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콩균핵마름병균에 대한 병원성 검정법 확립
Establishment of Pathogenicity Test Method for Macrophomina phaseolina Causing Soybean Charcoal Rot 원문보기

Research in plant disease = 식물병연구, v.29 no.1, 2023년, pp.1 - 10  

안소현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식물의학과) ,  김흥태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식물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콩 균핵마름병을 일으키는 Macrophomina phaseolina의 병원성 평가를 위하여 실험실과 온실 검정법을 확립하였다. 실험실 검정에서는 소립균핵과 균사를 접종원으로 사용하였다. 소립균핵을 접종원으로 사용한 실험실 검정에서 M. phaseolina NSW17-108과 HSM17-034의 발병도는 25℃보다 35℃에서 더 높았다. NSW17-108과 HSM17-034 중에서 참깨에서 분리된 HSM17-034의 발병도가 콩에서 분리된 NSW17-108보다 높았다. M. phaseolina의 균사를 접종원으로 사용한 경우, NSW17-108과 HSM17-034는 35℃에서의 발병도가 접종 5일 만에 80%를 상회하였다. HSM17-034는 25℃에서의 발병도가 접종 5일 후에 80%를 상회하였다. 온실의 병원성 검정에는 소립균핵이 형성된 이쑤시개 또는 potato dextrose agar 배지에서 수확한 소립균핵 자체를 접종원으로 사용하였다. 모든 온실 검정에서 M. phaseolina NSW17-10과 HSM17-034는 접종 방법에 따라 병원균을 접종하고 35-65일 후에 40-60%의 발병도를 보였다. 두 균주 중에서 HSM17-034의 병원성이 NSW17-108보다 강했으며, 이 결과는 실험실 검정 결과와 일치하였다. 본 연구에서 확립한 실험실 및 온실 검정법은 각 방법에 따라 장단점이 있기 때문에, 연구의 목적에 부합할 수 있는 시험법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stablishment of a laboratory assay and a greenhouse assay was conducted for evaluating the pathogenicity of Macrophomina phaseolina causing soybean charcoal rot established. In the laboratory assay, microsclerotia and hyphae were used as inoculum. In the laboratory assays using microsclerotia a...

주제어

표/그림 (13)

참고문헌 (17)

  1. Allen, T. W., Bradley, C. A., Sisson, A. J., Byamukama, E., Chilvers, M.?I., Coker, C. M. et al. 2017. Soybean yield loss estimates due to?diseases in the United States and Ontario, Canada, from 2010 to?2014. Plant Health Prog. 18: 19-27. 

  2. Baird, R. E., Watson, C. E. and Scruggs, M. 2003. Relative longevity?of Macrophomina phaseolina and associated mycobiota on residual soybean roots in soil. Plant Dis. 87: 563-566. 

  3. Basbagci, G., Unal, F., Uysal, A. and Dolar, F. S. 2019. Identification?and pathogenicity of Rhizoctonia solani AG-4 causing root rot?on chickpea in Turkey. Span. J. Agric. Res. 17: e1007. 

  4. Benavent-Celma, C., Puertolas, A., McLaggan, D., van West, P. and?Woodward, S. 2021. Pathogenicity and host range of Pythium?kashmirense: a soil-borne oomycete recently discovered in the?UK. J. Fungi 7: 479. 

  5. Berggren, G. T. and Snow, J. P. 1989. Red crown rot. In: Compendium?of Soybean Diseases, eds. by J. B. Sinclair and P. A. Backman, 3rd?ed., pp. 44-45. APS Press, St. Paul, MN, USA. 

  6. Diaz Arias, M. M., Leandro, L. F. and Munkvold, G. P. 2013. Aggressiveness of Fusarium species and impact of root infection on?growth and yield of soybeans. Phytopathology 103: 822-832. 

  7. Gupta, G. K., Sharma, S. K. and Ramteke, R. 2012. Biology, epidemiology and management of the pathogenic fungus Macrophomina phaseolina (Tassi) goid with special reference to charcoal?rot of soybean (Glycine max (L.) Merrill). J. Phytopathol. 160: 167-180. 

  8. Khan, S. N. 2007. Macrophomina phaseolina as causal agent for?charcoal rot of sunflower. Mycopath 5: 111-118. 

  9. Ko, Y. M., Choi, J., Lee, Y. H. and Kim, H. T. 2020. First report of charcoal rot caused by Macrophomina phaseolina on Glycine max in?Korea. Res. Plant Dis. 26: 29-37. (In Korean) 

  10.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2. Precipitation analysis.?URL https://data.kma.go.kr/cmmn/main.do [1 December 2022].?(in Korean) 

  11.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22. Agricultural Area Survey. URL https://kosis.kr/index/index.do [1 December 2022]. (In?Korean) 

  12. Marquez, N., Giacherom, M. L., Declerck, S. and Ducasse, D. A. 2021.?Macrophomina phaseolina: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thogenicity and methods of control. Front. Plant Sci. 12: 634397. 

  13. Meyer, W. A., Sinclair, J. B. and Khare, M. N. 1974. Factors affecting?charcoal rot of soybean seedlings. Phytopathology 64: 845-849. 

  14. Rahayu, M. 2014. Identification and pathogenicity of pathogen responsible for aerial blight disease of soybean. J. Exp. Biol. Agric.?Sci. 2: 279-285. 

  15. Romero Luna, M. P., Mueller D., Mengistu, A., Singh, A. K., Hartman,?G. L. and Wise K. A. 2017. Advancing our understanding of charcoal rot in soybeans. J. Integr. Pest Manag. 8: 8. 

  16. Sanchez, S., Chamorro, M., Henriquez, J. L., Grez, J., Diaz, I., de Los?Santos, B. et al. 2017. Genetic and biological characterization of?Macrophomina phaseolina (Tassi) Goid. causing crown and root?rot of strawberry. Chil. J. Agric. Res. 77: 325-331. 

  17. Short, G. E., Wyllie, T. D. and Ammon, V. D. 1978. Quantitative enumeration of Macrophomina phaseolina in soybean tissues. Phytopathology 68: 736-741. 

문의처: helpdesk@kisti.re.kr전화: 080-969-4114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