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해상도 위성영상으로부터 건물 정위 레이어 자동추출
Automated Extraction of Orthorectified Building Layer from High-Resolution Satellite Images 원문보기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39 no.3, 2023년, pp.339 - 353  

김승희 (인하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  김태정 (인하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고해상도 위성영상의 제공이 증가함에 따라 위성영상의 위치정확도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 기복변위를 제거하고 인공지물의 정위가 수립된 정사영상 생성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에 구축된 건물 높이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원본 위성영상에서의 건물 옥상면과 건물포함영역을 자동으로 추출하였다. 이후 추출된 건물 옥상면을 정위치 편집하여 건물 정위 레이어(layer)를 생성하였다. 추출된 건물포함영역을 이용하여 위성영상에서 건물영역을 공백 처리하여 비건물 정위 레이어를 생성하였다. 이후, 실감정사 건물레이어와 실감정사 비건물레이어를 중첩하여 최종 정사영상을 제작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은 KOMPSAT-3 및 KOMPSAT-3A 위성영상을 이용해 실험하였으며, 실험 결과를 수치지형도와 중첩하여 검증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건물 정위 레이어는 0.4 m의 위치 오차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안 방법을 통해 도심지역에 대한 자동 실감정사영상 생성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the availability of high-resolution satellite imagery increases, improvement of positioning accuracy of satellite images is required. The importance of orthorectified images is also increasing, which removes relief displacement and establishes true localization of man-made structures. In this pap...

주제어

표/그림 (2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기존에 국가 주도 사업으로 구축된 건물 높이 DB를 이용하여 건물 옥상 영역의 정위 수립 레이어를 자동으로 추출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추출한 정위 레이어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 과정에서 DB 내부정확한 건물 높이값이 있는 경우, 육안 분석을 통해 수동으로 높이값을 추정하여 건물의 정위를 수립하였다.

가설 설정

  • 향후 정위 레이어에 밝기 값을 입력하기 위해 먼저 옥상 영역에 해당하는 픽셀에 고도 값을 입력한다. 이때 동일한 건물의 옥상 영역은 평면으로 같은 고도 값을 지닌다고 가정하여, 하나의 옥상영역에 해당하는 픽셀들은 해당 건물 옥상점들의 Z값 평균을 입력한다. 따라서 정위 레이어 추출을 위한 옥상 영역 마스크를 생성하였다.
  • 추출한 건물 옥상 및 지면 영역을 바탕으로 건물로 인해 발생한 전체 기복변위 영역을 검출한다. 전체 건물 영역은 건물의 옥상 영역, 건물 지면 영역 그리고 건물 전면 영역을 모두 합한 영역으로 가정하였다. 건물의 지면에서부터 옥상까지의 지상좌표 X, Y는 동일하나 서로 다른 Z값을 지니므로 서로 다른 영상 점에 매핑된다.
  • 컨투어에 속한 점들을 연결하여 폐합 폴리곤(polygon)을 생성하였고, 해당 폴리곤 내 위치한 픽셀들이 건물 옥상 영역에 해당한다고 가정하였다. 향후 정위 레이어에 밝기 값을 입력하기 위해 먼저 옥상 영역에 해당하는 픽셀에 고도 값을 입력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Amhar, F., Jansa, J., and Ries, C., 1998. The generation of?true orthophotos using a 3D building model in?conjunction with a conventional DTM. International?Archives of Photogrammetry and Remote Sensing,?32, 16-22. https://www.isprs.org/proceedings/xxxii/part4/jansa57.pdf 

  2. Goncalves, J. A., 2006. Registration of a IKONOS image to?a digital surface model and true orthorectification.?In Proceedings of the 2006 26th Annual Symposium?of the European Association of Remote Sensing?Laboratories (EARSeL), Warsaw, Poland, May?29-June 2, pp. 659-666. http://www.earsel.org/symposia/2006-symposium-Warsaw/pdf/1350.pdf 

  3. Jeong, J., Lee, T., Kim, T., and Park, W., 2008. Research?for DEM and ortho-image generated from high?resolution satellite images. In Proceedings of the?2008 Korean Society of Remote Sensing Conference,?Seoul, Korea, Mar. 20-21, pp. 80-85. 

  4. Kang, G. S., Shin, S. C., and Cho, K. J., 2003. Change?detection using the IKONOS satellite images.?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Science, 11(2), 61-66. 

  5.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2021. National?base map building height DB construction and?3D national base map research. Ministry of Land,?Infrastructure and Transport, National Geographic?Information Institute. https://www.ngii.go.kr/other/file_down.do?sq90882 

  6. Park, H., Son, J. H., Jung, H. S., Kweon, K. E., Lee,?K. D., and Kim, T., 2020. Development of the?precision image processing system for CAS-500.?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36(5-2), 881-891. https://doi.org/10.7780/kjrs.2020.36.5.2.3 

  7. Piero, B., Borgogno Mondino E. C., Fabio, G. T., and?Andrea, L., 2004. Orthorectification of high?resolution satellite images. In Proceedings of the?International Archives of the Photogrammetry,?Remote Sensing and Spatial Information Sciences?(ISPRS Archives), Istanbul, Turkey, July 12-23,?pp. 30-35. https://www.academia.edu/download/40735640/6.pdf 

  8. Qin, Z., Li, W., Li, M., Chen, Z., and Zhou, G., 2003.?A methodology for true orthorectification of?large-scale urban aerial images and automatic?detection of building occlusions using digital?surface model. In Proceedings of the 2003 IEEE?International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Symposium (IGARSS), Toulouse, France, July?25-27, pp. 729-731. https://doi.org/10.1109/IGARSS.2003.1293898. 

  9. Yoon, W., Park, H., and Kim, T., 2018. Feasibility analysis?of precise sensor modelling for KOMPSAT-3A?imagery using unified control points. Korean?Journal of Remote Sensing, 34(6-1), 1089-1100.?https://doi.org/10.7780/KJRS.2018.34.6.1.19 

  10. Zhou, G., Chen, W., Kelmelis, J. A., and Zhang, D.,?2005. A comprehensive study on urban true?orthorectification. IEEE Transactions on Geoscience?and Remote Sensing, 43(9), 2138-2147. https://doi.org/10.1109/TGRS.2005.848417 

  11. Zhou, G. and Wang, Y., 2016. Occlusion detection for?urban aerial true orthoimage generation. In?Proceeding of the 2016 IEEE International?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Symposium?(IGARSS), Beijing, China, July 10-15, pp. 3009-3012. https://doi.org/10.1109/IGARSS.2016.7729778 

  12. Zhou, G., Wang, Q., Huang, Y., Tian, J., Li, H., and?Wang, Y., 2022. True2 orthoimage map generation.?Remote Sensing, 14(17), 4396. https://doi.org/10.3390/rs1417439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