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나무 탄소계정을 위한 목재기본밀도 개발
Development of a Basic Wood Density for Carbon Accounting in Bamboo Forests 원문보기

한국산림과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v.112 no.2, 2023년, pp.188 - 194  

배은지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바이오소재연구소) ,  정재엽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바이오소재연구소) ,  이선정 (국립산림과학원 산림ICT연구센터) ,  노혜정 (한국산지보전협회) ,  손영모 (한국산지보전협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대나무림에 대한 탄소계정을 위하여 탄소배출계수 중 하나인 목재기본밀도를 도출하기 위하여 수행되어 졌다. 대나무는 전라남도와 경상남도에 주로 분포해 있으며, 계수 도출을 위한 표준목은 솜대, 왕대, 맹종죽 등 3수종별로 각각 101본씩을 선정하여 활용하였다. 목재기본밀도 도출은 KS F 2098 방법을 따랐다. 측정결과, 솜대의 목재기본밀도는 0.83 g/cm3, 왕대는 0.81 g/cm3, 맹종죽은 0.72 g/cm3로 각각 나타났다. 그렇지만, 우리나라는 대나무 분포 면적이 많지 않고, 맹종죽의 경우 일정 지역에 국한되어 생육하고 있다. 따라서 대나무에 적용할 수 있는 목재기본밀도는 하나로 통합하여 0.79 g/cm3로 확정하였다. 그리고 도출된 목재기본밀도에 대한 불확도를 평가한 결과, 1.61%로 낮은 불확도 값을 가져, 본 분석에서의 측정값에 대한 신뢰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번에 개발한 목재기본밀도와 기존의 바이오매스확장계수, 뿌리함량비 등을 이용하여 대나무 표준목에 대한 탄소저장량을 계산하고, 이를 확장시켜 ha단위까지 계산해 보았다. 이번 연구로 대나무의 재적을 이용하여 목재기본밀도 등 탄소배출계수 적용으로 탄소저장 및 흡수량 계산이 가능하게 되었다. 본 결과가 우리나라 탄소중립 정책 및 산림관리 방향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derive the basic wood density, one of several carbon emission factors, for carbon accounting of bamboo forests in Korea. Bamboo is mainly distributed in Jeollanam-do and Gyeongsangnam-do provinces, and 101 sample trees were selected for each of the three species (Phyllostachys ni...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대나무에 대한 경제적 가치 산정을 위한 기준은 최근 국립산림과학원에서 개체목 재적표를 만들었기 때문에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나, 재적을 탄소량으로 전환하는 즉, 환경공익적인 가치로 전환할 수 있는 탄소배출계수 중의 하나인 ‘목재기본밀도’를 본 연구에서는 찾고자 하였다.
  • 따라서 이를 고려한 대나무에 대한 탄소계정을 위해서는 새롭게 목재기본밀도가 만들어 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대나무의 주요 분포지인 경남 및 전남지역을 대상으로 IPCC에서 제시하는 방법으로 탄소배출계수 중의 하나인 목재기본밀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Bae, E.J., Son, Y.M. and Kang, J.T. 2022. Estimation of stem?taper equations and a stem volume table for Phyllostachys?pubescens Mazel in South Korea. Journal of Korean?Society of Forest Science 111(4): 622-629. 

  2.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FAO). 2020. Global?Forest Resources Assessment 2020. Food and?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pp. 164. 

  3. Greenhouse Gas Inventory and Research Center of Korea?(GIR). 2022.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y report?in Korea. Greenhouse Gas Inventory and Research?Center of Korea. pp. 435. 

  4. Huh, M.H. 1994. SAS, Analysis of variance. Freedom?Academy. Seoul. pp. 82. 

  5. Hwang, J.H., Chung, Y.G., Lee, S.T., Kim, B.B., Shin, H.C.,?Lee, K.J. and Park, K.J. 2005. Estimation of aboveground?biomass and belowground nutrient contents for a?Phyllostachys pubescens stand. Journal of Korean Society?of Forest Science 94(3): 161-167. 

  6. Iehara, T. 2008. The biomass parameters in Japan for GHG?accounting -BEF and Root-Shoot ratio, Wood density-.?Workshop on Forest Biomass and Soil Carbon Inventory?System in East Asia. pp. 22. 

  7.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2003.?Good practice guidance for land use, land-use change and?forestry. Institute for Global Environmental Strategies.?Hayama, Japan. 

  8.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2006.?2006 IPCC guidelines for national greenhouse gas?inventories, volume 4 Agriculture, forestry and other land?use. Institute for Global Environmental Strategies.?Hayama, Japan. 

  9. Jo, C.G., Back, G.W., Park, S.W., You, B.O., Jung, S.Y., Lee,?K.S. and Kim, C.S. 2017. Fertilization effects on allometric?equations and biomass in a Moso Bamboo (Phllostachys?pubescens) stand.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Science 106(4): 380-387. 

  10. Kim, C.R. 2000. SAS, a statistic box. Data Plus. pp. 592. 

  11. Kim, K.D., Kim, J.S. and Park, I.H. 1984. Studies on some?characters of culms and biomass of Sasamorpha?purpurascens var. borealis in Mt. BaeKun area. Forest?Bioenergy 49(1): 19-25. 

  12. Korea Forest Service (KFS). 2021. 2020 Forest Statistics.?Korea Forest Service. pp. 371. 

  13. Korean Standards Association (KSA). 2021. Determination of?density and specific gravity of wood. KS F 2198. 

  14. Kwak, Y.S., Back, G.W., Choi, B.G., Ha, J.S., Bae, E.J. and?Kim, C.S. 2021. Nutrient characteristics of biomass, forest?floor, and soil between plantation and expansion sites of?Phyllostachys nigra var. henonis. Journal of Korean?Society of Forest Science 110(1): 35-43. 

  15. Lee, K.S., Jung, S.Y., Son, Y.M., Lee, K.H., Bae, E.J. and?Yun, S.L. 2012. Biomass estimation of Phyllostachys?pubescens stands in KFRI, Southern Forest Research?Center.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101(1): 138-147. 

  16. Lehtonen, A., Makipaa, R., Heikkinen, J., Sievanen, R. and?Liski, J. 2004. Biomass expansion factors(BEFs) for?Scotch pine, Norway spruce and birch according to stand?age for boreal forests.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188(issues 1-3): 211-224. 

  17.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NIFoS). 2018. Resource?evaluation and implications of bamboo in Korea. NIFOS?Forest Policy Issue No. 102. 

  18. Park, I.H. and Ryu, S.B. 1996. Biomass, net production and?nutrient distribution of bamboo Phyllostachys stands in?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85(3):?453-461. 

  19. Peter, L. 2004. Biomass expansion factors and root: shoot ratios?for coniferous tree species in Great Britain. COST Action?E21 Meeting, 17 May 2004, pp. 37. 

  20. Son, Y.M., Kim, R.H, Lee, K.H., Park, H., Pyo, J.K., Kim,?S.W., Hwang, J.S. and Lee, S.J. 2014. Carbon emission?factors and biomass allometric equations by species in?Korea.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Report 14-08. pp. 97. 

  21. Son, Y.M., Lee, K.H., Kim, R.H, Pyo, J.K., Park, I.H., Son,?Y.H, Lee, Y.J. and Kim, C.S. 2010. Carbon factors in?major species for forest green gas inventory. Korea Forest?Research Institute Report 11-25. pp. 89. 

  22. Yim, J.S., Moon, G.H., Lee, M.W., Kang, J.T., Won, M.S.,?An, E.S. and Jeon, J.H. 2020 Forest Inventory in Korea.?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Research Report No.?976, pp. 244. 

  23. Zhang, J., Wang H., Ma, N. and Zhang, W. 1995. Fibre?morphology and main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of some bamboo wood of Phyllostachys. Forest Research?8(1): 54-6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