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탄소저감설계 지원을 위한 수목 탄소계산기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of Tree Carbon Calculator to Support Landscape Design for the Carbon Reduction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51 no.1, 2023년, pp.42 - 55  

하지아 ((주)본시구도 기업부설) ,  박재민 (청주대학교 조경도시계획)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지구온난화로 인한 세계적 기후 위기를 맞아 탄소성능 정량화에 기반한 정책들이 빠르게 도입되면서, 신규 조성되는 도시녹지 계획안의 탄소성능을 예측할 수 있는 방법론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조경분야에서 탄소저감설계를 위해 활용할 수 있는 수목 탄소계산기를 개발하고, 조경설계 실무에서의 효용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설계 현장에서의 운용성 확보를 위해 범용성 높은 MS Excel을 포맷으로 선정하고, 식재설계의 업무적 특성을 반영할 수 있도록 대표 수종 93종을 대상으로 수종별, 규격별 탄소흡수량과 저장량을 추출하였다. 특히 실무에서 비용적 한계를 반영할 수 있도록 수목 단가를 포함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수목 탄소계산기의 성능 검증을 위한 식재 실험설계는 조경설계 전문가 4인을 대상으로 중부지방 소공원에 대한 설계 시뮬레이션을 시행하였고, 전후로 반구조적 인터뷰를 진행하여 그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수목 탄소계산기를 사용한 설계안의 탄소흡수량과 탄소저장량이 각각 약 17-82%, 약 14-85% 높게 나타났다. 탄소성능 효율이 높아진 이유는 탄소성능 우수종으로의 교체와 더불어, 예산 범위 내에서 적극적인 추가 식재로 인한 것임을 확인하였다. 설계가들은 사전 인터뷰에서 수목 탄소계산기에 대한 불신과 새로운 프로그램에 대한 부담감을 가졌으나, 사용 후 유용성 및 편의성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인식의 변화를 보여주었다. 추후 조경분야 탄소저감설계의 본격적인 도입을 위해서는 수목뿐 아니라 조경성능 전반에 대한 탄소계산기로 발전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조경설계 분야에서 본격적으로 정량적 데이터에 입각한 탄소저감설계를 도입하는 데 있어 유용한 방향성을 제시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methodology to predict the carbon performance of newly created urban greening plans is required as policies based on quantifying carbon performance are rapidly being introduced in the face of the climate crisis caused by global warming. This study developed a tree carbon calculator that can be use...

주제어

참고문헌 (36)

  1. 국립산림과학원(2012) 탄소지킴이 도시숲-기후변화의 시대, 탄소흡수원 도시숲 이야기.? 

  2. 국립산림과학원(2016) Post-2020 대응 산림탄소계정 체계 고도화 보고서.? 

  3. 국토교통부(2019) 수목식재(KDS 34 40 10). 조경 설계기준.? 

  4. 박은진(2009) 도시 수목의 이산화탄소 흡수량 산정 및 흡수효과 증진방안. 경기개발연구원 연구보고서.? 

  5. 산림청(2020) 신기후체제 대응을 위한 생활권 도시림의 탄소흡수원과 다원편익 증진을 위한 조성?관리?평가모델 및 기술개발 보고서.? 

  6. 손영모, 김래현, 이경학, 표정기, 김소원, 황정순, 이선정, 박현(2014) 한국 주요 수종별 탄소배출계수 및 바이오매스 상대생장식. 국립산림과학원 연구보고서.? 

  7.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2022) 식생복구 사업의 방법론.? 

  8. 조현길, 안태원(2000) 자연생태계 수목의 생장에 따른 탄소저장 및 흡수량 지표.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4(3): 175-182.? 

  9. 조현길, 안태원(2001) 도시 침엽수에 의한 연간 CO2 흡수 및 대기정화-소나무와 잣나무를 대상으로-. 한국생태학회지 15(2): 118-124.? 

  10. 조현길, 김진영, 박혜미(2013) 도시 상록 조경수의 탄소저장 및 흡수-소나무와 잣나무를 대상으로-. 한국환경행태학회지 27(5): 571-578.? 

  11. 조현길, 김진영, 박혜미(2014) 도시 조경수의 탄소저감 효과와 계량모델 개발-5개 향토수종을 대상으로-. 한국조경학회지 42(5): 13-21.? 

  12. 조현길, 박혜미, 김진영(2020) 공공용지 녹지의 탄소저감과 증진방안. 한국조경학회지 48(4): 1-7.? 

  13. 이관규(2003) 아파트단지의 녹지 지속가능성 지표 개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탄소중립 녹색성장위원회(2021) 2030 국가 온실가스(NDC) 감축목표 상향안.? 

  15. 황상일, 박선환(2011) 개발사업 환경영향평가시 식생의 탄소저장 및 흡수량 산정법에 대한 비교. 환경영향평가 20(4): 477-487.? 

  16. 황인창, 백종락(2021) 시장메커니즘에 기반한 건물 온실가스 총량관리제 도입. 서울연구원 정책보고서. 

  17. Aguaron, E. and E. G. McPherson(2012) Comparison of Methods for Estimating Carbon Dioxide Storage by Sacramento'S Urban Forest. Carbon Sequestration in Urban Ecosystems. Springer. pp. 43-71.? 

  18. Clinate Positive Design(2020) Landscape Carbon Calculator, Pathfinder-Methodology, Data Sources and Metrics Summary.? 

  19. McPherson, E. G.(1998) Atmospheric carbon dioxide reduction by Sacramento's urban forest. Journal of Arboriculture 24(4): 215-223.? 

  20. Nowak, D. J.(1993) Atmospheric carbon reduction by urban trees.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37(3): 207-217.? 

  21. Nowak, D. J. and D. E. Crane(2002) Carbon storage and sequestration by urban trees in the USA. Environmental Pollution 116(3): 381-389.? 

  22. Nowak, D. J.(2005) UFORE Methods. Report to USDA Forest Service.? 

  23. Nowak, D. J.(2021) Understanding i-Tree: 2021 Summary of Programs and Methods. Report to USDA Forest Service.? 

  24. Sasaki Associates(2021) Carbon Conscience White Paper.? 

  25. Weissert, L. F., J. A. Salmond and L. Schwendenmann(2014) A review of the current progress in quantifying the potential of urban forests to mitigate urban CO2 emissions. Urban Climate 8: 100-125.? 

  26. Yang, B.(2019) Landscape Performance-Ian Mcharg's Ecological Palnning in the Woodland, Texas. New York, NY: Routledge.? 

  27. http://app.climatepositivedesign.com? 

  28. https://carbon-conscience.web.app? 

  29. https://climatepositivedesign.com? 

  30. https://vimeo.com/646929754? 

  31. http://www.fs.usda.gov/ccrc/tool/cufr-tree-carbon-calculator-ctcc? 

  32. http://www.fs.usda.gov/ccrc/tool/ecosmart-landscapes? 

  33. http://www.itreetools.org? 

  34. https://www.landscapeperformance.org/benefits-toolkit? 

  35. http://www.molit.go.kr/USR/NEWS/m_71/dtl.jsp?id95086382? 

  36. http://www.treebenefits.com/calculator?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