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족친화적 지역사회 특성과 초등학령기 자녀를 둔 취업모의 삶의 만족도 : 일-가족 갈등 및 촉진의 매개효과
Family-Friendly Community Characteristics and Life Satisfaction of Working Mothers with Elementary School-Age Children: Mediation Effects of Work-Family Conflict and Facilitation 원문보기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and policy review, v.27 no.2, 2023년, pp.1 - 17  

박인숙 (서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가족친화적 지역사회 특성이 초등학령기 자녀를 둔 취업모의 삶의 만족도에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를 살펴보고 그 관계가 취업모의 일-가족 갈등과 촉진에 의해 매개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PSKC) 11차년 자료(2019) 중 취업모 627명의 응답자료를 사용하였고, PROCESS를 사용하여 다중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웃의 지지수준이 높을수록 일-가족 촉진이 유의하게 높으며 이는 삶의 만족도를 유의하게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양육환경 적절성과 지역사회 서비스인프라 이용만족도는 일-가족 촉진을 높이고 갈등을 낮추는 것을 통해 삶의 만족도와 유의한 관련성을 보이는 간접효과를 확인하였다. 특히, 양육환경 적절성은 일-가족 갈등 및 촉진에 의한 간접효과 외에도 삶의 만족도에 직접적으로 관련된 변인으로 나타났다. 반면, 지역사회 서비스인프라 접근 편리성은 일-가족 촉진을 낮춰 삶의 만족도를 낮추는 것으로 나타나, 이와 관련한 후속연구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지역사회의 가족친화적 특성이 취업모의 일-가족 상호접점에 유의하게 관련된 요인임을 확인하고, 지역사회차원에서 이러한 특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노력을 지속적으로 확대해야 할 경험적 근거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friendly community characteristics and the life satisfaction of working mothers with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investigated whether the relationship was mediated by work-family conflict and facilitation of working mothers. For the analysis, t...

주제어

참고문헌 (59)

  1. 강지원.이세미(2015). 아동. 청소년 돌봄 정책 현황 분석.?보건복지포럼, 225, 60-70. 

  2. 곽현근(2008). 지역사회 사회자본에 미치는 동네효과에 관한 연구. 지방정부연구, 11(4), 59-86. 

  3. 김선미(2005). 맞벌이 가족의 자녀양육방식을 통해 본 아동양육지원의 정책적 함의. 가정과삶의질연구, 23(6), 105-116. 

  4. 김소영(2017). 지역사회의 가족친화성과 일하는 어머니의?일-가족 양립 갈등. 가정과삶의질연구, 35(4), 157-172. DOI: 10.7466/JKHMA.2017.35.4.157. 

  5. 김소영(2018). 가족, 일, 지역사회의 자원과 유자녀 취업 여성이 경험하는 가족에서 일로의 갈등과 촉진. Family and?Environment Research, 56(1), 55-69. DOI : 10.6115/fer.2018.004. 

  6. 김준기.양지숙(2012). 기혼여성의 일-가정 양립에 영향을?미치는 요인 분석: 사회적 지원의 효과를 중심으로. 행정논총, 50(4), 251-280. 

  7. 김현동.김명희(2011). 기혼여성직장인의 가치관에 따른?직장과 가정의 긍정적 전이과정 탐색. 여성연구, 81(2),?33-67. DOI : 10.33949/tws.2011.2.002. 

  8. 김혜영.홍승아.이택연.선보영.진미정.홍성만?(2009). 가족친화 사회환경 조성 실태조사. 보건복지부.한국여성정책연구원. 

  9. 노신애.진미정(2012). 가족친화적 지역사회 인식이 미취학자녀 부모의양육 효능감 및 양육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가정과삶의질연구, 30(3), 135-149. DOI : 10.7466/JKHMA.2012.30.3.135. 

  10. 노신애.진미정(2013). 지역사회 범위에 대한 주관적 인식과 가족친화성 평가: 서울시 거주 미취학자녀 부모를 대상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8(3), 279-294. 

  11. 박인숙.이재림(2022). 초등학생 자녀를 둔 취업모의 일-가족. 양육 갈등 및 향상 유형: 다양한 예측 요인과 심리적결과.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26(2), 19-36. DOI : 10.22626/jkfrma.2022.26.2.002. 

  12. 박정민.진미정(2022). 초등학교 고학년의 방과 후 시간사용과 시간부족감: 2009, 2019년 생활시간조사 비교. 인간발달연구, 29(4), 31-48. DOI : 10.15284/kjhd.2022.29.4.31. 

  13. 박주희(2010). 가족친화적 생활환경 요소가 유자녀 기혼남녀의 다중역할 수행의 효과에 미치는 영향: 거주환경 만족도, 가족지원시설만족도, 가족지원 프로그램만족도, 양육 및 교육환경 만족도, 생활환경 정보의 접근성을 중심으로.?가정과삶의질연구, 28(5), 53-66. 

  14. 배상영.강윤경.안소영.홍세희(2020). 청소년의 사회적 자본이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와 휴대전화 의존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한국청소년연구, 31(2), 263-290. DOI : 10.14816/sky.2020.31.2.263. 

  15. 법제처(2020). 가족친화 사회환경의 조성 촉진에 관한 법률.?https://www.law.go.kr/LSW/lsSc.do?dt20201211&subMenuId15&menuId1&query%EA%B0%80%EC%A1%B1%EC%B9%9C%ED%99%94#undefined에서 2023. 03 인출 

  16. 손보영.김수정.박지아.김양희(2012). 바람직한 부모양육태도가 초기청소년의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학교생활 적응 및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성차비교. 한국청소년연구, 23(1), 149-173. 

  17. 손영미.박정열(2015). 일과 삶의 균형에 영향을 미치는 가정, 조직, 지역사회변인의 영향력에 대한 국가비교연구: 한국, 일본, 영국 기혼여성근로자를 중심으로.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19(2), 51-74. 

  18. 신미.전성희.유미숙(2010). 청소년의 삶의 만족과 안녕에 관한 요인 연구. 청소년학연구, 17(9), 131-150. 

  19. 신화경.조인숙(2013). 가족친화 주거환경을 위한 지역 커뮤니티 평가 및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초등학교 이하 자녀를?둔 주부를 중심으로. 한국주거학회논문집, 24(6), 177-187.?DOI : 10.6107/JKHA.2013.24.6.177. 

  20. 유재언.진미정(2012). 도시화 규모에 따른 미취학자녀 부모의 지역사회 가족친화성 인식: 대도시, 중소도시, 농어촌의 비교. 가정과삶의질연구, 30(6), 39-51. DOI : 10.7466/JKHMA.2012.30.6.039. 

  21. 유재언.진미정(2013). 보육서비스 인프라가 영유아 부모의 지역사회 가족친화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 25개구를 중심으로. 가정과삶의질연구, 31(3), 63-79. DOI : 10.7466/JKHMA.2013.31.3.063. 

  22. 윤연정.이미숙(2019).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행복감에?영향을 미치는 부와 모의 양육특성. 가정과삶의질연구,?37(4), 71-86. DOI : 10.7466/JKHMA.2019.37.4.71. 

  23. 윤희상.한영란(2008). 취약계층 초등학교 고학년 방과후?교실 아동의 건강증진행위 실천의 영향요인 분석. 지역사회간호학회지, 19(2), 167-176. 

  24. 정영금(2007). 지역사회의 지원을 통한 일-가족 균형.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11(1), 37-51. 

  25. 정춘식(2014). 초등학교 고학년 시기의 방과후 자기보호 경험이 이후 정서발달에 미치는영향.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6. 조성은.정지영.한지수(2009). 일-가정 균형을 위한 지역?사회의 자녀 돌봄 지원 실태에 대한 연구: 서울, 경기지역 맞벌이 가정을 중심으로.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13(1), 147-168. 

  27. 진미정(2018). 가족정책 관점에서의 가족친화 지역사회 개념화. 한국가족복지학, 23(2), 337-361. 

  28. 차성란(2010). 가족친화마을만들기를 위한 모델 및 핵심 요소. 가정과삶의질연구, 28(2), 63-76. 

  29. 차성란(2020). 돌봄공동체 리더들이 인식하는 가족친화마을환경 개념에 대한 사례연구-제주지역 이주민 돌봄공동체?리더를 중심으로.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24(3), 55-77. DOI: 10.22626/jkfrma.2020.24.3.004. 

  30. 최정숙(2011). 일-가족 역할갈등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학령기 자녀를 둔 전문직 여성을 중심으로. 정신건강과 사회복지, 39, 214-247. 

  31. 통계청(2022). 2021년 하반기 지역별고용조사 맞벌이 가구?및 1인 가구 고용 현황 보도자료. 통계청 

  32. 통계청(2023). 자녀연령별 맞벌이 가구 현황. https://www.index.go.kr/unity/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3037에서 2023. 03 인출 

  33. 한국건강가정진흥원(2022). 2021 가족지원사업 연간결과?보고서. 한국건강가정진흥원. 

  34. 한국아동패널(2023). 한국아동패널 소개. https://panel.kicce.re.kr/pskc/html.do?menu_idx50에서 2023. 03 인출 

  35. 홍승아.김혜영.류연규(2007). 가족친화적 사회환경 구축방안 연구-직장.지역사회의 모형개발을 중심으로. 서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36. 홍승애.이재연(2014). 지역사회 환경에 대한 아동.청소?년의 인식. 아동과 권리, 18(2), 303-330. 

  37. 홍예지(2021). 초등학생 자녀를 둔 취업모의 일-가정 균형의 잠재전이분석: 일-가정 균형의 유형 및 유형 간 전이의 예측요인 검증을 중심으로.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59(2), 199-213. DOI : 10.6115/fer.2021.015. 

  38. Amstad, F. T., Meier, L. L., Fasel, U., Elfering, A. &?Semmer, N. K.(2011). A meta-analysis of work-family?conflict and various outcomes with a special emphasis on?cross-domain versus matching-domain relations. Journal?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16(2), 151-169. DOI: 10.1037/a0022170. 

  39. Demerouti, E. & Geurts, S.(2004). Towards a typology of?work-home interaction. Community, Work & Family,?7(3), 285-309. DOI : 10.1080/1366880042000295727. 

  40. Diener, E. D., Emmons, R. A., Larsen, R. J. & Griffin, S.?(1985).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Journal of Personality?Assessment, 49(1), 71-75. DOI : 10.1207/s15327752jpa4901_13. 

  41. Grzywacz, J. & Marks, N.(2000). Reconceptualizing the?work-family interface: An ecological perspective on the?correlates of positive and negative spillover between work and?family.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5(1),?111-126. DOI : 10.1177/0192513X05277542. 

  42. Hayes, A. F., Montoya, A. K. & Rockwood, N. J.(2017).?The analysis of mechanisms and their contingencies:?PROCESS versu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ustralasian?Marketing Journal, 25(1), 76-81. DOI : 10.1016/j.ausmj.2017.02.001. 

  43. Kaufmann, G. M. & Beehr, T. A.(1986). Interactions?between job stressors and social support: Some counterintuitive result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1(3),?522-526. DOI : 10.1037/0021-9010.71.3.522. 

  44. Mancini, J. A., Bowen, G. L. & Martin, J. A.(2005).?Community social organization: A conceptual linchpin in?examining families in the context of communities. Family?Relations, 54(5), 570-582. DOI : 10.1111/j.1741-3729.2005.00342.x. 

  45. Mannon, S. E. & Brooks, W. T.(2006). Neighborhood?family-friendliness and its effect on family relations:?Evidence from Utah. Sociological Spectrum, 26(4), 405-421.?DOI : 10.1080/02732170600659165. 

  46. Marshall, N. L. & Barnett, R. C.(1993). Work-family?strains and gains among two-earner couples.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21(1), 64-78. 

  47. Minnotte, K. L., Pedersen, D. E. & Mannon, S. E.(2013).?Work and family stressors and the quality of father-child?relationships: Do neighborhood resources matter?.?Sociological Focus, 46(1), 68-84. DOI : 10.1080/00380237.2013.740993. 

  48. Skinner, N. & Ichii, R.(2015). Exploring a family, work,?and community model of work-family gains and strains.?Community, Work & Family, 18(1), 79-99. DOI : 10.1080/13668803.2014.981507. 

  49. Sweet, S., Swisher, R. & Moen, P.(2005). Selecting and?assessing the family-friendly community: Adaptive strategies?of middle-class, dual-earner couples. Family Relations,?54(5), 596-606. DOI : 10.1111/j.1741-3729.2005.00344.x. 

  50. Swisher, R., Sweet, S. & Moen, P.(2004). The family friendly?community and its life course fit. Journal of Marriage and?Family, 66(2), 281-292. DOI : 10.1111/j.1741-3737.2004.00020.x. 

  51. Voydanoff, P.(2004). Community as a context for the?work-family Interface. Organization Management Journal,?1(1), 49-54. DOI : 10.1057/omj.2004.12. 

  52. Voydanoff, P.(2005a). The differential salience of family?and community demands and resources for family-to-work conflict and facilitation. Journal of Family and?Economic Issues, 26(3), 395-417. DOI : 10.1007/s10834-005-5904-7. 

  53. Voydanoff, P.(2005b). Social integration, work-family?conflict and facilitation, and job and marital quality.?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7(3), 666-679. DOI :10.1111/j.1741-3737.2005.00161.x. 

  54. Voydanoff, P.(2005c). The effects of community demands,?resources, and strategies on the nature and consequences?of the work-family interface: An agenda for future?research. Family Relations, 54(5), 583-595. DOI : 10.1111/10.1111/j.1741-3729.2005.00343.x. 

  55. Voydanoff, P.(2008). A conceptual model of the workfamily interface. In K. Korabik, D. S. Leno, & D. L.?Whitehead (Eds), Handbook of Work-Family Integration:?Research, Theory, and Best Practices (pp. 141-156). CA:?Elsevier. 

  56. Warr, P.(1978). A study of psychological well-being.?British Journal of Psychology, 69(1), 111-121. DOI :?10.1111/j.2044-8295.1978.tb01638.x. 

  57. Young, M.(2015). Work-family conflict in context:?The impact of structural and perceived neighborhood?disadvantage on work-family conflict. Social Science?Research, 50, 311-327. DOI : 10.1016/j.ssresearch.2014.12.001. 

  58. Young, M. & Montazer, S.(2018). Neighborhood effects?on immigrants' experiences of work-family conflict and?psychological distress. Society and Mental Health, 8(1),?25-49. DOI : 10.1177/2156869317720713. 

  59. Zhang, Y., Xu, S., Jin, J. & Ford, M. T.(2018). The within?and cross domain effects of work-family enrichment: A?meta-analysi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104, 210-227.?DOI : 10.1016/j.jvb.2017.11.003.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