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강동구 도시 녹지축 기능 활성화를 위한 도시공원의 생태적 리뉴얼 방안 연구
Ecological Renewal Plan of Urban Parks for the Revitalization of Urban Green Axis in Gangdong-Gu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51 no.2, 2023년, pp.12 - 27  

박정아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  한봉호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  곽정인 ((재)환경생태연구재단)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강동구의 조성형공원 중 도시 녹지축에 입지한 환경생태적인 가치가 높은 공원을 대상으로 도시공원의 생태적 리뉴얼 조성방안을 마련하고 이를 적용한 설계를 제안하였다. 강동구의 개황과 도시공원 개황을 분석하고 강동구의 토지이용 및 녹지율, 공원녹지, 녹지축 현황을 분석하여 리뉴얼 대상지를 선정하였다. 강동구의 조성형 공원은 근린공원 2개소, 어린이공원 52개소로 총 54개소였으며 현황검토 1단계에서는 공원이 자연축, 녹지축상에 입지 및 인접 여부 등 입지적 가치 분석을 통해 17개소를 추출하였고, 2단계에서는 각 공원 서비스권역 내 녹지 및 오픈스페이스 비율을 바탕으로 1단계 추출 공원 중 8개소를 선정하였다. 3단계에서는 공원면적의 법적 기준 충족 여부를 통해 2단계 추출공원 중 2개소를 선정하였으며, 4단계에서는 공원의 노후화 조사를 통해 3단계 추출 공원 중 1개소를 선정하였다. 리뉴얼 대상지의 도시생태적 현황은 엔트로피 저감 측면의 토지이용현황, 물순환 측면의 토양피복현황, 생물다양성 측면의 식재구조현황을 조사하였다. 리뉴얼 대상지 3곳의 현황분석 결과는 녹지면적은 18.3-45.3%로 부족하였고 시설지 면적은 54.7%-81.7%로 높아 도시온도 저감효과가 낮은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불투수포장 면적이 공원 면적의 34.5%-48.9%로 시설면적의 대부분을 차지하여 물순환 기능이 부족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식재구조는 단층과 복층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교목층은 양호하였으나 하부식생이 빈약하였고 식이식물이나 대경목 식재지는 없어 생물다양성이 낮은 상태였다. 본 연구에서 리뉴얼 대상지로 선정한 선린어린이공원, 당말어린이공원, 샘물어린이공원을 생태적으로 리뉴얼 설계한 후 공원별 생태면적률은 리뉴얼 전보다 1.4-3배 이상 증가하였다. 도시 녹지축에 입지한 도시공원을 도시생태계의 관점으로 바라보고 이를 생태적으로 리뉴얼하면 도시생태계 측면에서 엔트로피 저감, 물순환 건강성 향상, 생물다양성 기반조성에 기대효과가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among the construction-type parks in Gangdong-gu, targeting parks with high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value located on the urban green axis, a plan was prepared for the ecological renewal of urban parks, and a design that applied to them was proposed. The renewal target site was se...

주제어

참고문헌 (18)

  1. 강동구(2006) 생태도시-강동구 기본계획. 강동구. p. 283. 

  2. 강동구(2019) 강동구 공원녹지 전략 수립 연구. 강동구. p. 274. 

  3. 서울시(2014) 2030 서울시 도시기본계획. 서울시. p. 217. 

  4. 이수동(2005) 야생조류 이동을 위한 산지형 도시녹지의 연결성 평가 및 연결기법 연구 -서울시를 대상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275. 

  5. 홍석환(2007) 환경친화적 도시관리를 위한 환경생태계획 수립기법 개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268. 

  6. Gwak, J. I.(2007) Improvement Plan of the Landuse Structure and the Green Structure for Establishment of?the Wildbirds' Habitation Base in Urban Area -A Case Study of Gangdong-Gu in Seoul-. Master's Thesis.?University of Seoul, Korea. p. 165. 

  7. Han, B. H.(2000) Ecological Assessment and Planting Models of Green Linkage for Eco-City Realization.?Doctoral Thesis. University of Seoul, Korea. p. 272. 

  8. Hong, S. W., K. J. Lee and B. H. Han(2005) Analysis of temperature profiles by land use and green?structure on built-up a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19(4): 375-384. 

  9. Hwang, G. I.(2016) A Study on Decreasing Effects of the Ultrafine Praticles(PM2.5) by Structures in?Roadside Buffer Green -A Case Study of Buffer Green in the Songpa-Gu, Seoul-. Master's Thesis.?University of Seoul, Korea. p. 98. 

  10. Kim, H. S.(2012) The Difference in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Land Coverage and Vegetation?Structure of Large-Scale Green Area in Seoul.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Seoul, Korea. p. 119. 

  11. Kim, J. H.(2005) Ecological Land Use Planning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Ecosystem -A?Case Study of Hanam, Kyeonggi Province-. Doctoral Thesis. University of Seoul, Korea. p. 271. 

  12. Lee, S. M.(2002) A Case Study on the Urban Neighborhood Park Based on Ecological Approach. Master's Thesis. Ewah Womans University, Korea. p. 117. 

  13. Ministry of Environment(2012) A study on measures to strengthen the ecological function of urban green?areas. Ministry of Environment. p. 243. 

  14. Park, E. J.(2009) A Study on the Composition Plan of an Ecological Urban Park to Apply Green?Network -A Case Study on Dongjak-Gu, Seoul-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Korea. p. 191. 

  15. Son, H. J.(2018) A Study on the Indicator for Assessing Ecological Sustainability at the Urban?Neighborhood Parks.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p. 100. 

  16. Song, I. J. and C. L. Yoon(2018)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Biodiversity Indicator in Parks and?Green Spaces in Seoul. The Seoul Institute. p. 131. 

  17. http://gangdong.go.kr/asacms/ebook/statistics/2018/index.html#page10 

  18. http://parks.seoul.go.kr/story/data/detailView.do?searchTp&searchWd¤tPage4&bIdx46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