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학기술분야 연구자들의 데이터 출판경험 및 인식 연구
A Study on Awareness and Experience of Data Publishing by Scientists 원문보기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54 no.1, 2023년, pp.45 - 68  

황혜경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정영임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  조성남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서태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김지현 (이화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오픈사이언스 연구환경 변화가 가속화되면서 데이터 공유의 새로운 채널로 인정받고 있는 데이터 출판에 대한 국내 연구자의 경험과 인식을 조사하고자 수행되었다. 문헌조사와 국내 과학기술분야 5개 정부출연연구기관 연구자와 GeoAI 데이터학회 회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데이터 출판에 대한 인식 정도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국내 연구자들은 데이터에 대한 설명제공, 데이터로의 안정적 접근, 인용, 동료심사를 통한 품질확인을 데이터 저널의 장점으로 인식하였으나, 연구실적으로써의 데이터 논문 인정에는 낮은 인식수준을 보였다. 또한 데이터 상세설명, 메타데이터 기술, 영구식별기호 부여 순으로 데이터 출판 속성을 인식하고 있었으나 리포지터리에 데이터 제출과 동료심사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데이터 출판 촉진 요인으로 데이터 논문작성과 리포지터리 연계를 지원하는 투고심사시스템 개발과 데이터 인용을 지원하는 리포지터리 개발의 필요성이 확인되었다. 국내 연구자들의 데이터 출판 경험과 인식은 향후 데이터 출판 서비스와 인프라 구축을 위한 중요한 기초가 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and experiences of domestic researchers regarding data publishing, which has been recognized as a new channel of data sharing as scholarly communication evolves in the open science environment. A survey is conducted among researchers from five government-...

주제어

참고문헌 (15)

  1. Jung, Youngim, Kwon, Ohseok, Kim, Kidong, Kim, Sohyeong, Seo, Tae-Sul, & Kim, Suntae?(2020). Study on the strategies for publishing data journals in the field of ecology:?focused on K institution.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51(4), 83-100. https://doi.org/10.16981/kliss.51.4.202012.83? 

  2. Korea Social Science Data Archive (2021). Survey on the management of the research?data and use data. [Unpublished].? 

  3. Lee, Seungeun (2020). A Study on Motivations of Data Publishing and a Plan for its?Promotion.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outh Korea.? 

  4. Adamczak, B. (2021). Data journals and data papers in various research areas and scientific?disciplines-bibliometric analysis based on incites. TASK Quarterly, 25, 433-471.?https://doi.org/10.34808/tq2021/25.4/p? 

  5. Austin, C. C., Bloom, T., Dallmeier-Tiessen, S., Khodiyar, V. K., Murphy, F., Nurnberger, A., Raymond, L., Stockhause, M., Tedds, J., & Vardigan, M. (2017). Key components of?data publishing: using current best practices to develop a reference model for data?publishing. International Journal on Digital Libraries, 18(2), 77-92.?https://doi.org/10.1007/s00799-016-0178-2? 

  6. Candela, L., Castelli, D., Manghi, P., & Tani, A. (2015). Data journals: a survey. Journal?of the Association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66(9), 1747-1762.?https://doi.org/10.1002/asi.23358? 

  7. Gorgolewski, K., Margulies, D. S., & Milham, M. P. (2013). Making data sharing count:?a publication-based solution. Frontiers in Neuroscience, 7.?https://doi.org/10.3389/fnins.2013.00009? 

  8. Huang, P. P. & Jeng, W. (2022). Data paper as a reward? motivation, consideration,?and perspective behind data paper submission. Proceedings of the Association for?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59(1), 437-441.?https://doi.org/10.1002/pra2.648? 

  9. Huang, X., Hawkins, B. A., & Qiao, G. (2013). Biodiversity data sharing: will peer-reviewed?data papers work?. BioScience, 63(1), 5-6. https://doi.org/10.1525/bio.2013.63.1.2? 

  10. Kratz, J. E. & Strasser, C. (2014). Data publication consensus and controversies. F1000Research,?3(94). https://doi.org/10.12688/f1000research.3979.3? 

  11. Kratz, J. E. & Strasser, C. (2015). Researcher perspectives on publication and peer review?of data. PLoS One, 10(2), e0117619. https://doi.org/10.1371/journal.pone.0117619? 

  12. Lawrence, B., Jones, C., Matthews, B., Pepler, S., & Callaghan, S. (2011). Citation and?peer review of data: moving towards formal data publication. International Journal?of Digital Curation, 6(2), 4-37. https://doi.org/10.2218/ijdc.v6i2.205? 

  13. Lee, J. & Kim, J. (2021). Korean researchers' motivations for publishing in data journals?and the usefulness of their data: a qualitative study. Science Editing, 8(2), 145-152.?https://doi.org/10.6087/kcse.246? 

  14. Office of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2022). Memorandum for the heads of executive?departments and agencies, August 25, 2022. Available:?https://www.whitehouse.gov/wp-content/uploads/2022/08/08-2022-OSTP-Public-Access-Memo.pdf? 

  15. Tenopir, C., Dalton, E. D., Allard, S., Frame, M., Pjesivac, I., Birch, B., Pollock, D., &?Dorsett, K. (2015). Changes in data sharing and data reuse practices and perceptions among scientists worldwide. PLOS ONE, 10(8), e0134826.?https://doi.org/10.1371/journal.pone.013482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