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문도서관 발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the Development of Specialized Libraries 원문보기

정보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v.40 no.2, 2023년, pp.81 - 114  

김은형 (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노영희 (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본 연구에서는 전문도서관 사서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대내·외 환경변화와 정책적 지원방안에 따라 업무영역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고, 설문조사 결과에서 분석된 현장사서들의 인식조사 결과를 토대로 전문도서관 발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이에 따른 정책적 제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개별 기관 내 도서관 위상 역할에 대한 인식에서는 도서관 발전계획 중요도에서 부정적인 의견이 58.3%, 도서관으로서 본연의 역할 수행여부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인식을 하는 것을 확인할수가 있었다. 둘째, 전문도서관의 위상을 높이기 위해서는 주요 기능과 역할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학술연구활동에 대한 인식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도서관발전종합계획 중 전문도서관 및 운영평가 인식에서는 국가 공공 정보의 대국민 서비스 확대에 대해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5년간 발전전략 중 우선 시행되어야 할 정책으로는 전문도서관 현황 갱신 및 조사를 위한 시스템 구축을 선호하는 것을 확인할 수가 있었다. 넷째, 도서관 운영평가 참여율 제고를 위한 효과적인 대안 및 개선지표에 대해 분석한 결과, 공기업 평가 항목에서 "기관 도서관 운영 평가" 항목의 가중치 부여가 평균 4.0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전문도서관 발전을 위해서는 현재 전문도서관의 현황을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고 적극적인 학술 연구를 지원하는 것이 가장 시급할 것으로 파악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specialized librarians, and the impact on the work area according to changes in the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 and policy support measures was analyzed. In this study, we tried to derive factors that affect library development and policy suggest...

주제어

표/그림 (24)

참고문헌 (20)

  1. Go, Hyeong-Geun (2002). A study on the cooperation and policy issues of special libraries and information center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3(3),?109-132. 

  2. Korean Library Association (2020). Report of National Library Management Evaluation 2020('19?Performanc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3. Lee, Eun-chul, Lee, Yong-hoon, Kang, Won-young, & Ko, Mi-kyung (2007). Actual Situation?Survey for Collecting Statistics of Specialized Libraries: Research Report on Government?Subsidies.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4. Lee, Myeong-Hee (2017), A study on information service status and librarians' perceptions on?promoting services in special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Information Science, 28(4), 157-179. http://dx.doi.org/10.14699/kbiblia.2017.28.4.157 

  5. Library law. Law No. 1854 (2021. 12. 7., all revisions). 

  6. Noh, Younghee & Park, Yang-Ha (2021). A study on issues and policy proposals of specialized?librarie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52(3), 129-155.?http://doi.org/10.16981/kliss.52.3.202109.129 

  7. Park, Sang-uk (2020). A Study on the Users' Satisfaction and Recognition After Participating?Cultural Events in the Special Library: Focusing on K Special Library. Master's thesis,?Chung-Ang University. 

  8. Park, Tae-yeon & Oh, Hyo-Jung (2020). A study on library service in the post-COVID era?through issues on media.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51(3),?251-279. http://doi.org/10.16981/kliss.51.3.202009.251 

  9. Park, Tae-yeon, Han, Hui-Jeong, Oh, Hyo-Jung, & Yang, Dongmin (2018). A study on the?librarian's key tasks of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Journal of Korean Library?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9(2), 327-356.?http://doi.org/10.16981/kliss.49.2.201806.327 

  10. President's Committee on Library and Information Policy (2019). The Third Comprehensive?Library Advancement Plan(2019-2023). Sejong: President's Committee on Library and?Information Policy. 

  11. Seong, Do-Kyung, Lee, Hwan-beom, Lee, Soo-chang, Jang, Chul-young, & Choi, In-gyu (2011).?The Use of Statistical Techniques that are Easy to Understand. Daegu: Daemyung. 

  12. Ashworth, W. & Alfred, A. (1979) Special Librarianship. London: Clive Bingley. 

  13. Enwerem, E. E., ENVULUANZA, M. A., & USUKA, E. I. (2020). The special library as a?repository of knowledge: challenges and prospects. Journal of Applied Information Science?and Technology, 13(2), 235-242. 

  14. ISO 2789 (2022). Information and documentation - International library statistics. Available:?https://www.iso.org/standard/78525.html 

  15. Murray, T. (2013). What's so special about special libraries? Journal of Library Administration,?53(4), 274-282. http://doi.org/10.1080/01930826.2013.865395 

  16. Murray, T. (2016). The forecast for special libraries. Journal of Library Administration. 56(2),?188-198. http://doi.org/10.1080/01930826.2015.1124699 

  17. Nunnally, J. C. (1978). Psychometric Theory (2nd ed.). New York: McGraw Hill. 

  18. Shumaker, D. (2009). Special Libraries(In Encyclopedia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3rd?ed). New York: Taylor and Francis 

  19. Singh, K. P. & Satija, M. P. (2006). A review of research on information seeking behaviour of?agricultural scientists: international perspectives. DESIDOC Journal of Library & Information?Technology, 26(2), 25-36. 

  20. Van, D. V. & Ferry, J. (1980). Measuring and Assessing Organizations. New York: Wiley.?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