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연천지역의 표준 강수 지수와 하천 유량 가뭄지수를 이용한 가뭄 평가
Drought Assessment Using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and Streamflow Drought Index in Yeoncheon Region 원문보기

지질공학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v.33 no.2, 2023년, pp.241 - 256  

김일환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하천연구본부) ,  이주헌 (중부대학교 토목공학과) ,  정일문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하천연구본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장주기의 가뭄과 빈번하게 발생하는 봄철 가뭄으로 연천지역 주민의 생계 수단인 농작물의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연천의 가뭄에 대한 정도를 분석하기 위해 강수, 하천 유량 자료를 통해서 월별 유량 비율 등을 검토하였으며, 표준 강수 지수와 하천 유출 가뭄지수를 산정하였다. 연천군 유역 인근의 강수, 유량 관측소를 활용하여 가뭄 분석을 진행한 결과 모든 가뭄지수에서 공통적으로 2014년에 발생한 가뭄이 2019년까지 크거나 작게 지속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지속기간 12개월의 가뭄지수의 경우 가뭄기간이 24개월이 지속됨에 따라 가뭄으로 인한 피해가 극심했을 것으로 예상된다. 가뭄 피해를 대처하기 위해 가뭄의 현재 상태를 파악하고 예측하는 것이 중요하며 가뭄의 정도 및 지속 기간에 따른 하천, 수공 구조물 등의 통합 운영관리 전략을 수행하는 것이 시급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ong-term droughts and frequent spring droughts are causing damage to crops, which are the means of livelihood of residents of the Yeoncheon region. To analyze the degree of drought in Yeoncheon, the ratio of monthly precipitation and discharge was reviewed through observed data, and the standardize...

주제어

표/그림 (1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연천지역을 대상으로 강수 자료와 유출량 자료를 활용하여 가뭄 분석을 수행하였다. 기후변화를 넘어 기후 위기를 맞아 가뭄 피해를 대처하기 위해 가뭄의 현재 상태를 파악하고 예측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Buckley, B.M., Anchukaitis, K.J., Penny, D., Fletcher, R., Cook, E.R., Sano, M., Nam Le, C., Wichienkeeo, A., Minh,?T.T., Hong, T.M., 2010, Climate as a contributing factor in the demise of Angkor, Cambodia, Proceedings of the?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107(15), 6748-6752. 

  2. Correia, F.N., Santos, M.A., Rodrigues, R.R., 1991, Reliability in regional drought studies, In: Ganoulis, J. (Ed.), Water?Resources Engineering Risk Assessment, NATO ASI Series, Vol. 29, Springer, Berlin, Heidelberg, 43-62. 

  3. De Michele, C., Salvadori, G., Vezzoli, R., Pecora, S., 2013, Multivariate assessment of droughts: Frequency analysis and?dynamic return period, Water Resources Research, 49(10), 6985-6994. 

  4. Edwards, D.C., 1997, Characteristics of 20th century drought in the United States at multiple time scales, Master's Thesis,?Colorado State University, 155p. 

  5. Guttman, N.B., 1998, Comparing the palmer drought index and the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Journal of the American?Water Resources Association, 34(1), 113-121. 

  6. Hayes, M.J., Svoboda, M.D., Wiihite, D.A., Vanyarkho, O.V., 1999, Monitoring the 1996 drought using the standardized?precipitation index, Bulletin of the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80(3), 429-438. 

  7. Kim, M.S., Moon, Y.I., 2014, A study on target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in Korea, KSCE Journal of Civil and?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34(4), 1117-112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Kwak, J.W., Lee, S.D., Kim, Y.S., Kim, H.S., 2013, Return period estimation of droughts using drought variables from?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6(8), 795-805 (in Korean with?English abstract). 

  9. McKee, T.B., Doesken, N.J., Kleist, J., 1993, The relationship of drought frequency and duration to time scales, Proceedings?of the 8th Conference on Applied Climatology, Anaheim, 179-184. 

  10. Nalbantis, I., Tsakiris, G., 2008, Assessment of hydrological drought revisited, Water Resources Management, 23(5), 881-897. 

  11. Tate, E., Gustard, A., 2000, Drought definition: A hydrological perspective, In: Vogt, J.V., Somma, F. (Eds.), Drought and?Drought Mitigation in Europe, Advances in Natural and Technological Hazards Research, Vol. 14, Springer, Dordrecht,?23-48. 

  12. Trenberth, K., Overpeck, J., Solomon, S., 2004, Exploring drought and its implications for the future, Eos, Transactions?American Geophysical Union, 85(3), 27. 

  13. Won, K.J., 2016, Drought analysis of Cheongmicheon watershed using meteorological, agricultural and hydrological?drought indices,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9(6), 509-51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Yoon, Y., Lee, Y., Lee, J., Kim, S., 2019, Short term drought forecasting using seasonal ARIMA model based on SPI and?SDI -For Chungju dam and Boryeong dam watershed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61(1),?61-7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