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소년의 비자살적 자해에 관한 연구동향 -국내학술지 중심-
Research Trends on Non-suicidal Self-Injury in Adolescents -Focusing on Domestic Academic Journals- 원문보기

Industry promotion research = 산업진흥연구, v.8 no.2, 2023년, pp.141 - 148  

김정숙 (영남대학교 가족주거학과) ,  홍상욱 (영남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비자살적자해(Non-Suicidal Self-Injury: NSSI)와 관련한 논문을 분석하여 연구적 성과와 한계점을 검토하고 향후 연구 과제를 제시하는 데 있다. 연구에 필요한 분석 대상 논문은 자해 관련 문헌 연구가 시작된 2010 년부터 현재까지 국내학술지를 중심으로 분류절차를 거쳐 수집하였다. 분류범주(일반적 특성, 연구대상, 연구변인, 프로그램 활용)에 따라 분석한 결과 첫째, 비자살적자해와 관련한 국내연구는 2017년(3편) 증가하기 시작한 이후로 2019년과 2022년을 거쳐 꾸준한 증가 양상을 보이고 있다. 둘째, 연구대상의 특성에 변화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이전의 선행 연구들이 자해를 경험한 청소년이 주 대상이었다면 초기성인기(대학생)까지 확대되었고 자해 중단경험을 가진 대상과 상담자, 부모로 연구대상이 다양해졌다. 셋째, 다양한 연구방법들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양적연구가 활발하던 2017년에 비하여 다양한 질적 연구방법들을(내러티브, 현상학, 근거이론, 메타분석, 사례연구) 적용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에 대한 논의와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추가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NSSI (Non-suicidal Self-Injury) and upcoming papers to review research achievements and endpoints and current problems. Analysis data necessary for the study were collected through the classification procedure as domestic suspension during the mandatory period...

주제어

표/그림 (8)

참고문헌 (23)

  1. 박성민 (2021). "상처는 흉터 대신 날개 남겨 더 멀리 날기 위한 과정일 뿐". 동아일보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211016/109734680/1 

  2. 이재호.조윤영.전정윤(2018), "중고생 7만명 '자해경험'...우리 아이는 상관없다고요?". 한겨레21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rneral/869668.html 

  3. Klonsky, E. D. (2007). The functions of deliberate self-injury: A review of the evidence. Clinical Psychology Review, 27(2), 226-239. 

  4. Stanley, B., Gameroff, M. J., Michalsen, V., & Mann, J. J. (2001). Are suicide attempters who self-mutilate a unique population?.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58(3), 427-432. 

  5. Favazza, A. R. (1996). Bodies under siege: Self-mutilation and body modification in culture and psychiatry. Baltimore, MD: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6. Favazza, A. R., & Rosenthal, R. J. (1993). Diagnostic issues in self-mutilation. Psychiatric Services, 44(2), 134-140. 

  7. Favazza, A. R. (1998). The coming of age of self-mutilation. The Journal of Nervous and Mental Disease, 186(5), 259-268. 

  8.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5th edition: DSM-5.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 

  9. 이동귀.함경애.배병훈(2016). 청소년 자해행동: 여중생의 자살적 자해와 비(非)자살적 자해. 한국심리학회지, 24(4), 1171-1192. 

  10. 권혁진.권석만(2017). 한국판 자해기능 평가지의 타당화 연구: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3(1), 187-205. 

  11. 서 미.김지혜.이태영.김은하(2019). 비자살적 자해와 극복과정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상담경험이 있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상담학연구, 20(4), 179-207. 

  12. 이혜정.지윤미.최태영(2019). 청소년 비자살적 자해의 임상적 특성과 치료적 개입, 생물치료정신의학, 28(1), 5-17. 

  13. 김수진(2017). 비자살적 자해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개관. 청소년학연구, 24(9), 31-53. 

  14. 백연우(2022). 청소년의 비자살적 자해경험에 대한 질적 메타연구. 청소년학연구, 29(12), 23-57. 

  15. 강경미(2010). 청소년 자해행동의 치료 및 예방과 기독교 상담학적 방안. 성경과 신학, 56, 99-123. 

  16. 임경문.김혜경.백운진.이윤주(2020). 청소년 자해에 관한 연구동향. 인문사회21, 11(1), 717-732. 

  17. 김명숙.홍상욱(2022).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에 관한 연구동향. 산업진흥연구, 7(4), 25-31. 

  18. 이문영.배용순(2020). 청소년 자해 관련 국내 연구 동향. 학교사회복지, 50, 53-78. 

  19. 임현택.민병근(1982). 비행청소년의 자해행위에 관한 사회정신의학적 연구. 중앙의대지, 7(1), 47-56. 

  20. 박제민(1991). 반복 자해 청소년의 통각 역치. 신경정신의학, 30(5), 873-884. 

  21. Nock, M. K., & Prinstein, M. J.(2004). A functional approach to the assessment of self-mutilative behavior.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72(5), 885-890. 

  22. Nock, M. K..(2009). Why do people hurt themselves? New insights into the nature and function of selfinjury.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18, 78-83. 

  23. 김수진.김봉환(2015). 청소년 내담자의 반복적 자해 행동의 의미탐색: '고통으로 고통을 견디기'. 상담 및 심리 치료, 27(2), 231-25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