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인에서 비만에 따른 신체활동와 치주질환과의 연관성
Association between physical activity and periodontitis as stratified by obesity in Koreans 원문보기

대한치위생과학회지 = Journal of Korean dental hygiene science, v.6 no.1, 2023년, pp.65 - 76  

김미선 (경동대학교 치위생학과) ,  신혜선 (동남보건대학교 치위생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의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에서 신체활동과 치주염 사이의 연관성을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국민건강영양조사 2012년과 2013년 자료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성인 9,191명에 대해 분석하였다. 치주 상태 조사는 지역사회치주요양필요지수(Community Periodontal Index, CPI)를 이용하여 CPI 3과 4를 치주염으로 정의하였다. 신체활동은 단축형 국제신체활동설문(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Short Form, IPAQ-SF)을 이용하여 걷기 활동, 중등도 활동, 격렬한 활동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변수간의 연관성은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적용하였고, 비만 변수에 대해 층화분석을 적용하였다. 모든 분석은 성별에 따른 신체활동 수준의 차이가 있으므로 남녀를 나누어 분석하였다. 결과: 남성에서 치주염 유병률은 33.9%, 여성에서 치주염 유병률은 22.2%였다. 격렬한 신체활동과 중등도 신체활동을 하는 여성그룹에서 치주염 유병률이 각각 28% (OR=0.72, 95% CI=0.54-0.95), 34% ((OR=0.66, 95% CI=0.44-0.98) 낮았다. 반면 남성에서는 유의한 연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비만인 여성그룹에서는 중등도 활동을 한 그룹에서 65% (OR=0.35, 95% CI=0.18-0.67)의 더 높은 신체활동 감소와 연관성이 있었다. 결론: 본 연구조사 결과 중등도 신체활동은 치주염과 음의 연관성(inverse association)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비만 여성에서는 중등도 신체활동이 치주염과 독립적으로 연관성이 있고 비만 변수가 효과변경인자(effect modifier)가 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physical activity and periodontitis in the Korean population. Methods: This study utilized data from 9,191 participants of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Periodontitis was defined as a CPI score of ...

주제어

표/그림 (5)

참고문헌 (30)

  1. Pihlstrom BL, et al. Periodontal diseases. Lancet?2005;366:1809-1820. doi: 10.1016/S0140-6736(05)67728-8.? 

  2. World Health Organization. Global recommendations?on physical activity for health. Available at: http://www.who.int/dietphysicalactivity/factsheet_adults/en/.Accessed:02Jan,2018.? 

  3. Ding D, et al. The economic burden of physical?inactivity: a global analysis of major noncommunicable diseases. Lancet 2016;388:1311-1324. doi: 10.1016/S0140-6736(16)30383-X.? 

  4.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Korea Health Statistics 2013: Korea national Health?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2013.? 

  5. Wakai K, et al. Associations of medical status and?physical fitness with periodontal disease. J Clin?Periodontol 1999;26:664-672. doi: 10.1034/j.1600-051x.1999.261006.x.? 

  6. Merchant AT, et al. Increased physical activity?decreases periodontitis risk in men. Eur J Epidemiol?2003;18:891-898. doi: 10.1023/a:1025622815579.? 

  7. Al-Zahrani MS, et al. Periodontitis and three?health-enhancing behaviors: maintaining normal?weight, engaging in recommended level of exercise,?and consuming a high-quality diet. J Periodontol?2005;76:1362-1366. doi: 10.1902/jop.2005.76.8.1362.? 

  8. Al-Zahrani MS, et al. Increased physical activity?reduces prevalence of periodontitis. Journal of dentistry?2005;33:703-710. doi: 10.1016/j.jdent.2005.01.004.? 

  9. Sanders AE, et al. Physical activity, inflammatory?biomarkers in gingival crevicular fluid and?periodontitis. J Clin Periodontol 2009;36:388-395.?doi: 10.1111/j.1600-051X.2009.01394.x.? 

  10. Shimazaki Y, et al. Relationship between obesity?and physical fitness and periodontitis. J Periodontol?2010;81:1124-1131. doi: 10.1902/jop.2010.100017.? 

  11. Oliveira JA, et al. Periodontal disease as a risk?indicator for poor physical fitness: a crosssectional observational study. J Periodontol?2015;86:44-52. doi: 10.1902/jop.2014.140270.? 

  12. Eremenko M, et al. Cross-sectional association?between physical strength, obesity, periodontitis?and number of teeth in a general population. J?Clin Periodontol 2016;43:401-407. doi: 10.1111/jcpe.12531.? 

  13. Hoppe CB, et al. Association between chronic oral?inflammatory burden and physical fitness in males:?a cross-sectional observational study. Int Endod J?2017;50:740-749. doi: 10.1111/iej.12686.? 

  14. Andrade EF, et al. Exercise attenuates alveolar?bone loss and anxiety-like behaviour in rats with?periodontitis. J Clin Periodontol 2017;44:1153-1163. doi: 10.1111/jcpe.12794.? 

  15. Arrieta A, Russell LB. Effects of leisure and nonleisure physical activity on mortality in U.S. adults?over two decades. Ann Epidemiol 2008;18:889-895. doi: 10.1016/j.annepidem.2008.09.007.? 

  16. Andersen LB, et al. All-cause mortality?associated with physical activity during leisure?time, work, sports, and cycling to work. Arch?Intern Med 2000;160:1621-1628. doi: 10.1001/archinte.160.11.1621.? 

  17. Khaw KT, et al. Work and leisure time physical?activity assessed using a simple, pragmatic,?validated questionnaire and incident cardiovascular?disease and all-cause mortality in men and?women: The European Prospective Investigation?into Cancer in Norfolk prospective population?study. Int J Epidemiol 2006;35:1034-1043. doi:10.1093/ije/dyl079.? 

  18. Sabia S, et al. Effect of intensity and type of?physical activity on mortality: results from?the Whitehall II cohort study. Am J Public?Health 2012;102:698-704. doi: 10.2105/AJPH.2011.300257.? 

  19. Khan S, et al. Association between obesity?and periodontitis in Australian adults: A single?mediation analysis. J Periodontol 2021;92:514-523. doi: 10.1002/JPER.20-0044.? 

  20. World Health Organization. Oral health surveys:?basic methods. 1997.? 

  21. Craig CL, et al.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questionnaire: 12-country reliability and validity.?Med Sci Sports Exerc 2003;35:1381-1395. doi:10.1249/01.MSS.0000078924.61453.FB.? 

  2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Physical activity?Guidelines for Koreans. No., 2013.? 

  23. Manson JE, et al. A prospective study of walking?as compared with vigorous exercise in the?prevention of coronary heart disease in women. N?Engl J Med 1999;341:650-658. doi: 10.1056/NEJM199908263410904.? 

  24. Blair SN, Morris JN. Healthy hearts and the?universal benefits of being physically active: physical?activity and health. Ann Epidemiol 2009;19:253-256. doi: 10.1016/j.annepidem.2009.01.019.? 

  25. Lee IM. Physical activity in women: how much is?good enough? JAMA 2003;290:1377-1379. doi:10.1001/jama.290.10.1377.? 

  26. Kasapis C, Thompson PD. The effects of?physical activity on serum C-reactive protein and?inflammatory markers: a systematic review. J Am?Coll Cardiol 2005;45:1563-1569. doi: 10.1016/j.jacc.2004.12.077.? 

  27. Elhakeem A, et al. Leisure-time physical activity?across adulthood and biomarkers of cardiovascular?disease at age 60-64: A prospective cohort study.?Atherosclerosis 2018;269:279-287. doi: 10.1016/?j.atherosclerosis.2017. 11.019.? 

  28. Paraskevas S, et al. A systematic review and?meta-analyses on C-reactive protein in relation?to periodontitis. J Clin Periodontol 2008;35:277-290. doi: 10.1111/j.1600-051X.2007.01173.x.? 

  29. Pai JK, et al. Inflammatory markers and the risk?of coronary heart disease in men and women. N?Engl J Med 2004;351:2599-2610. doi: 10.1056/NEJMoa040967.? 

  30. Gaio EJ, et al. Effect of obesity on periodontal?attachment loss progression: a 5-year populationbased prospective study. J Clin Periodontol?2016;43:557-565. doi: 10.1111/jcpe.12544.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