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문도서관의 주제전문서비스 운영 현황과 사서의 인식 분석
An Analysis on Current Status of and Perception of Subject Specialized Services in Korean Special Libraries 원문보기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42 no.4, 2011년, pp.137 - 158  

황재영 (국방과학연구소 기술정보실)

초록

최근 몇 년 동안 국내 도서관 현장에서는 도서관이 처한 경영상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수시로 변하는 이용자들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대안으로 주제전문서비스가 거론된 바 있다. 전문도서관 역시 주제전문서비스 도입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으며 효율적인 운영 방안이 요구된다. 그러나 아직까지 이에 대한 체계적 연구사례는 없는듯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전문도서관에서 주제전문서비스가 어떻게 운영되고 있으며, 주제전문사서들은 주제전문서비스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에 대해 조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주제전문서비스를 시행하는 전문도서관을 대상으로 주제전문서비스 운영 일반, 주제전문사서 채용과 교육 훈련, 주제전문사서의 역할, 주제전문서비스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와 애로사항 등에 관해 설문조사를 하였다. 마지막으로 전문도서관의 주제전문서비스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발전 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subject specialized service has been suggested as a solution to overcome a difficulty of library management and to meet the quickly changing needs of library users. Introduction of subject specialized service is raised to be introduced to special libraries and efficient management system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전문도서관에서 주제전문서비스를 실제로 수행하고 있는 주제전문사서를 대상으로 심층적인 설문조사를 했고, 이를 통해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운영 현황을 파악했다는 점에서 내용적 타당성은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국내 전문도서관의 주제전문서비스 운영 현황과 인식도를 연구한 사례가 거의 전무한 상태에서 이루어진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본 연구에서 주제전문서비스 시행 도서관이라 함은 주제전문사서가 있거나, 주제전문서비스를 비교적 성공적으로 수행하고 있는 도서관으로 한정하고자 한다. 단순히 도서관 장서만 주제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거나, 기관 또는 조직명이 주제적 성격을 가지는 경우는 연구대상에서 제외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전문도서관의 주제전문서비스 운영 현황과 주제전문사서의 인식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시사점을 찾고 이를 통해 발전적인 주제전문서비스 운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내 전문도서관중에서 주제전문서비스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고 있는 사례를 중심으로 일반적인 운영 현황, 주제전문사서 채용과 교육훈련, 주제전문사서의 역할, 주제전문서비스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와 애로사항 등을 중심으로 운영 현황과 사서의 인식도를 파악하고자 한다.
  • 지금까지 도서관계에서 주제전문서비스 도입 필요성에 대해서는 모두 공감하지만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해서는 명확한 방안이 없는 실정이다. 이런 여건을 감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국내 전문도서관의 주제전문서비스 운영 현황과 실태를 비교 분석하고 이를 통해 발전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를 통해 밝혀진 분석 결과와 시사점을 간략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전문도서관의 주제전문서비스 운영 현황과 주제전문사서의 인식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시사점을 찾고 이를 통해 발전적인 주제전문서비스 운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내 전문도서관중에서 주제전문서비스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고 있는 사례를 중심으로 일반적인 운영 현황, 주제전문사서 채용과 교육훈련, 주제전문사서의 역할, 주제전문서비스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와 애로사항 등을 중심으로 운영 현황과 사서의 인식도를 파악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연구자가 직접하는 정보검색과 차별화될 수 있는 적합 정보를 적시에 제공할 수 있어야 하며, 어떤 사서가 주제전문사서가 되더라고 일정 수준이상의 서비스가 지속적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넷째, 연구자와의 커뮤니케이션 채널을 다양화해야 한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와 같은 다양한 온라인 매체를 활용해야 할 뿐만 아니라 면대면 커뮤니케이션 즉, 오프라인 커뮤니케이션도 더욱 강화할 필요가 있다.
  • 이를 위해 연구자 개인별 프로파일링 작업은 필수이며, 더 나아가 고객관계관리시스템으로 발전시켜 이를 체계화해야 한다. 둘째, 연구과제에 대한 밀착 서비스를 증진해야 한다. 주제전문사서는 연구기획단계에서부터 종결단계까지 연구 전과정에 직․간접적으로 관여할 필요가 있으며, 연구를 진행하는 과정 동안에 연구자들과 파트너쉽을 형성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문헌정보학용어에 따른사전주제전문사서의 정의는 무엇인가? 때로는 부가적으로 주제 분야의 정보서비스를 책임지거나 장서의 서지 조직화를 담당하는 사람을 말하며, 때로는 주제 서지전문가를 말한다." 한편 문헌정보학용어사전2)에서는“주제전문사서란 주제 분야에서 고도의 지식을 소유하고 있으며, 관련 주제 영역의 자료를 선정, 평가하는 업무를 담당하고 아울러 정보서비스와 서지업무를 담당하는 도서관 직원을 말한다."라고 정의하고 있는데 이는 ALA Glossary의 정의와 유사하다.
주제전문서비스의 필요성이 제기되는 배경은 무엇인가? 이러한 동향은 도서관 현장에서만 그치지 않고 문헌정보학계로도 이어져 대학도서관의 주제전문서비스 사례를 중심으로 여러 연구결과가 발표되었다. 이처럼 대학도서관을 중심으로 한 주제전문서비스의 필요성 제기와 시도 그리고 더 나아가 연구로까지 이어지는 데는 국내 도서관이 직면하고 있는 경영상의 어려움이 그 배경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주제전문서비스 도입이 현재 대학도서관이 안고 있는 여러 경영상의 어려움을 헤쳐 나갈 수 있는 하나의 해결책이 될 수 있다고 믿기 때문일 것이다. 주제전문서비스와 관련된 또 하나의 환경 변화는 이용자들의 정보서비스 요구가 더욱 전문화, 고도화, 특성화, 개인화되고 있다는 점인데 이러한 요구사항을 도서관에서 수용할 수 있는 대안 중의 하나가 바로 주제전문서비스인 것이다.
주제전문서비스 분석 프레임워크 개발 절차는 어떠한가? 주제전문서비스 분석 프레임워크 개발 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제전문서비스 관련 선행연구 논문을 망라적으로 조사하였다. 둘째, 분석 프레임워크 개발에 사용된 선행연구 논문은 주제전문서비스에 대해 최신 현황을 담고 있는지 여부, 주제전문사서의 역할을 비롯하여 전반적인 운영 현황을 다루고 있는지 여부, 전문도서관의 현황을 어느 정도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 등을 고려하여 선정하였다. 이때 주제전문서비스 교육과정 개발이나 조직(공간)의 주제화 모형과 같은 논문은 선정에서 배제하였다. 셋째, 주제전문서비스 운영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4개의 대구분과 10개의 중구분, 96개의 소구분으로 분석 프레임워크를 설계하고 선정된 6개의 논문에서 관련 항목이 한 번이라도 제시된 경우 체크 표시를 하였다.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주제전문서비스 항목이 대부분 대학도서관으로부터 도출되었지만 본 연구에서의 분석 프레임워크는 전문도서관의 환경과 특성을 반영하여 개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노영희 39 4 97 

  2. Journal of Academic Librarianship F. J. Hay 16 1 11 

  3.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안인자 42 4 533 

  4. 정보관리학회지 노동조 26 2 43 

  5. 한국비블리아학회지 노영희 20 1 101 

  6. 한국의학도서관 이수정 30 1 27 

  7. 한국문헌정보학회지 강미혜 36 3 49 

  8. Journal of librarianship and information science Stephen Pinfield 33 1 32 10.1177/096100060103300104 

  9. Journal of academic librarianship Sonja L. McAbee 31 1 19 10.1016/j.acalib.2004.09.006 

  10. Journal of Medical Librariy Association Michele R. Tennant 94 4 40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