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Syzygium claviflorum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각질형성세포 분화유도 효과
Identification of Antioxidant Activities and Stimulation of Human Keratinocytes Differentiation Effects of Syzygium claviflorum Extract 원문보기

大韓化粧品學會誌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v.49 no.1, 2023년, pp.59 - 65  

서가연 (부산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에너지) ,  문지연 (부산 동서대학교 바이오헬스융합대학 바이오제약공학과) ,  박유경 (부산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에너지) ,  김주영 (부산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에너지) ,  현호용 (부산 동서대학교 바이오헬스융합대학 바이오제약공학과) ,  정범수 (부산 동서대학교 바이오헬스융합대학 바이오제약공학과) ,  (미얀마 양곤대학교 식물학과) ,  (미얀마 힌타다대학교 식물학과) ,  최상호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해외생물소재센터) ,  엄상미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해외생물소재센터) ,  김동원 (부산 동서대학교 바이오헬스융합대학 바이오제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사이자이지움 클래비플로룸(Syzygium claviflorum (Roxb.) Wall. ex A.M. Cowan & Cowan, S. claviflorum)의 추출물 (잎, 줄기, 열매, 꽃)의 화장품 소재로써 활용되기 위한 생리활성 능력을 검증하였다. 첫번째로, S. claviflorum 추출물은 DPPH와 ABTS assay법을 이용한 항산화 실험에서 다양한 농도로 처리한 결과, 약 80% 이상의 자유 라디칼을 제거하였다. 사람 피부 표피 각질형성세포(human epidermal keratinocytes)를 이용한 세포독성 실험에서는 S. claviflorum 추출물은 낮은 세포독성을 보였다. 또한, S. claviflorum 추출물은 각질형성세포의 분화인자 (keratin (KRT)1, KRT2, KRT9, KRT10)와 피부장벽의 기능 유지에 중요한 involucrin (IVL), loricrin (LOR), filaggrin (FLG)과 claudin1 (CLDN1) 유전자의 발현을 현저히 증가시켰다. 특히, in vitro 아토피 피부염 실험에서 interleukin (IL)-4/IL-13에 의해 억제된 FLG 단백질 발현이 S. claviflorum 추출물에 의해 회복되었다. 따라서, 뛰어난 항산화 효능과 피부장벽 개선 기능을 보유한 S. claviflorum 추출물은 향후 아토피 피부염 치료제 및 화장품 개발에 유용한 소재가 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validated the physiological activity of Syzygium claviflorum (Roxb.) Wall. ex A.M. Cowan & Cowan (S. claviflorum) extracts (leaves, stems, fruits, and flowers) as a cosmetic ingredient. Firstly, S. claviflorum extracts removed over 80% of free radicals at various concentrations in antioxidant exp...

주제어

표/그림 (5)

참고문헌 (12)

  1. E. Proksch, J. M. Brandner, and J. M.cJensen, The skin:?an indispensable barrier, Exp. Dermatol., 17(12), 1063?(2008). 

  2. M. Furue, Regulation of skin barrier function via?competition between AHR axis versus IL-13/IL-4?JAK?STAT6/STAT3 axis: pathogenic and therapeutic implications?in atopic dermatitis, J. Clin. Med., 9(11), 3741 (2020). 

  3. T. Werfel, J. P. Allam, T. Biedermann, K. Eyerich, S.?Gilles, E. Guttman-Yassky, W. Hoetzenecker, E. Knol, H.?U. Simon, A. Wollenberg, T. Bieber, R. Lauener, P. SchmidGrendelmeier, C. Traidl-Hoffmann, and C. A. Akdis ,?Cellular and molecular immunologic mechanisms in?patients with atopic dermatitis, J. Allergy Clin. Immunol.,?138(2), 336 (2016). 

  4. P.M. Elias and M. Steinhoff, "Outside-to-inside"(and now?back to "outside") pathogenic mechanisms in atopic?dermatitis, J. Invest. Dermatol., 128(5), 1067 (2008). 

  5. A. Chiricozzi, M. Maurelli, K. Peris, and G. Girolomoni,?Targeting IL-4 for the treatment of atopic dermatitis,?Immunotargets Ther., 9, 151 (2020). 

  6. T. Nakahara, M .Kido-Nakahara, G. Tsuji, and M. Furue,?Basics and recent advances in the pathophysiology of?atopic dermatitis, J. Dermatol., 48(2), 130 (2021). 

  7. N. Novak and D. Y. Leung, Advances in atopic?dermatitis, Curr. Opin. Immunol., 23(6), 778 (2011). 

  8. M. C. Zaniboni, L.P. Samorano, R. L.Orfali, and V. Aoki,?Skin barrier in atopic dermatitis: beyond filaggrin, An?Bras Dermatol., 91(4), 472 (2016). 

  9. M. Furue, T. Chiba, G. Tsuji, D. Ulzii, M. Kido-Nakahara,?T. Nakahara, and T. Kadono, Atopic dermatitis: immune?deviation, barrier dysfunction, IgE autoreactivity and new?therapies, Allergol. Int., 66(3), 398 (2017). 

  10. H. Hammad and B. N. Lambrecht, Barrier epithelial cells?and the control of type 2 immunity, Immunity, 43(1), 29?(2015). 

  11. S. Shareef, M. P. Geetha Kumary, S. Kumar. E. S., and?T. Shaju, Syzygium claviflorum (Myrtaceae)-a new?record for South India, Rheedea, 20(1), 53 (2010). 

  12. T. Fujioka, Y. Kashiwada, R. E. Kilkuskie, L. M.?Cosentino, L. M. Ballas, J. B. Jiang, W. P. Janzea, I. S.?Chen, ad K. H. Lee, Anti-AIDS agents, 11. Betulinic acid?and platanic acid as anti-HIV principles from Syzigium?claviflorum, and the anti-HIV activity of structurally?related triterpenoids, J. Nat. Prod., 57(2), 243 (199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