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치주수술 후 치아상실에 대한 환자관련, 치아관련 위험요소 - 후향적 연구
Patient related and tooth related risk factor of tooth loss after periodontal surgical treatment - prospective study 원문보기

Journal of dental rehabilitation and applied science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v.39 no.1, 2023년, pp.1 - 8  

조인우 (단국대학교 치과대학부속치과병원 치주과) ,  송종근 (단국대학교 치과대학부속치과병원 치주과) ,  이성조 (단국대학교 치과대학부속치과병원 치주과) ,  휴팜동 (베트남 하노이 국립대학교 의학약학부 구강악의학교실) ,  신현승 (단국대학교 치과대학부속치과병원 치주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치주질환자를 대상으로 치주판막술 시행 5년 후 치아의 상실여부를 파악한 뒤 치아 상실과 관련된 예후 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2017년 1월부터 12월까지 치주치료를 시행한 22명의 환자, 124개의 치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치아 관련요인은 치료 당시에 수술을 진행한 술자에 의해 임상적으로 기록된 요인으로 치주수술 당일 최대 치주낭 깊이, 치근의 수, 치근 이개부 이환, 근관치료 여부, 보철상태를 기록하였다. 내원 당시의 초진 기록을 기준으로 환자관련 요인은 성별, 나이, 흡연 여부, 첫 내원 당시 치주질환으로 상실된 치아 여부, 당뇨병 이환 여부, 5년간 유지관리 응답도가 있으며 각각 요인들을 기록하였다. 각각의 요인들의 치아 상실 여부와 관련한 영향력을 평가하였다. 결과: 치아 관련요인이 발치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최대 치주낭 깊이, 골 소실, 치근 이개부 이환 중 치주낭 깊이(P : 0.000), 골 소실(P : 0.021)이 발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최대 치주낭 깊이의 영향력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환자 관련 요인은 치아발치에 유의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치주판막술을 시행한 환자에서 골 소실, 최대 치주낭 깊이가 치아 상실과 관련하여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예후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gnostic factors related to tooth loss after 5 years of periodontal surgery in periodontal disease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to December 2017, 22 patients and 124 teeth who underwent periodontal treatment through periodontal ...

주제어

참고문헌 (20)

  1. Takata T, Donath K. The mechanism of pocket formation: a light microscopic study on undecalcified human material. J Periodontol 1988;59:215-21.? 

  2. Becker W, Berg L, Becker BE. Untreated periodontal disease: a longitudinal study. J Periodontol 1979;50:234-44.? 

  3. AlJehani YA. Risk factors of periodontal disease: review of the literature. Int J Dent 2014;2014:182513.? 

  4. Lindhe J, Socransky SS, Nyman S, Haffajee A, Westfelt E. "Critical probing depths" in periodontal therapy. J Clin Periodontol 1982;9:323-36.? 

  5. Michalowicz BS, Hodges JS, Pihlstrom BL. Is change in probing depth a reliable predictor of change in clinical attachment loss? J Am Dent Assoc 2013;144:171-8.? 

  6. Nibali L, Sun C, Akcali A, Yeh YC, Tu YK, Donos N. The effect of horizontal and vertical furcation involvement on molar survival: A retrospective study. J Clin Periodontol 2018;45:373-81.? 

  7. Gilbert AD. Is the risk of loss of pulp vitality increased by periodontitis and its treatment? Periodontal Practice Today 2017;4:187-92.? 

  8. Hamp SE, Nyman S, Lindhe J. Periodontal treatment of multi rooted teeth. Results after 5 years. J Clin Periodontol 1975;2:126-35.? 

  9. Axelsson P, Nystrom B, Lindhe J. The long-term effect of a plaque control program on tooth mortality, caries and periodontal disease in adults. Results after 30 years of maintenance. J Clin Periodontol 2004;31:749-57.? 

  10. Chambrone L, Chambrone D, Lima LA, Chambrone LA. Predictors of tooth loss during long-term periodontal maintenance: a systematic review of observational studies. J Clin Periodontol 2010;37:675-84.? 

  11. McFall WT Jr. Tooth loss in 100 treated patients with periodontal disease: A long-term study. J Periodontol 1982;53:539-49.? 

  12. Jansson L, Lagervall M. Periodontitis progession in patients subjected to supportive maintenance care. Swed Dent J 2008;32:105-14.? 

  13. Pretzl B, Kaltschmitt J, Kim TS, Reitmeir P, Eickholz P. Tooth loss after active periodontal therapy. 2: tooth-related factors. J Clin Periodontol 2008;35:175-82.? 

  14. Matuliene G, Pjetursson BE, Salvi GE, Schmidlin K, Bragger U, Zwahlen M, Lang NP. Influence of residual pockets on progression of periodontitis and tooth loss: results after 11 years of maintenance. J Clin Periodontol 2008;35:685-95.? 

  15. Dannewitz B, Zeidler A, Husing J, Saure D, Pfefferle T, Eickholz P, Pretzl B. Loss of molars in periodontally treated patients: results 10 years and more after active periodontal therapy. J Clin Periodontol 2016;43:53-62.? 

  16. Faggion CM Jr, Petersilka G, Lange DE, Gerss J, Flemmig TF. Prognostic model for tooth survival in patients treated for periodontitis. J Clin Periodontol 2007;34:226-31.? 

  17. Graetz C, Plaumann A, Schlattmann P, Kahl M, Springer C, Salzer S, Gomer K, Dorfer C, Schwendicke F. Long-term tooth retention in chronic periodontitis-results after 18 years of a conservative periodontal treatment regimen in a university setting. J Clin Periodontol 2017;44:169-77.? 

  18. Rahim-Wostefeld S, El Sayed N, Weber D, Kaltschmitt J, Baumer A, El-Sayed S, Eickholz P, Pretzl B. Tooth-related factors for tooth loss 20 years after active periodontal therapy - A partially prospective study. J Clin Periodontol 2020;47:1227-36.? 

  19. Buhlin K, Hultin M, Norderyd O, Persson L, Pockley AG, Pussinen PJ, Rabe P, Klinge B, Gustafsson A. Periodontal treatment influences risk markers for atherosclerosis in patients with severe periodontitis. Atherosclerosis 2009;206:518-22.? 

  20. Haber J. Smoking is a major risk factor for periodontitis. Curr Opin Periodontol 1994:12-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