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가리스크 관리를 위한 기후변화 적응역량 구축평가 연구 소개: 홍수 부문 원문보기

물과 미래 : 한국수자원학회지 = Water for future, v.56 no.2, 2023년, pp.54 - 61  

지희원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연구원) ,  서승범 (서울시립대학교 국제도시과학대학원) ,  조재필 (유역통합관리연구원) ,  채여라 (한국환경연구원 기후대기연구본부)

초록이 없습니다.

참고문헌 (17)

  1. 관계부처합동(2020), 「제3차 국가 기후변화 적응대책(2021-2025)」 

  2. 관계부처합동(2021), 「제3차 국가 기후변화 적응대책(2021-2025) 세부시행계획」 

  3. 동아일보(2022.8.11.), "한국 폭우, 유럽 폭염 '기후몸살'… 올 자연재해 사망 전세계 4300명", https://www.donga.com/news/Inter/article/all/20220811/114905600/1. 검색일: 2022.11.9. 

  4. 채여라 외 (2020), 국가 리스크 관리를 위한 기후변화 적응역량 구축.평가 (1차년도),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5. 채여라 외 (2021), 국가 리스크 관리를 위한 기후변화 적응역량 구축.평가 (2차년도), 한국환경연구원. 

  6. 채여라 외 (2022), 국가 리스크 관리를 위한 기후변화 적응역량 구축.평가 (3차년도), 한국환경연구원. 

  7. Cowtan, K., & Way, R. G. (2014). Coverage bias in the HadCRUT4 temperature series and?its impact on recent temperature trends. Quarterly Journal of the Royal Meteorological?Society, 140(683), pp. 1935-1944. 

  8. Deque, M., Calmanti, S., Christensen, O. B., Aquila, A. D., Maule, C. F., Haensler, A., ...?& Teichmann, C. (2017). A multi-model climate response over tropical Africa at+ 2 C.?Climate Services, 7, 87-95. 

  9. ESCAP(2021), The Risk and Resilience Portal. 

  10. Huang, P., Zheng, X. T., & Ying, J. (2019). Disentangling the changes in the Indian Ocean?dipole-related SST and rainfall variability under global warming in CMIP5 models.?Journal of Climate, 32(13), pp. 3803-3818. 

  11. Morice, C. P. et al. (2021). An updated assessment of near-surface temperature change?from 1850: the HadCRUT5 data set.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Atmospheres,?126(3), e2019JD032361. 

  12. Lenssen, N. J. et al. (2019). Improvements in the GISTEMP uncertainty model. Journal of?Geophysical Research: Atmospheres, 124(12), pp. 6307-6326. 

  13. Luke, A., Vrugt, J. A., & Sanders, B. F. (2016). Predicting nonstationary flood frequencies:?Evidence supports an updated stationarity thesis in the United States. Water Resources?Research, 53, pp. 5469-5494. 

  14. Rohde, R. A., & Hausfather, Z. (2020). The Berkeley Earth land/ocean temperature record.?Earth System Science Data, 12(4), 3469-3479. 

  15. Swiss Re Institute(2021), The Economics of Climate Change: No Action not an Option 

  16. U.S. EPA(2017), Multi-Model Framework for Quantitative Sectoral Impacts Analysis: A?Technical Report for the Fourth National Climate Assessment, U.S. Environmental?Protection Agency. 

  17. Vautard, R. et al. (2014). The European climate under a 2℃ global warming.?Environmental Research Letters, 9(3), 034006.?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