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후 근린생활권 정원 활동이 지역 주민의 삶의 만족과 커뮤니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경기도 안산시 고잔1동 연립주택단지를 대상으로 -
A Study on How Urban Gardening Affect Citizens' Quality of Life and Social Capital in Deteriorated Neighborhood - Focus on the Residential Complex in Gojan 1-Dong, An San City -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51 no.1, 2023년, pp.56 - 71  

박지은 (서울대학교 협동과정 조경학) ,  성종상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  손용훈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삶의 질 향상과 환경에 관한 관심 고조로 도시 녹지 공간에 대한 시민들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작은 규모로 토지 소유 논란이 적으면서 조성이 수월하고, 주거지에 인접하여 주민 일상 속 환경개선의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되는 정원에 주목할 만하다. 더욱이 최근 국가 정책사업인 도시재생사업의 일환으로 마을 정원을 낙후 주거 지역에 조성하는 사례가 증가하는 등 도심 정원의 의미와 역할이 확대되고 있다. 따라서 정원이 지역사회에 가져오는 긍정적 효과에 관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그러나 선행연구들은 대부분 공원이나 숲과 같이 일정 규모 이상의 녹지에 한정하여 그 효과를 살피고 있고, 정원의 효과를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연구는 미진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정원과 정원 활동이 지역사회에 가져오는 긍정적 효과를 정량적으로 살피고자 한다. 특히 지역 주민들의 삶의 만족과 주민 간 교류 등 사회적 측면에 주목하여 도심 속 정원의 의의를 살폈다. 연구 대상지는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1동의 노후 저층 연립주택단지 밀집 지역이다. 이곳은 주민들이 자발적으로 근린생활권 내 자투리 공간을 활용하여 정원을 가꿔온 지역이다. 또한 2017년 경기 정원박람회 때 단지 내·외부 공간에 정원이 조성되고 현재까지 존치된 지역이다. 따라서 다양한 유형의 정원이 자리하고 있어 주민들의 정원 활동 및 그 효과를 연구하기에 적합한 사례 지역이었다. 연구 과정은 현장답사를 통해 해당 지역의 정원 및 정원 활동 현황을 살폈고, 이후 정원 활동 여부와 양상이 주민들의 행복감 및 사회자본에 영향을 미치는지 설문하였다. 설문 내용은 t-test 및 ANOVA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정원 활동하는 주민이 정원 활동을 하지 않는 주민보다 '이웃 교류' 및 '주민참여'가 더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주민이 직접 만든 정원에서 정원 활동을 하는 경우가 정부 사업으로 조성된 정원에서 정원 활동을 하는 경우보다 '삶의 만족도'가 더 높았다. 더불어 단지 내에서 정원 활동하는 경우가 단지 외부 정원을 이용하는 것보다 '삶의 만족' 지수가 높게 '부정적 감정'은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정원이 노후 주거지역의 주민 간 교류 및 커뮤니티 참여를 촉진하고, 삶의 만족도를 높여주는 등 긍정적 역할을 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향후 지역재생 및 공간복지 차원으로 노후 주거지역에 정원을 조성할 때 주민이 정원 조성 및 운영 과정에 참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정원의 위치 선정에도 주의를 기울여야 함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itizens' needs for urban green spaces are on the rise due to improved quality of life and increased interest in environments. The garden is noteworthy because it is small in size, making it less controversial to create in the city, and it is adjacent to the residential area, improving citizens' dai...

주제어

참고문헌 (41)

  1. Ambrey, C. L. and C. M. Fleming(2011) Valuing scenic amenity using life satisfaction data. Ecological Economics 72: 106-115.? 

  2. Choi, H. J., J. A. Lee, H. J. Sohn, D. G. Cho and Y. K. Song(2017) Feasibility of green network in a highly-dense urbanized area by introducing urban gardens.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31(2): 252-265.? 

  3. Collier, A. F., H. A. Wayment and M. Wolf(2020) Do-it-yourself activities and subjective well-being. International Journal of Applied Positive Psychology 5(3): 231-248.? 

  4. Diener, E.(1984)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Bulletin 95(3): 542-575.? 

  5. Diener, E., E. M. Suh, R. E. Lucas and H. L. Smith(1999) Subjective well-being: Three decades of progress. Psychological Bulletin 125(2): 276.? 

  6. Ernwein, M.(2014) Framing urban gardening and agriculture: On space, scale and the public. Geoforum, 56: 77-86.? 

  7. Glover, T. D., D. C. Parry and K. J. Shinew(2005) Building relationships, accessing resources: Mobilizing social capital in community garden contexts. Journal of Leisure Research 37(4): 450-474.? 

  8. Harrison, R. P.(2008) Gardens: An Essay on the Human Conditio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9. Hong, S. K., J. J. Kim and J. M. Kim(2018) Effects of the number of visits and length of stay in urban forests on subjective well-being - A case study of Seoul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6(3): 92-102.? 

  10. Jin, E. A. and W. J. Lee(2018) The effect of resident participation in urban regeneration on social capital - Focused on the 'Amichojang' area in Busan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29(5): 77-88.? 

  11. Jung, H. S. and S. A. Kim(2015) Quality of life in Korea on OECD better life index.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015(9): 75-88.? 

  12. Kim, S. E., J. S. Oh and S. Y. Kim(2016) Research on residents' preference for outdoor spaces to vitalize community gardens within joint housing complexes - With the focus on four joint housing complexes in Seoul -. Journal of the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Urban Design 17(3): 57-70.? 

  13. Kim, T. J., Y. S. Han, J. I. B and D. H. Lee(2010) A study on the effect of social expenditure on economic growth (Year 3): Social capital effect analysis and systematic support plan. Research Report to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14. Kwak, H. K.(2008) A study on the neighborhood effect on community social capital. The Korean Journal of Local Government Studies 11(4): 59-86.? 

  15. Lee, J. K.(2020) Realization and Possibility of Community Regeneration Make it Together (Architecture & Urban Space, Vol. 37). Sejong: Architecture & Urban Research Institute. pp. 19-15.? 

  16. Lew, S. C. and M. H. Jang(2002) Social capital and Korean society. Journal of Social Development Studies 8(0): 87-125.? 

  17. Lim, J. E. and J. S. Sung(2016) The effect of community gardening on the formation of social connectedness among residents in new town apartment complexes - Comparison between community garden users and non-users -. Journal of the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Urban Design 17(3): 25-40.? 

  18. Lin, N.(2000) Inequality in social capital. Contemporary Sociology 29(6): 785-795.? 

  19. Light, I.(2004) "Social capital's unique accessibility." J Am Plann Assoc 70(2): 145-151.? 

  20. Loury, G.(1977) A dynamic theory of racial income difference. In P. A. Wallace and A. Lemund, eds, Women, Minorities, and Employment Discrimination. Lexington, MA: Lexington Books.? 

  21. Long, D. A. and D. D. Perkins(2007) Community social and place predictors of sense of community: A multilevel and longitudinal analysis.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35(5): 563-581.? 

  22.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2019) Urban Regeneration New Deal Project_ Urban Regeneration Revitalization Plan Establishment and Project Implementation Guidelines. 119-120.? 

  23. Mo, J. R.(2021) The Neighborhood is Rising that People Desire to Stay in. Seoul: SIGONGSA.? 

  24. Oh, C. H.(2017) International academic conference seeking strategies for the creation and operation of urban gardens, presentation materials. Korea Institute of Garden Design 103-104.? 

  25. Park, J. M., J. K. Choi and E. Y. Park(2016) A study on urban gardening in everyday life toward sustainable urban regeneration - Case of Sujin 2-dong, Seongnam-si in South Korea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4(3): 13-24.? 

  26. Park, E. J., Y. S. Lee and C. H. Ahn(2011)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garden based on social capital perspectives. KIEAE Journal 11(6): 117-125.? 

  27. Perkins, D. D. and D. A. Long(2002) Neighborhood sense of community and social capital. In Psychological Sense of Community (pp. 291-318). Boston, MA: Springer.? 

  28. Putnam, R.(1993) The prosperous community: Social capital and public life. The American Prospect 13(4): 249-258.? 

  29. Ro, J. M. and J. H. Koo(2012) The analysis of an impact of resident activities on social capital in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ing projects: Focus on the case of the KURC's testbed Jeonju.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24(4): 115-130.? 

  30. Ryu, H., J. S. Lee and S. Y. Lee(2018) Participatory neighborhood revitalization effects on social capital: Evidence from community building projects in Seoul. Journal of Urban Planning and Development 144(1): 04017025.? 

  31. Sim, J. Y and K. J. Zoh(2015) Examination of urban gardening as an everydayness in urban residential area, Haebangcho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3(2): 1-12.? 

  32. Suh, E. K. and J. S. Koo(2011) A concise measure of subjective well-being(COMOSWB):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25(1): 95-113.? 

  33. Vidal, A. C.(2004) Building social capital to promote community equity. J Am Plann Assoc 70(2): 164-168.? 

  34. White, M. P., S. Pahl, B. W. Wheeler, M. H. Depledge and L. E. Fleming(2017) Natural environments and subjective wellbeing: Different types of exposure are associated with different aspects of wellbeing. Health & Place 45: 77-84.? 

  35. Woo, K. and J. H. Suh(2016) A study on the contemporary definition of' GARDEN'-Keyword analysis used literature research and big data.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4(5): 1-11.? 

  36. Yoon, J. S., M. Y. Jang, and Y. H. Kim(2020) Introduction to Village Regeneration Construction Engineering -DIT Architectural Regeneration. Sejong: Architecture & Urban Research Institute.? 

  37. http://www.conslove.co.kr/news/articleView.html?idxno47503? 

  38. https://www.ipsos.com/ko-kr/ibsoseu-peobeullig-hangugsahoe-salmui-jilhyeonhwanggwa-sisajeom-dayanghan-yeongyeogeseoui-salmui? 

  39. http://www.ipurune.com/? 

  40. http://www.latimes.kr/news/articleView.html?idxno27258? 

  41. http://www.1gan.co.kr/news/articleView.html?idxno14081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