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가산림자원조사를 이용한 혼효림의 입지환경 탐색 및 임분수확량 추정
Detection of Site Environment and Estimation of Stand Yield in Mixed Forests Using National Forest Inventory 원문보기

한국산림과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v.112 no.1, 2023년, pp.83 - 92  

정성엽 (한국산지보전협회) ,  임종수 (국립산림과학원 산림ICT연구센터) ,  이선정 (국립산림과학원 산림ICT연구센터) ,  송정은 (한국산지보전협회) ,  박효근 (한국산지보전협회) ,  이정빈 (한국산지보전협회) ,  염규진 (한국산지보전협회) ,  손영모 (한국산지보전협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가산림자원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혼효림에 대한 산림 입지조건을 탐색하고 임분의 생장 및 수확량을 추정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혼효림의 생장은 흉고직경, 수고, 흉고단면적을 변수로 하는 Chapman-Richards 모델을 적용하여 식을 도출하였으며, 수확량은 흉고단면적, 지위지수, 임령, 입목밀도 등의 인자를 단계적회귀분석 적용으로 회귀식을 도출하였다. 국내 혼효림은 다양한 입지에 생육하고 있었는데, 기후대별로는 온대중부권역에 과반수 이상이 분포하고 있었으며, 해발고별로는 101~400 m 지역에 약 62%가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령을 설명변수로 하는 혼효림 생장모형의 적합도(FI)는 흉고직경 0.32, 수고 0.22, 흉고단면적 0.18로 도출되어, 다소 낮은 적합도 값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추정식의 실측치와 추정치 간의 관계 그래프 및 잔차 등을 고려할 때, 임령을 설명변수로 이용하는 추정모형의 사용은 특별한 문제가 없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혼효림의 수확모형은 여러 생장인자 중 흉고단면적(BA), 지위지수(SI), 임령(Age)이 단계적으로 투입되는 회귀식 Stand volume =-162.6859+6.3434 ∙ BA+9.9214 ∙ SI+0.7271 ∙ Age이 도출되었으며, 식의 설명력 (R2)은 약 96% 였다. 앞서 도출된 최적의 생장 및 수확모형을 이용하여 임시 임분수확표가 만들어 졌다. 또한 임시 임분수확표 자료를 활용하여 혼효림의 재적수확최대벌기령을 도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established to investigate the site environment of mixed forests in Korea and to estimate the growth and yield of stands using national forest resources inventory data. The growth of mixed forests was derived by applying the Chapman-Richards model with diameter at breast height (DBH),...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그리고 생장모델을 이용하여 재적의 연평균생장량 및 연간생장량 계산으로 재적수확최대벌기령이 어느 시기가 적합한 지를 알아 봄으로써, 생리⋅생태적으로 복잡다양한 혼효림에서의 향후 생장 및 수확량 예측과 산림경영을 지원할 수 있는 방향성을 제시해 보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 혼효림의 생장모델은 임분의 평균 흉고직경, 평균수고 및 흉고단면적(반응변수 만을 임령으로 표현하였으며(식 1), 반면 수확모델은 임분재적(반응변수)을 대상으로 생장인자인 임령, 흉고단면적, 임분밀도, 지위지수 등 다변량을 적용시켜, 이 중 적정 변수로 선택이 되는 것만을 이용하는 최적 식을 도출하고자 하였다(식 2). 순림(pure forests)이 아닌 혼효림의 수확모델 도출에 설명변수인 지위지수를 도입하는 것은 다소 무리가 있을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국가산림자원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국내 혼효림의 입지환경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 지를 탐색해 보고, 임목생장 현황 및 미래 수확량 예측을 위해 생장모델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생장모델을 이용하여 재적의 연평균생장량 및 연간생장량 계산으로 재적수확최대벌기령이 어느 시기가 적합한 지를 알아 봄으로써, 생리⋅생태적으로 복잡다양한 혼효림에서의 향후 생장 및 수확량 예측과 산림경영을 지원할 수 있는 방향성을 제시해 보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산림면적 중 약 1/3에 가까운 혼효림에 대한 가장 기본적인 입지상황을 살펴보았으며, 임령에 따른 생장과 수확량을 구명해봄으로써, 향후 혼효림 관리에 아주 기본적인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국내 산림 중 혼효림의 입지조건은 온대중부권역에 과반수 이상이 분포하고 있었으며, 해발고도별로는 101~400 m 지역이 약 62%로 가장 많았으며, 국소지형은 산록 부위에 약 70%가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Alimi, R.J. and Barrett, J. 1977. Computer and tabular growth?simulation of mixed conifer-hardwood stands in the?North-East. New Hampshire Agricultural Experiment?Station. Durham, U.S.A. Research report 61, pp. 56. 

  2. Bartelink, H.H. 2000. A growth model for mixed forest stands.?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134(1): 29-43. 

  3. Bennett, F.A. 1970. Variable-density yield tables for managed?stands of natural slash pine. Southeastern Forest Experiment?Station,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Forest?Service Research Note SE-141: 1-7. 

  4. Borders, B.E. and Bailey, R.L. 1986. A compatible system?of growth and yield equations for slash pine fitted with?restricted three-stage least squares. Forest Science 32(1): 185-201. 

  5. Bossel, H. and Krieger, H. 1991. Simulation model of natural?tropical forest dynamics. Ecological Modelling 59(1): 37-71. 

  6. Brender, E.V. 1960. Growth predictions for natural stands of loblolly pine in the lower piedmont. Georgia Forest?Research Council, Report No. 6. 

  7. Bruce, D. 1969. Potential production in thinned douglas-fir?plantations. USDA Forest Science, Southern Forest Experiment?Station, Research Paper SE-111. 

  8. Chapman, D.G. 1961. Statistical problems in population dynamics.?In Proceeding of Fourth Berkeley Symposium on?Mathematical Statistics and Probability. University of?California. Berkeley, U.S.A. pp. 153-168. 

  9. Clutter, J.L., Fortson, J.C., Pienaar, L.V., Brister, G.H. and?Bailey, R.L. 1983. Timber management: A quantitative?approach. John Wiley & Sons. New Jersey, U.S.A. pp. 333. 

  10. Cotta, H.v. 1821. Hulfstafeln fur Forstwirte und Forsttaxa?toren. Arnoldische Buchhandlung. Dresden, Germany. pp. 80. 

  11. Duerr, W.A. and Gevorkiantz, S.R. 1938. Growth prediction?and site determination in uneven-aged timber stands.?Journal of Agricultural Research 56: 81-98. 

  12. Jin, H.O., Lee, M.J., Shin, Y.O., Kim, J.J. and Chun, S.G.?2006. Forest Soil. Hwangmunsa. Seoul, Korea. pp. 325. 

  13. Kim, C.R. 2000. SAS, a statistic box. Data Plus. Seoul, Korea. pp. 592. 

  14. Kim, S.W., Son, Y.M., Kang, J.T., Lee, K.H. and Park, H.?2014. Linear and nonlinear models for the fitness of experimental?analysis in forest Science. Research Information?No. 542. pp. 109. 

  15. Korea Forest Service. 2021. The 7th National forest inventory. 

  16. Korea Forest Service. 2022. Forest Soil Map (http://fgis.forest.go.kr). 

  17. Korea Forestry Promotion Institute. 2017. Field survey guidelines?for the 7th national forest resources survey and health?vitality of Forests. Seoul, Korea. pp. 98. 

  18. Kramer, K. 1995. Modelling comparison to evaluate the importance?of phenology for the effects of climate change?on growth of temperate-zone deciduous trees. Climate?Research 5(2): 119-130. 

  19. Liang, J., Buongiorno, J., and Monserud, R.A. 2005. Estimation?and application of a growth and yield model for unevenaged?mixed conifer stands in California. International?Forestry Review 7(2): 101-112 

  20. Lynch, T.B. and Moser, J.W. 1986. A growth model for mixed?species stands. Forest Science 32(3): 697-706. 

  21. Makela, A. and Hari, P. 1986. Stand growth model based on?carbon uptake and allocation in individual trees. Ecological?Modelling 33(3): 205-229. 

  22. Mohren, G.M.J. 1987. Simulation of forest growth, applied?to douglas-fir stands in the Netherlands. Wageningen. Wageningen Agricultural University. 

  23. Moser, J.W. and Hall, O.F. 1969. Deriving growth and yield?functions for uneven-aged forest stands. Forest Science 15(2): 183-188. 

  24.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2021a. 2020 Forest?inventory of Korea. Seoul, Korea. pp. 135. 

  25.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2021b. 2021 Tree volume,?biomass and stand yield table. Research report. Seoul,?Korea. vol. 979. pp. 373. 

  26. Park, I.H. and Moon, K.S. 1999. Species Competetion and?Productivity in a Natural Mixed Forest of Pinus densiflora?and Quercus variabilis at Mt. Mohu Area. Journal of?Korean Forestry Society 88(4): 462-468. 

  27. Phillips, O. and Gentry, A. 1994. Increasing turnover through?time in tropical forests. Science 263(5149): 954-958. 

  28. Piennar, L.V. and Turnbull, K.J. 1973. The Chapman-Richards?generalization of von Bertalanffy's growth model for basal?area growth and yield in even-aged stands. Forest Science 19(1): 2-22. 

  29. Porte, A. and Bartelink, H.H. 2002. Modelling mixed forest?growth: a review of models for forest management.?Ecological Modelling 150(2): 141-188. 

  30. Richards, F.J. 1959. A flexible growth function for empirical?use. Journal of Experimental Botany 10(29): 290-300. 

  31. Seo, J.H., Lee, W.K., Kwon, S.D., Son, Y.M., Lee, K.H. and?Albert, M. 2005. Individual tree growth model with?topographic data for mixed Oak forest in South Korea.?Proceeding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pp. 384-388. 

  32. Son, Y.M., Lee, S.J., Kim, S.W., Hwang, J.S., Kim, R.H. and?Park, H. 2014. Mapping and Assessment of Forest Biomass?Resources in Korea.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103(3): 431-438. 

  33. Sullivan, A.D. and Clutter, J.L. 1972. A simultaneous growth?an yield model for loblolly pine. Forest Science 18(1): 76-86. 

  34. Tham, A.E. 1988. Yield prediction after heavy thinning of?birch in mixed stands of Norway spruce (Picea abies (L.)?Karst.) and birch (Betula pendula Roth and Betula?pubescens Ehrh.). Swedish University of Agricultural?Science, Department of Forestry Yield Research. Report?No. 23, pp. 36. 

  35. Vanclay, J.K. 1994. Modelling forest growth and yield -applications to mixed tropical forests-. CAB International. Wallingford, UK. pp. 312. 

  36. West, P.W.. 1981. Simulation of diameter growth mortality?in regrowth eucalypt forest of Southern Tasmania. Forest?Science 27(3): 603-616. 

  37. West, G.G. 1991. Douglas-fir, Japanese and European larch?in pure and mixed stands. New Zealand Journal of Forest?Science 21(1): 3-9. 

  38. Wiedemann, E. 1949. Yield tables for the chief tree species?[of Germany] under various grades of thinning and for?several types of mixed stand, with graphical illustrations.?Report, M & H Schaper, Hannover, pp. 100. 

  39. Wigley, T.M.L. 1993. Climate change and forestry. The?Commonwealth Forestry Review 72(4): 256-264. 

  40. Yoon, J.H., Bae. E.J. and Son, Y.M. 2021. Growth curve?estimation of stand volume by major species and forest?type on actual forest in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of Forest Science 110(4): 648-65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