the Big Attraction?. Journal of Social Sciences, 2002(1), 9-31. 

  74. McKenna, K. Y., Green, A. S., & Gleason, M. E. (2002). Relationship formation on the Internet: What's the big attraction? Journal of Social Issues, 58(1), 9-31. 

  75. Moon, Y. (1999). When the computer is the "salesperson": Consumer responses to computer 'personalities' in interactive marketing situations. Division of Research, Harvard Business School, 99(41). 

  76. Nock, M. K. Self-Injury. (2010). Annual Review of Clinical Psychology, 6(1), 339-363. 

  77. Nock, M. K., & Favazza, A. R. (2009). Nonsuicidal self-injury: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In M. K. Nock (Ed.), Understanding nonsuicidal self-injury: Origins, assessment, and treatment. Washington DC, US: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9-18. 

  78. Nock, M. K., & Prinstein, M. J. (2004). A functional approach to the assessment of self-mutilative behavior.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72(5), 885-890. 

  79. Owens, D., Kelley, R., Munyombwe, T., Bergen, H., Hawton, K., Cooper, J., ... & Kapur, N. (2015). Switching methods of self-harm at repeat episodes: Findings from a multicentre cohort study.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180, 44-51. 

  80. Rebecca C. Brown, Tin Fischer, David A. Goldwich, Paul L. Plener, Paul L. Plener. (2020). "I just finally wanted to belong somewhere"-Qualitative Analysis of Experiences With Posting Pictures of Self-Injury on Instagram. Jounal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11(274), 1-8. 

  81. Roberts, S. L. (1976). Behavioral concepts and the critically ill patient. New York: Prentice-Hall. 

  82. Robinson, J., Hetrick, S., Cox, G., Bendall, S., Yuen, H. P., Yung, A., & Pirkis, J. (2016). Can an internet-based intervention reduce suicidal ideation, depression and hope lessness among secondary school students: Results from a pilot study. Early Intervention in Psychiatry, 10(1), 28-35. 

  83. Rodham, Gavin, & Miles. (2007). I Hear, I Listen and I Care: A QualitativeInvestigation into the Function of a Self-HarmMessage Board. Journal of Suicide and Life-Threatening Behavior, 37(4), 422-430. 

  84. Sutton, J. (2007). Healing the Hurt Within 3rd Edition: Understand self-injury and self-harm, and heal the emotional wounds. London: Hachette UK. 

  85. Whitlock, J., Eckenrode, J., & Silverman, D. (2006). Self-injurious behaviors in a college population. Pediatrics, 117(6), 1939-1948. 

  86. Whitlock, Janis L.,Powers, Jane L.,Eckenrode, John. (2006). The virtual cutting edge: The Internet and adolescent self-injury. Jounal od Developmental Psychology, 42(3), 407-417. 

  87. Wilkinson, Paul; Goodyer, Ian. (2011). European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Jounal of European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New York, 20(2), 103-108. 

  88. Zila, L. & Kiselica, M. (2001). Understanding and counseling self-mutilation in female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Journal of Counseling & Development, 79(1), 46-5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