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비자살성 자해(NSSI)에 대한 학교상담에서의 개입
Intervention of Nonsuicidal Self-Injury in School Counseling 원문보기

精神身體醫學 =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v.30 no.1, 2022년, pp.1 - 6  

류신혜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교육심리상담)) ,  배승민 (가천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전진용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임우영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학교상담에서 비자살성 자해가 상당히 증가하고 있다. 청소년 상담복지 개발원에 따르면, 전국 230개 청소년 상담복지 센터의 상담 건수를 분석한 결과 2018년 자해 청소년 상담 지원 건수는 전년보다 3배 이상 높았으며, 자해 행동이 처음 나타난 시기는 평균적으로 12.43세였다고 한다. 이처럼 최근 청소년 자해가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그 연령 또한 점차 낮아지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국내 청소년을 대상으로 자해의 동기와 특징에 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상황이다. 이는 자해 행동이 은밀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연구를 수행하기 어렵기 때문이라고 볼 수도 있다. 하지만, 이러한 현실이 학생들의 정신건강 문제가 점점 심각해지는 상황에서 이들에 대한 상담적 개입과 예방이 시급하게 요구되는 학교 현장의 또 다른 한계가 있는 것도 사실이다. 또한, 학교장면에서 자해 상담은 상담교사들의 가장 큰 소진 원인이 되고 있는데, 이는 그들이 학교 상황에서 상담자이자 교사라는 이중적인 역할 속에서 반복되는 자해에 대처해야 하는 매우 큰 스트레스를 겪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 분석을 통해 비자살성 자해의 원인과 특징을 살펴보고, 학교상담자로서 겪게 되는 여러 가지 어려움과 함께 학교상담에서 비자살성 자해 사안의 효과적인 개입 방법을 함께 고찰해 보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nonsuicidal self-injury (NSSI) has been increasing considerably in school counseling. According to the Youth Counseling and Welfare Development Institute, the number of counseling support for NSSI adolescent in 2018 was more than three times higher than the previous year, and the average t...

주제어

참고문헌 (31)

  1. The Hankyoreh. "Adolescent self-harm counseling has tripled in a year (updated 2019 May 29). Available from: https://www.hani.co.kr/arti/society/rights/895831. 

  2. Lee DG, Ham KA, Bae BH. Adolescents' self-injurious behaviors: Suicidal self-injury and nonsuicidal self-injury in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016;28:1171-1192. 

  3. Favazza AR. Bodies under siege: self-mutilation and body modification in culture and psychiatry. Baltimore, MD: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1996. 

  4. Favazza AR, Rosenthal RJ. Diagnostic issues in self-mutilation. Psychiatr Serv 1993;44:134-140. 

  5. Kahan J, Pattison EM. Proposal for a distinctive diagnosis: the deliberate self harm syndrome (DSH). Suicide Life Threat Behav 1984;14:17-35. 

  6. Favazza AR, Conterio K. Female habitual self-mutilators. Acta Psychiatr Scand 1989;79:283-289. 

  7. Favazza AR. The coming of age of self-mutilation. J Nerv Ment Dis 1998;186:259-268. 

  8. Klonsky ED, Muehlenkamp JJ. Self-injury: a research review for the practitioner. J Clin Psychol 2007;63:1045-1056. 

  9. Jacobson CM, Muehlenkamp JJ, Miller AL, Turner JB. Psychiatric impairment among adolescents engaging in different types of deliberate self-harm. J Clin Child Adolesc Psychol 2008;37:363-375. 

  10. Chapman AL, Gratz KL, Brown MZ. Solving the puzzle of deliberate self-harm: the experiential avoidance model. Behav Res Ther 2006;44:371-394. 

  11. Roth AS, Ostroff RB, Hoffman RE. Naltrexone as a treatment for repetitive self-injurious behavior: an open-label trial. J Clin Psychiatry 1996;57:233-237. 

  12. Gould MS, Fisher P, Parides M, Flory M, Shaffer D. Psychosocial risk factors of child and adolescent completed suicide. Arch Gen Psychiatry 1996;53:1155-1162. 

  13. Lewinsohn PM, Rohde P, Seeley JR, Fischer SA. Age-cohort changes in the lifetime occurrence of depression and other mental disorders. J Abnorm Psychol 1993;102:110. 

  14. Brent DA. Risk factors for adolescent suicide and suicidal behavior: mental and substance abuse disorders, family environmental factors, and life stress. Suicide Life Threat Behav 1995;25:52-63. 

  15. Kim KY.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abuse and neglect, suicidal ideation and alexithymia among adolescents. Sookmyung University;2008. 

  16. Kim SJ. A review of the risk and protection factors of nonsuicidal self-injury. Chongsonyonhak Yongu 2017;24:31. 

  17. Moon YH. Revised 「The Child Welfare Act」 and child abuse. Hanyang Law Review 2012;23-1:215-236. 

  18. Linehan M. Cognitive-behavioral treatment of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Guilford Press;1993. 

  19. Berkel LA, Furlong AN, Hickman AA, Blue E. A qualitative examination of black college women's beliefs about abuse in relationships. Prof Psychol Res Pr 2005;54:260-266. 

  20. Kim DH. The effects of suicidal ideation and self-harm behavior on high school students' experience of bullying: Moderating effects of hopelessness and social support. Uiduk University;2014. 

  21. Lim HN. Impact of some general features of youths on family interactions, school life and peer relationships, and delinquent experience. MyongJi University;2009. 

  22. Hwang HJ. The development of friendship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Korean J Child Stud 2002;23:35-49. 

  23. Kwon HR. The effects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perceived by adolescents and internalized shame on peer relationship. Hanyang University;2012. 

  24. Yang BK, Kim KH.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coping with anxiety emotion and peer acceptance. Korean J Fam Welf 2001;6:71-87. 

  25. Kim SJ, Kim SM, Park HE, Yoon HM. Effects of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and social media addiction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non-suicidal self-harm. Journal of Wellness May 2020;15:89-101. 

  26. Kim SJ, Go GR. Self-injury and social media use among adolescents: a systematic review. Cognitive Behavior Therapy in Korea 2020;20:247-275. 

  27. Oh JY. A phenomenological study on experienced school counselors' experience of self-harm counseling. Inje University;2021. 

  28. Kim HJ, Ha YM, Jung YJ.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perspectives on how to reform school crisis management.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29:309-338. 

  29. Ha GY, Heo NS, Lee JH, Lee SM. Exploring the direction of legalization of school counseling in Korea: focus on the case of Taiwan.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020;32:997-1017. 

  30. Yun AR, Chung NW. A Review of counselor's burnout.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011;23:231-256. 

  31. Cha SY, Kim YH. A double medi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and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burnout of school counselor. The Korea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2018;15:265-28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