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유아와 초등학생 자녀를 둔 여성 근로자의 직장-가정 갈등이 가정 및 직장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가족친화제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Influence of Work-Family Conflict on Family and Job Satisfaction of Working Mothers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Family-Friendly Benefit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9 no.12, 2019년, pp.101 - 112  

김동희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  정선아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이하 자녀를 둔 여성근로자가 가족친화제도를 쉽게 이용할 수 있는지 살펴보고, 가족친화제도 이용용이성여부가 직장-가정 갈등이 가정 및 직장생활만족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완화할 수 있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여성관리자패널조사(Korean Women Manager Panel) 6차 자료를 이용하여 초등학생 이하의 자녀를 가진 538명의 여성근속자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직장-가정갈등과 직장생활만족과의 관계에서 가족친화제도의 유형인 시간유연성제도, 경력유연성제도, 근로자지원제도 모두 유의미한 조절효과를 보였다. 가정생활만족에 조절효과를 나타낸 것은 경력유연성제도가 유일했다. 유능한 여성근로자들이 경력을 단절하지 않고 자녀를 양육하며 일할 수 있도록 가족친화제도를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환경확산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기업과 정부차원의 적극적 지원을 제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vailability of family-friendly systems for female workers with children under elementary school, and to verify that the availability of family-friendly systems can mitigate the negative effects of workplace-home conflicts on family and work-life satisfact...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영유아와 초등학생 자녀를 둔 여성 근로자의 직장-가정갈등, 가정 및 직장생활만족, 가족 친화제도 이용 용이성 현황을 유형별로 나누어 파악하고 영유아와 초등학생 자녀를 둔 여성 근로자의 직장-가정갈등과 가정 및 직장생활만족 관계에서, 가족친화 제도를 쉽게 사용할 수 있는지 여부가 직장-가정 갈등이 가정 및 직장생활만족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완화할 수 있는지 살펴보려고 한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 영유아와 초등학생 자녀를 둔 여성근로자들의 직장과 가정생활의 만족도를 높이는데 필요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여성관리자패널에서는 개인, 가정, 직장, 전반적인 영역의 만족을 묻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정과 직장생활에 얼마나 만족하는지를 각각 분석하였다. 직장생활 만족과 가족생활만족의 응답은 매우 불만족(1점)에서 매우 만족(5점)까지, 5점 리커르트 척도로 구성되어 있다.
  • 근로자지원 제도의 경우, 직장내 보육시설 및 보육비 지원이 대표적이며 육아로 인한 시간적 부담과 경제적 부담을 직장이 지원해 줌으로, 근로자의 직장-가정 갈등을 완화시켜 주는 변인으로 보고되고 있다[20][22]. 본 연구에서도 가족친화제도를 세 가지로 나누어 가족친화적제도의 이용 용이성을 다루고자 한다. 여기서 이용 용이성은 ‘제도를 쉽게 사용할 수 있는지’ 여부이다[43].
  •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 및 초등학생 자녀를 둔 여성 근로자의 직장-가정 갈등이 가정생활만족과 직장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가족친화제도 이용 용이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기존의 연구들은 초등학생자녀를 둔 여성근로자 역시 저학년 자녀의 이른 하교와 교육환경의 변화로 인한 양육 부담이 큼에도 연구대상에서 배제된 경우가 많았는데 여성근로자의 현실적인 상황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미취학 자녀뿐만 아니라, 초등학생 자녀 둔 여성근로자까지 대상을 확대하였다는 점과 가족친화제도의 유형별 이용 용이성을 주요변수로 사용하여 직장-가정갈등과 가정생활만족 및 직장생활만족관계의 조절효과를 구체적으로 살펴본 것이 본 연구의 의의라 하겠다[13-15][48].
  • 본 연구는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이 여성 관리자와 각기업의 인사담당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여성관리자패널 조사(Korean Women Manager Panel) 6차 자료를 이용하였다. 여성관리자패널조사는 여성 관리자의 근로 환경, 경력개발, 직장-가정 양립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007년 완료된 1차 데이터부터 2016년 완료된 6차 데이터까지 공개되었다.
  • 이를 토대로 본 연구는 일과 양육을 병행하며 조직의 지원이 무엇보다 절실한 여성근로자들의 건강한 삶을 위해 가족친화제도 이용용이성이 직장가정갈등의 부정적 영향을 조절하는지 여부를 살펴보고자 한다. 여성근로자의 직장과 가정에서의 만족은 궁극적으로 이들의 직무수행유지와도 관련이 있을 것으로 사료되어 더 의미가 있다 할 것이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영유아와 초등학생 자녀를 둔 여성 근로자의 직장-가정갈등, 가정 및 직장생활만족, 가족 친화제도 이용 용이성 현황을 유형별로 나누어 파악하고 영유아와 초등학생 자녀를 둔 여성 근로자의 직장-가정갈등과 가정 및 직장생활만족 관계에서, 가족친화 제도를 쉽게 사용할 수 있는지 여부가 직장-가정 갈등이 가정 및 직장생활만족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완화할 수 있는지 살펴보려고 한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 영유아와 초등학생 자녀를 둔 여성근로자들의 직장과 가정생활의 만족도를 높이는데 필요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가설 2. 가족친화제도를 쉽게 사용할수록 가정 및 직장생활만족은 높아질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경력 유연성 제도의 장점은? 시간선택 근무제는 출퇴근 시간을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자녀가 있는 근로자에게는 매우 유용한 제도라 할 수 있다. 경력 유연성 제도는 육아휴직이 대표적 제도로, 출산 전후로 휴직을 사용하면 경력단절 없이 직장으로 돌아올 수 있도록 지원하기 때문에 출산과 양육을 담당하는 여성근로자의 경력단절을 예방할 수 있는 실질적 지원이자 주요기제가 된다. 근로자지원 제도의 경우, 직장내 보육시설 및 보육비 지원이 대표적이며 육아로 인한 시간적 부담과 경제적 부담을 직장이 지원해 줌으로, 근로자의 직장-가정 갈등을 완화시켜 주는 변인으로 보고되고 있다[20][22].
시간선택 근무제의 특징은 무엇인가? 가족친화제도는 시간유연성 제도(임신기근로시간단 축제, 육아기근로시간단축제, 시간출퇴근제 등), 경력유 연성 제도(출산휴가, 병가, 육아휴직, 가족간호휴가 연수휴직 등), 근로자 지원제도(직장보육시설, 학비, 보육비 지원, 선택적 복리후생제도)로 나눌 수 있다. 시간선택 근무제는 출퇴근 시간을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자녀가 있는 근로자에게는 매우 유용한 제도라 할 수 있다. 경력 유연성 제도는 육아휴직이 대표적 제도로, 출산 전후로 휴직을 사용하면 경력단절 없이 직장으로 돌아올 수 있도록 지원하기 때문에 출산과 양육을 담당하는 여성근로자의 경력단절을 예방할 수 있는 실질적 지원이자 주요기제가 된다.
중소기업이 가족친화제도를 쓰기 어려운 이유는? 그런데 기업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중소기업은 대기업에 비해 가족친화제도를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기 어렵다. 특히나 규모가 작은 영세 기업은 여성 근로자 한 명이 육아휴직을 쓰더라도 타격이 크기 때문에 정부에서 보조금을 지원해주긴 하지만, 새로운 인력을 구하기 어렵고, 새로운 인력을 구한다고 해도 업무가 익숙해지기까지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중소 기업에서는 여성 근로자가 육아휴직을 사용하는 것을 꺼리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부 차원에서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0)

  1. http://kosis.kr/search/search.do 

  2. http://blog.naver.com/mj6783/130083408411 

  3. 김경화, "영유아와 초등학생 자녀를 둔 남녀취업자의 일/가족 갈등 인식," 가족과 문화, 제25호, pp.60-90, 2013. 

  4. 강혜련, 최서연, "기혼여성 직장-가정 갈등의 예측변수와 결과변수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제6권, 제1호, pp.23-42, 2001. 

  5. 문선희, "기업복지제도가 기혼 직장여성의 가정생활과 직무 만족에 미치는 영향: 가족친화제도의 효과,"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제18권, 제1호, pp.119-141, 2013. 

  6. 박경환, "기혼 여성관리자의 일. 가정 관계가 관리 능력, 직무만족, 조직몰입, 그리고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영학회지, 제25권, 제2호, pp.879-905, 2012. 

  7. 오현규, 박성민, "일과 삶의 균형 정책이 조직 구성원 들의 직무 및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력 연구," 한국 행정논집, 제26권, 제4호, pp.901-929, 2014. 

  8. 이유덕, "가족친화경영이 조직성과와 가정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인적자원관리연구, 제18권, 제2호, pp.71-83, 2011. 

  9. P. Brough, M. P. O'driscoll, and T. J. Kalliath, "The ability of 'family friendly'organizational resources to predict work-family conflict and job and family satisfaction," Stress and Health: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Society for the Investigation of Stress, Vol.21, No.4, pp.223-234, 2005. 

  10. 양소남, 신창식, "어린 자녀를 둔 일하는 어머니의 일 가족양립 고충," 보건사회연구, 제31권, 제3호, pp.70-103, 2011. 

  11. 강민재, 최수찬, 조영은, "기혼 근로자의 일-가정 전이가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가족친화제도 유용성 인식의 조절효과,"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제52호, pp.119-145, 2017. 

  12. 최수찬, 김종성, "중소기업 기혼 근로자의 직장-가정갈등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기업 내 가족친화제도의 조절효과," 사회복지 실천과 연구, 제13권, 제1호, pp.147-176, 2016. 

  13. 김은정, "미취학자녀를 둔 취업여성의 일가정양립정책 인지도와 이용의향,"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제24권, 제2호, pp.617-642, 2013. 

  14. 이지선, 최영훈, "미취학자녀를 둔 여성근로자가 경험하는 직장-가정 갈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교육, pp.121-147, 2013. 

  15. 이정은, "미취학 자녀를 둔 여성근로자의 직장-가정적합성," 가족과 문화, 제24권, pp.71-104, 2012. 

  16. J. H. Greenhause and N. J. Beatell, "Souces of conflict between work and family roles," Th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10, No.1, pp.76-88, 1985. 

  17. J. G. Grzywacz and N. F. Marks, "Reconceptualizing the work-family interface: An ecological perspective on the correlates of positive and negative spillover between work and family,"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Vol.5, No.1, pp.111-126, 2000. 

  18. 김경화, "영유아와 초등학생 자녀를 둔 남녀취업자의 일/가족 갈등 인식," 가족과 문화, 제25권, pp.60-90, 2013. 

  19. 최하영, 이소민, 이호택, "미취학 자녀를 둔 여성관리자의 직장-가정 간 전이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여성연구, pp.151-191, 2017. 

  20. 최수찬, 고수연, 이지연, 이희종, "직장보육시설을 이용하는 여성근로자들의 일-가정양립갈등과 생활만족 간의 관계: 직무디스트레스의 역할,"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8호, pp293-303, 2015. 

  21. N. K. Frye and J. A. Breaugh, "Family-friendly policies, supervisor support, work-family conflict, family-work conflict, and satisfaction: A test of a conceptual model," Journal of Business and Psychology, Vol.19, No.2, pp.197-220, 2004. 

  22. 김효선, 차운아, "직장-가정 간 상호작용과 가족친화적 조직지원이 근로자의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산업 및 조직, 제22권, 제4호, pp.515-540, 2009 

  23. G. A. Adams, L. A. King, and D. W. King, "Relationships of job and family involvement, family social support, and work-family conflict with job and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81, No.4, pp.411-420, 1996. 

  24. E. Ernst Kossek and C. Ozeki, "Work-family conflict, policies, and the job-life satisfaction relationship: A review and directions for organizational behavior-human resources research,"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83, No.2, pp.139-149, 1998. 

  25. E. Diener, R. A. Emmons, R. J. Larsen, and S. Griffin,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Vol.49, No.1, pp.71-75, 1985. 

  26. D. C. Shin and D. M. Johnson, "Avowed happiness as an overall assessment of the quality of life," Social Indicators Research, Vol.5, No.1-4, pp.475-492, 1978. 

  27. R, Ilies, K. S. Wilson, and D. T. Wagner, "The spillover of daily job satisfaction onto employees' family lives: The facilitating role of work-family integration,"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52, No.1, pp.87-102, 2009. 

  28. U. Kinnunen*, S. Geurts, and S. Mauno, "Work-to-family conflict and its relationship with satisfaction and well-being: A one-year longitudinal study on gender differences," Work & Stress, Vol.18, No.1, pp.1-22, 2004. 

  29. 가영희, "성인의 직장-가정갈등이 영역별 만족도와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제11권, 제2호, pp.163-186, 2006. 

  30. 장재윤, 김혜숙, "직장-가정간 갈등이 삶의 만족 및 직무 태도에 미치는 효과에 있어서의 성차,"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제9권, 제1호, pp.23-42, 2003. 

  31. A. G. Bedeian, B. G. Burke, and R. G. Moffett, "Outcomes of work-family conflict among married male and female professionals," Journal of management, Vol.14, No.3, pp.475-491, 1988. 

  32. 김민정, "맞벌이 가정의 아동복지감과 맞벌이 어머니의 부모역할 만족도와의 관계," 아동학회지, 제27권, 제2호, pp.15-37, 2006. 

  33. 유계숙, "가족친화적 조직문화가 근로자의 일-가족조화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26권, 제5호, pp.27-37, 2008. 

  34. 권태희, "유연근로가 여성 관리자의 직장-가정양립에 미치는 효과," 여성연구, 제78호, pp.5-30, 2010. 

  35. 안은정, 신은종, "일-가정 양립제도가 조직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산업관계연구, 제20권, 제4호, pp.177-216, 2010. 

  36. 최수찬, 이지선, 이은혜, "중소기업 기혼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직장 가정갈등(WFC)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8호, pp.271-279, 2015. 

  37. 김영조, 이유진, "가족친화제도가 여성 근로자의 경력몰입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사회적 지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인적자원관리연구, 제19권, 제3호, pp.71-99, 2012. 

  38. 김지영, 구유정, "유자녀 기혼여성에 대한 사회적 지원체제가 일-가정간의 상호전이를 매개로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HRD 연구, 제20권, 제2호, pp.113-140, 2018. 

  39. O. E. Amah, "Family-Work Conflict and The Availibility of Work-Family Friendly Policy relationship in Married Employees: The Moderating role of Work Centrality and Career Consequence," Research & Practice in Human Resource Management, Vol.18, No.2. pp.35-46, 2010. 

  40. N. J. Beutell, "Work schedule, work schedule control and satisfaction in relation to work-family conflict, work-family synergy, and domain satisfaction," Career Development International, Vol.15, No.5, pp.501-518, 2010. 

  41. http://www.oecd.org/ 

  42. 수몬이, 노현탁, "가족친화제도 활용과 여성관리자의 조직몰입,"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제38호, pp.27-52, 2014. 

  43. J. W. Budd and K. A. Mumford, "Familyfriendly work practices in Britain: Availability and perceived accessibility," Human Resource Management: Published in Cooperation with the School of Business Administration, The University of Michigan and in alliance with the Society of Human Resources Management, Vol.45, No.1, pp.23-42, 2006. 

  44. 오현규, 박성민, "일과 삶의 균형정책이 조직구성원들의 직무 및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력 연구," 한국행정논집 제26권, 제4호, pp.901-929, 2014. 

  45. S. S. Youngcourt and A. H. Huffman, "Family-friendly policies in the police: Implications for work-family conflict," Applied Psychology in Criminal Justice, Vol.1, No.2, pp.138-162, 2005. 

  46. 강혜련, 임희정, "성취동기와 가족친화제도가 기혼여성의 직장-가정 갈등과 경력몰입에 미치는 조절변인의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제5권, 제2호, pp.1-14, 2000. 

  47. 최수찬, 김종성, "중소기업 기혼 근로자의 직장-가정갈등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기업내 가족친화제도의 조절효과," 사회복지 실천과 연구, 제13권, 제1호, pp.147-176, 2016. 

  48. 강희경, "학동기 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스트레스 척도 개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21권, 제2호, pp.31-38, 2003. 

  49. 오인수, 김광현, Todd C. Darnold, 황종오, 유태용, 박영아, 박량희, "직무만족, 조직몰입, 성과, 이직의도간의 관련성: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인사조직연구, 제15권, 제4호, pp.43-86, 2007. 

  50. 최하영, 이소민, 이호택, "미취학 자녀를 둔 여성관리자의 직장-가정 간 전이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여성연구, 제95호, pp.151-191, 2017.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