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환경 개선을 위한 바람길숲 조성 계획기법 개발 연구 - 대전광역시를 사례로 -
A Study on the Wind Ventilation Forest Planning Techniques for Improving the Urban Environment - A Case Study of Daejeon Metropolitan City -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51 no.2, 2023년, pp.28 - 41  

한봉호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  박석철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연구원) ,  박수영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대전광역시를 사례로 도시환경 개선을 위한 도시 바람길숲 조성 계획기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미세먼지 및 폭염 공간분석을 통해 상대적으로 심각한 집중지역의 유역권을 공간단위로 도출하였고, 해당 유역권 내 찬공기 유동 잠재성이 있는 지역을 바람길숲 조성 대상권역으로 선정하였다. 미세먼지 극심지역은 대덕구 대전산업단지 재생사업지구, 유성구 대덕테크노밸리 일대가 해당되었다. 폭염 발생 우심지역은 대덕산업단지(목상동), 대전산업단지 재생사업지구(대화동), 오정동 밀집주거지(오정동) 일대가 해당되었다. 대전 지점 자동기상관측장비(AWS) 측정 결과 낮과 밤의 평균 풍속은 0.1-1.7m/s, 밤 시간 바람 유동이 낮보다 저조하였고, 밤에 외곽 산림에서 생성되는 찬공기의 이동을 원활하게 유도하는 바람길숲 계획이 필요하였다. 대전광역시 미세먼지·폭염 집중관리 권역은 대전천 권역, 유등천 권역, 갑천-유등천 권역, 갑천 권역으로 총 4개 권역이었다. 바람길숲 조성계획 사례는 4개 권역 중 대전광역시 구도심이며, 바람길 조성 효과가 높을 것으로 추정되는 갑천-유등천 권역을 대상으로 제시하였다. 갑천-유등천 권역은 계족산 서사면 산림, 우성이산 남사면 산림에서 생성된 찬공기를 갑천, 유등천과 가로숲을 통해 연결하여 도심으로 찬공기 확산될 수 있도록 바람길숲을 계획하였다. 바람길숲 대상 권역 선정 후 해당 권역 내 기후톱지도, 바람형성기능 평가도 작성, 바람장미(밤) 현황 파악, 미세먼지 발생현황, 지표면 온도 분포현황을 상세하게 파악하였다. 이를 통해 바람길숲 계획 구상 및 유형별 세부 대상지를 파악하였다. 그리고 바람길숲 유형별 조성방향 설정과 조성방향에 따른 세부 실행계획을 수립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an Urban Windway Forest Creation Planning Technique for the Improvement of the Urban Environment using the case of Daejeon Metropolitan City. Through a spatial analysis of fine dust and heat waves, a basin zone, in which the concentration was relatively seri...

주제어

참고문헌 (17)

  1. Choi, Y. J., Y. S. Kim, J. S. Won, H. M. Jo and I. M. Yang(2016) Production of The Climate?Environment Energy Map in Seoul. The Seoul Institute. 

  2. Eum, J. H.(2000) A Study on Using the Wind Flow for the Urban Open Space Planning -A Case Study?of YongIn City -. Master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pp. 91. 

  3. Eum, J. H.(2019a) International case of fine dust reduction using wind ventilation. Korea Research Institute?for Human Settlements 2019(6): 13-19. 

  4. Eum, J. H.(2019b) Strategies for utilizing urban ventilation corridor considering local cold air in watershed?areas: A case study of Uijeongbu and Gwache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Information Studies 22(2): 133-151. 

  5. Eum, J. H. and J. M. Son(2016) Management of the Nakdong-Jeongmaek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cold air- Focused on Busan, Ulsan, Poha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44(5): 103-115. 

  6. Eum, J. H., J. H. Oh, J. M. Son, K. Kim and C. H. Lee(2019) Analysis schemes of wind ventilation forest?types -A case study of Daegu metropolitan cit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Information Studies 22(4): 12-23. 

  7. Eum, J. H., J. M. Son, K. H. Seo and K. H. Park(2018) Management strategies of ventilation paths for?improving thermal environment: A case study of Gimhae, south Kore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21(1): 115-127. 

  8. Hwang, K. I., B. H. Han, J. I. Kwark and S. C. Park(2018) A study on decreasing effects of ultra-fine?particles (PM 2.5) by structures in a roadside buffer green-A buffer green in Songpa-gu, Seoul-. Journal?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6(4): 61-75. 

  9. Jang, G. S., J. H. Eum, J. M. Son, J. B. Baek, W. J. Sung, J. E. Kim and S. H. Kim(2019) Application of?Wind Ventilation Corridor Model in Urban Forest Planning and Management. National Institute of Forest?Science. pp. 1-82. 

  10. Kim, S. B. and E. H. Jung(2017) Basic Research on the Introduction of Wind Ventilation for?Environmental City Construction. Gyeongbuk Development Institute. pp. 145. 

  11. Park, J. S., T. S. Park, E. L. Kim, E. S. Lee, S. M. An, C. J. Lee, Y. S. Sung, E. J. Yoon, S. W. Nam,?H. S. Ju, J. J. Kim and G. W. Lee(2019) A Study on Integration of Spatial and Environmental Planning?to Mitigate Particulate Matter - Focusing on Ventilation Corridors. Korean Research Institute for Human?Settlements. pp. 216. 

  12. Shin, D. H.(2012) Applying of Wind Ventilation Corridor for Low Carban Green City. Gwangju Jeonnam?Research Institute. pp. 78. 

  13. Son, J. M.(2019) A Study on the Management of Cold Air for Improving Thermal Environment in Urban?Areas: A Cast Study of Cheongju, Jeongju and Jinju. Master's Thesis. Keimyung University. pp. 95. 

  14. Verein Deutscher Ingenieure(2003) Environmental meteorology-local cold air. In: VDI Guideline 3787?(Part 5). Berlin: Beuth Verlag. pp. 85. 

  15. https://earthexplorer.usgs.gov 

  16. https://www.blueskyday.kr/bbs/board.php?bo_tablemap&wr_id52&sca%EB%8C%80%EC%A0%84&page2 

  17. https://www.daejeon.go.kr/drh/DrhContentsHtmlView.do?menuSeq203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