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긴급차량 운행실태와 의식도조사 분석을 통한 우선신호 운영방안 연구
A Study on the Operation Plan of the Emergency Vehicle Preemption Based on Operation Status and Survey Data 원문보기

韓國ITS學會 論文誌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v.22 no.1, 2023년, pp.143 - 160  

고은정 (한국과학기술원 조천식모빌리티대학원) ,  이주영 (한국과학기술원 기계기술연구소) ,  조준한 (삼성교통안전문화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화재, 구조, 구급 등 재난상황에서 신속한 대응을 위해 긴급차량의 골든타임 확보가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긴급차량의 골든타임 확보와 운행 안전성 증대를 위하여 긴급차량 운행현황 분석에 기반한 긴급차량 우선신호 운영방안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긴급차량 출동 통계자료와 교통사고 통계를 이용하여 긴급차량 운영 현황을 분석하고 설문조사 분석을 통해 긴급차량 우선신호 도입 및 운영에 관한 세부기준을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 긴급차량의 출동빈도와 교통사고가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긴급차량의 골든타임 확보율이 절반 수준인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개선방안 도출이 시급함을 확인하였다. 긴급차량 우선신호 도입에 관한 설문조사를 통해 우선신호 도입의 필요성에 대해 대다수의 시민이 공감하고 있고, 긴급차량 우선신호 제공 가능한 차량 범위와 신호 대기 허용 가능 시간에 대한 기준을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긴급차량 우선신호 운영 전략과 세부 기준을 마련하는데 본 연구의 결과가 활용될 수 있으며, 긴급차량 우선신호의 신속한 확대를 통한 긴급차량 운행 안전성 개선과 골든타임 확보율 증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t is important to secure the golden time of emergency vehicles for quick responses in disaster situations, such as fire, rescue, and first aid. This study proposes plans Emergency Vehicle Preemption (EVP) based on the analysis of emergency vehicle operation to secure the golden time of emergency ve...

주제어

참고문헌 (18)

  1. Bean, S. and Studwick, G.(2005), "Melbourne's emergency vehicle pre-emption trial", 12th World?Congress on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2. Hong, K. S., Jung, J. H. and Ahn, G. H.(2012), "Development of the emergency vehicle preemption?control system based on UTIS",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Systems, vol. 11, no. 2, pp.39-47. 

  3. Jeong, K. S. and Kim, K. T.(2019), "Effect analysis on emergency vehicle priority system for?securing golden time: Targeting on Cheongju city",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Engineering, vol. 33, no. 3, pp.138-142. 

  4. Kim, J. G. and Kwak, Y. G.(2016), "Proposals to improve maladministration regarding the right of?way and other privileges to emergency vehicles", Korean Association for Public Security?Administration, vol. 12, vo. 4, pp.25-46. 

  5. Kim, J. H. and Lee, H. J.(2020), "Study on cases of priority traffic signal system for emergency?vehicles: Based on a city's pilot operation cases in Chungcheongbukdo province", Korean?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34, no. 1, pp.121-126. 

  6. Kim, S. Y., Ko, K. Y., Park, S. Y., Jeong, G. J. and Lee, C. K.(2017), "Adaptability analysis of?emergency preemption system in field operation",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vol. 16, no. 3, pp.95-109. 

  7. Kim, S.(2016), A study on the efficient operation of preemption signal control system for emergency?vehicle: The case of pilot project in Uiwang city, Ajou University. 

  8. Ko, E. J., Cho, J. H. and Lee, J. Y.(2021), "A study on improving operational criteria of?preemption/priority signal control for emergency vehicle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Transportation, vol. 39, no. 3, pp.299-311. 

  9.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2019), Plan of eco-friendly and safe super BRT for efficient?transportation system, p.76. 

  10. Korea Road Traffic Authority(2016), Operation manual of emergency vehicle preemption signal,?pp.9-14. 

  11. Kotani, J., Yamazaki, K. and Jinno, M.(2011), "Expanding fast emergency vehicle preemption system?in Tokyo", 18th ITS World Congress. 

  12. Kwon, K. B. and Yoon, S. C.(2015), "A study on the criminal liability of the emergency vehicle?drivers for the accidents caused by violating traffic signal", Police Science Institute, vol. 29, no. 1, pp.167-195. 

  13.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Research Institute(2014),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traffic signal?system for emergency vehicle dispatch support, p.3. 

  14. Newsis, https://mobile.newsis.com/view.html?ar_idNISX20201120_0001240938, 2022.10.11. 

  15. Sung, J. G. and Ha, D.(2016), "A selection method of implementation area for emergency vehicle?preemption system using dispatch data analysis",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vol. 15, no. 2, pp.24-35. 

  16. The Seoul Institute(2017), Emergency response capacity of the fire service by fortifying it with the?necessary resources: A study focused on responding to fire-related accidents, pp.115-117. 

  17. U.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2006), Traffic signal preemption for emergency vehicles: A?cross-cutting study: Putting the "First" in "First Response", pp.4-1, 7-6, 8-1. 

  18. Yoon, T. S. and Park, Y. S.(2021), "Establishment and effectiveness analysis of emergency vehicle?priority signal control system in smart city and directions for ISMS-P technical control item?improvement",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vol. 25, no. 9, pp.1166-117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